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영어 21번 지문 분석과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영어 21번 지문은 사람들은 흔히 "보는 것이 믿는 것"이라고 말하지만, 우리의 기억과 인식은 실제와 다르게 작동합니다. 이번 고1 모의고사 21번 지문에서는 인간이 세계를 보는 방식이 단순히 사실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추상적 개념과 과거 경험을 통해 재구성된 것임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인식 방식은 효율적이지만, 세상을 객관적으로 보는 데 한계를 가져오며, 특히 법적 증언에서 신뢰할 수 없는 증거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 글에서는 지문 속 핵심 개념과 관용적 표현 "Seeing is not believing"의 의미를 상세히 분석하며, 이를 통해 문제 해결 방법을 제시합니다. 다만, 이 지문의 경우 "Seeing is not believing"의 의미는 이 글의 주장을 재표현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 근거를 분석 내용을 통해 확인해 보십시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함축적인 의미를 추론하는 것은 함축적 의미를 포함하는 부분을 먼저 읽고 그 부분의 지문과의 연관성을 찾아야 합니다. 대부분 비유적 표현으로 되어 있어 이해하기는 다소 어렵더라도 먼저 함축적 의미부를 반드시 읽고 시작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문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1. 밑줄 친 Seeing is not believing.이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When we see something, we naturally and automatically break it up into shapes, colors, and concepts that we have learned through education. We recode what we see through the lens of everything we know. We reconstruct memories rather than retrieving the video from memory. This is a useful trait. It’s a more efficient way to store information ― a bit like an optimal image compression algorithm such as JPG, rather than storing a raw bitmap image file. People who lack this ability and remember everything in perfect detail struggle to generalize, learn, and make connections between what they have learned. But representing the world as abstract ideas and features comes at a cost of seeing the world as it is. Instead, we see the world through our assumptions, motivations, and past experiences. The discovery that our memories are reconstructed through abstract representations rather than played back like a movie completely undermined the legal primacy of eyewitness testimony. Seeing is not believing.

* retrieve: 상기하다 ** primacy: 우위성

① Abstract ideas are hard to explain without relevant images.

② It takes longer to retrieve unconsciously encoded information.

③ Beliefs formed from repeated experiences do not easily change.

④ Our memories fall short of an objective representation of the world.

⑤ Comprehension of facts precedes the formation of abstract concepts.

문장별 분석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21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When we see something, we naturally and automatically break it up into shapes, colors, and concepts that we have learned through education.

주요 단어 정리

  • naturally: 자연스럽게, 본능적으로 (syn. instinctively)
  • automatically: 자동적으로, 무의식적으로 (syn. unconsciously)
  • break up~: ~을 나누다
  • concepts: 개념들 (syn. notions, ideas)
  • education: 교육, 학습 (syn. learning, schooling)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we see/ something]/
  • [우리가 볼 때/ 무언가를]/
  • we naturally and automatically break it up/
  • 우리는 자연스럽고 자동적으로 그것을 나눈다/
  • [into shapes, colors, and concepts/ that we have learned/ through education].
  • → [형태, 색깔, 그리고 개념으로/ 우리가 배운/  교육을 통해].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
  • "concepts/ that we have learnedthrough education"에서 "that"은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선행사, "shapes, colors, and concepts"를 수식하여 "교육을 통해서 우리가 배워 왔던 모양, 색깔, 및 개념"의 의미를 전달.
  • 함축적 의미 추론 문제 해결 Tip
  • 함축적 의미를 담고 있는 문장을 먼저 읽고 그 부분의 지문과의 연관성을 찾아야 합니다. 따라서, 함축적 의미를 포함한 문장을 먼저 읽으면 “보는 것은 믿는 것이 아니다”입니다. 이 내용이 이 글의 주장과 어떤 식으로 관련이 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읽어 내려갑니다. 문장 1의 핵심 내용은 “우리는 시각 정보를 학습된 틀에 따라 나누어 인식합니다.” 이 문장은 "Seeing is not believing"과의 직접적 연결이 부족합니다.

문장 2

We recode what we see through the lens of everything we know.

