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3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3번 지문은 기술 발전과 시장 메커니즘의 관계, 그리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부작용을 다룹니다. 기술로 인한 불평등 심화와 노동 시장의 붕괴가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빈칸에 들어갈 표현을 통해 핵심 메시지를 추론하는 문제입니다.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장 구조와 맥락을 명확히 파악하며, 정답을 논리적으로 도출합니다. 이 글은 빈칸 추론 문제 해결 전략과 영어 독해 능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은 100% 다 그렇지는 않지만, 빈칸이 있는 문장부터 읽고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추론하라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일부 영문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3.
Over the last few centuries, humanity’s collective prosperity has skyrocketed, as technological progress has made us far wealthier than ever before. To share out those riches, almost all societies have settled upon the market mechanism, rewarding people in various ways for the work that they do and the things that they own. But rising inequality, itself often driven by technology, has started to put that mechanism under strain. Today, markets already provide immense rewards to some people but leave many others with very little. And now, technological unemployment threatens to become a more radical version of the same story, taking place in the particular market we rely upon the most: the labor market. As that market begins to break down, more and more people will be in danger of ______________. [3점]
① not receiving a share of society’s prosperity at all
② making too large of an investment in new areas
③ not fully comprehending technological terms
④ unconsciously wasting the rewards from their work
⑤ not realizing the reason to raise their cost of living
문장별 분석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3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Over the last few centuries, humanity’s collective prosperity has skyrocketed, as technological progress has made us far wealthier than ever before.
주요 단어 정리
- collective prosperity: 집단적 번영
- skyrocket