주요 단어 정리

  • recode: 재구성하다, 다시 부호화하다 (syn. reframe, restructure)
  • lens: 렌즈, 시각 (syn. perspective, viewpoin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e recode/
  • 우리는 재구성한다/
  • [what we see]/
  • [우리가 보는 것을]/
  • [through the lens/ [of everything/ (that) we know]].
  • [렌즈를 통해/ [모든 것의/ 우리가 알고 있는]].

어법 설명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 "[what we see]"에서 "what"은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로 '우리가 보는 것'을 의미하여, 기억이 단순히 입력되는 것이 아니라 인식에 의해 재구성됨을 나타냅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의 생략
  • "everything/ (that) we know"에서 생략된 "(that)"은 선행사, "everything"을 수식하여 "우리가 아는 모는 것"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언제나 생략 가능.
  • 함축적 의미 추론 문제 해결 Tip에 따른 연관성 찾기 1
  • 문장 2의 핵심 내용은 “우리가 보는 것은 과거의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재구성된다.”입니다. 비판점: "재구성"이라는 개념이 왜곡이나 단순화로 이어진다는 논리적 연결이 부족합니다.

문장 3

We reconstruct memories rather than retrieving the video from memory.

주요 단어 정리

  • reconstruct: 재구성하다 (syn. rebuild, reassemble)
  • memory: 기억
  • retrieve: 되찾다, 상기하다 (syn. recall, fetch)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e reconstruct/
  • 우리는 재구성한다/
  • memories/
  • 기억을/
  • [rather than retrieving/ the video/ from memory].
  • [가져오기 보다는/ 비디오를/ 기억에서].  

어법 설명

  • rather than ~
  • '~라기보다는'으로, 기억을 단순히 상기하는 대신 재구성한다는 의미를 강조합니다.
  • retrieving ~
  • '~를 가져오는 것'의 의미로, rather than의 목적어로 사용된 동명사
  • 함축적 의미 추론 문제 해결 Tip에 따른 연관성 찾기 2
  • 문장 3의 핵심 내용은 “기억은 비디오처럼 저장되지 않고 재구성된다는 것”입니다. 비판점: 기억의 재구성이 왜 "객관적 현실과의 괴리"를 만든다는 논리적 설명이 여전히 부족합니다.

문장 4

This is a useful trait.

주요 단어 정리

  • trait: 특성, 특징 (syn. characteristic, attribut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is a useful trait.
  • 이것은 유용한 특성이다.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함축적 의미 추론 문제 해결 Tip에 따른 연관성 찾기 3
  • 문장 4의 핵심 내용은 “기억 재구성은 효율적이라는 긍정적 평가”입니다. 비판점: 효율성만 강조될 뿐, 왜곡된 시각이 불러올 부정적 결과는 언급되지 않습니다.

문장 5

It’s a more efficient way to store information ― a bit like an optimal image compression algorithm such as JPG, rather than storing a raw bitmap image file.

주요 단어 정리

  • efficient: 효율적인 (syn. effective, productive)
  • store: 저장하다
  • optimal: 최적의
  • compression: 압축 (syn. condensing, reduction)
  • algorithm: 알고리즘
  • rather than~: ~라기[하기] 보다
  • raw: 원본의/가공되지 않은/날것의
  • bitmap: 비트맵 (이미지 파일 형식)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t’s a more efficient way/
  • 이것은 더 효율적인 방법이다/
  • <to store/ information>/
  • <저장하는/ 정보를>/
  • -/ a bit like an optimal image compression algorithm/
  • 다시 말해/ 약간 최적의 이미지 압축 알고리즘같이/
  • such as JPG/
  • JPG와 같은
  • rather than storing/
  • 저장하기보다/
  • a raw bitmap image file.
  • 원본 비트맵 이미지 파일을.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a more efficient way/ <to store/ information>"에서 사용된 어법.
  • a bit like ~
  • 유사함을 나타내며, 복잡한 정보 저장 방식을 간단히 압축하는 방법으로 설명합니다.
  • rather than ~
  • 대조적인 방식으로, 복잡한 이미지를 저장하기보다는 요약과 압축을 통한 기억 방식을 설명합니다.
  • 함축적 의미 추론 문제 해결 Tip에 따른 연관성 찾기 4
  • 문장 5의 핵심 의미는 “기억의 재구성은 정보의 단순화와 효율성을 높인다는 것”입니다. 비판점: 단순화가 왜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게 하는가"에 대한 구체적 논증이 부족합니다.

문장 6

People who lack this ability and remember everything in perfect detail struggle to generalize, learn, and make connections between what they have learned.

주요 단어 정리

  • lack: 부족하다, 결핍되다 (syn. be without, miss)
  • in perfect detail: 세세하게/상세하게
  • struggle to 부정사: ~하는데 어려움을 겪다
  • generalize: 일반화하다 (syn. make general, infer)
  • make connections: 연결짓다, 연관 짓다 (syn. relate, associat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People/ who <lack/ this ability>/ and/ <remember/ everything/ in perfect detail>]/
  • [사람들은/ <부족한/ 이러한 능력이>/ 그리고/ <기억하는/  모든 것을/ 완벽하게 세세하게>]/
  • struggle/
  • 애를 쓴다/
  • <to generalize, learn, and make connections>/
  • <일반화하고, 배우고, 연결을 짓기 위해서>/
  • [between what they have learned].
  • [그들이 배운 것들 사이에서].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Peoplewho <lack/ this ability>/ and/ <remember/ everything/ in perfect detail>]"에서 "who"는 선행사, "People"를 수식하여 "이러한 능력이 부족해서 모든 것을 완벽하게 상세하게 기억하는 사람들"의 의미를 전달.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People"로 복수, 따라서 동사의 형태도 복수로, "struggle".
  • 관계절의 동사구의 병렬 연결 - and로 두 개의 동사구를 병렬 연결
  • "<lack/ this ability>"와 "<remember/ everything/ in perfect detail>"를 and로 병렬 연결.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struggle<to generalize, learn, and make connections>"에서  사용된 어법.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하는 것"
  • "what they have learned"에서 사용된 어법. "그들이 배워 왔던 것"의 의미 전달
  • 함축적 의미 추론 문제 해결 Tip에 따른 연관성 찾기 5
  • 문장 6의 핵심 의미는 “세부 정보를 모두 기억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며 학습과 일반화를 방해한다는 것”입니다. 이 문장은 재구성의 유용성을 강조하지만, "Seeing is not believing"과의 연결은 여전히 약합니다.

문장 7

But representing the world as abstract ideas and features comes at a cost of seeing the world as it is.

주요 단어 정리

  • represent: 표현하다 (syn. depict, show)
  • abstract: 추상적인 (syn. conceptual, theoretical)
  • feature: 특성/특집
  • come at a cost of~: ~라는 대가가 따르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 하지만
  • <representing/ the world>/
  • 세계를 표현하는 것은
  • <as abstract ideas and features>/
  • <추상적인 아이디어와 특성으로>/
  • [comes at a cost/ [of seeing/ the world>/ [as it is]]].
  • [대가가 따른다/ [보는 것이라는/ 세상을/ [있는 그대로]]].

어법 설명

  •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representing"으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comes"
  • comes at a cost of ~
  • '~라는 대가가 따른다'는 표현으로, 세계를 추상적으로 인식하는 과정의 한계를 시사합니다.
  • 함축적 의미 추론 문제 해결 Tip에 따른 연관성 찾기 6
  • 문장 7의 핵심 내용은 “세계를 추상적 개념으로 인식하는 것은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는 대가를 치른다는 것”입니다. 비판점: "재구성된 기억"과 "추상화"가 왜곡된 시각을 만든다는 주장이 드디어 암시되지만, 그 이전의 논리적 연결이 다소 비약적입니다.

문장 8

Instead, we see the world through our assumptions, motivations, and past experiences.

주요 단어 정리

  • instead: 대신에
  • assumption: 가정 (syn. presumption, belief)
  • motivation: 동기 (syn. reason, drive)
  • experience: 경험 (syn. knowledge, backgroun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stead,/
  • 대신에,/
  • we see/
  • 우리는 본다/
  • the world/
  • 세상을/
  • <through our assumptions, motivations, and past experiences>.
  • <우리의 가정, 동기, 그리고 과거 경험을 통해서>.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문장 9

The discovery that our memories are reconstructed through abstract representations rather than played back like a movie completely undermined the legal primacy of eyewitness testimony.

주요 단어 정리

  • discovery: 발견 (syn. finding, revelation)
  • reconstruct: 재구성하다
  • abstract: 추상적인
  • representation: 표상
  • play back: 재생하다
  • completely: 완전히
  • undermine: 약화시키다 (syn. weaken, erode)
  • primacy: 우위성 (syn. supremacy, dominance)
  • witness testimony: 목격자의 증언/법적 증언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discovery/ that our memories are reconstructed/ through abstract representations/ <rather than (being) played back/ like a movie>]/
  • [발견은/ 우리의 기억이 재구성된다는/ 추상적 표상을 통해/ <다시 재생되는 것이라기 보다/ 영화처럼>]
  • completely undermined/
  • 완전히 약화시켰다/
  • <the legal primacy/ of eyewitness testimony>.
  • <그 법적 우위성을/ 법적 증언의(목격자 증언의)>.

어법 설명

  • 동격절[형용사절]의 접속사 that
  • "[The discoverythat our memories are reconstructedthrough abstract representations/ <rather than (being) played backlike a movie>]"에서 서용된 "that"은 동격절의 접속사로, ’~라는‘의 의미로 해석되며 The disscovery를 설명합니다.
  • 수동태 "be+pp" "are reconstructed"
  • "재구성된다"의 의미로 수동태.
  • '"하기"의 의미로 사용된 "동사+ing[동명사]"
  • "<rather than (being) played backlike a movie>”에서 생략된 "being"은 rather than의 목적어로 사용된 것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그러면서 수동태로 "영화차럼 재생되기 보다"의 의미를 전달.
  • 함축적 의미 추론 문제 해결 Tip에 따른 연관성 찾기 7
  • 문장 8 및 문장 9의 핵심 내용은 “우리의 기억은 주관적이며 재구성된 것이기 때문에 신뢰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Seeing is not believing"의 의미가 명확히 드러납니다. 시각적 정보와 기억은 객관적 현실을 반영하지 않기 때문에 법적 증언조차도 신뢰할 수 없습니다. 문장 간의 연결도 자연스럽지 않았는데, 답도 뒤쪽에 있었네요. 그렇더라도 시간을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답을 ④ 번으로 선택하고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문장 10

Seeing is not believing.

주요 단어 정리

  • Seeing: 보는 것, 시각적 경험 (syn. observing, viewing)
  • believing: 믿는 것, 신뢰 (syn. trusting, accepting)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eeing is not believing.
  • 보는 것이 믿는 것이 아니다.

어법 설명

  • 관용적 표현
  • 시각적 정보가 항상 사실이나 진실을 의미하지 않음을 강조합니다.
  • 의미의 파악
  • 이 지문에서 "seeing = 객관적인 사실"이며 "believing = 객관적이지 않은 사실"을 의미하여 문장 9에서 확인한 이 글의 주장을 다시 바꿔 쓴 것에 불과합니다.
  • 함축적 의미 추론 문제 해결 Tip에 따른 연관성 찾기 8
  • 문장 10의 핵심 내용은 “보는 것이 반드시 믿을 수 있는 진실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것”입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정답 추론 과정

  • 문장 7과 문장 9를 통해 "기억의 재구성이 객관적 현실과 다르다"는 주장이 명확히 드러납니다.
  • 이를 근거로 ④번 (Our memories fall short of an objective representation of the world.)이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논리적 비판

  • 지문의 핵심 주장은 타당하지만, 단계별 논리적 연결이 다소 비약적입니다. "분류" → "재구성" → "추상화" → "왜곡된 시각"이라는 흐름이 충분히 논증되지 않아 독자가 스스로 논리를 보완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정답 제시

  • 정답은 ④ 'Our memories fall short of an objective representation of the world.'입니다.

결론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21번 지문은 "Seeing is not believing"을 통해 인간의 기억과 시각적 경험이 주관적이며 왜곡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이는 효율적이지만, 객관적 사실과의 괴리를 만들어 신뢰성을 약화시킵니다. 다만, 각 단계의 논리적 연결이 부족하고 표현이 일관되지 않아 지문의 이해도를 낮춘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기억과 시각적 경험에 대한 맹신을 경계하고, 비판적 사고의 중요성을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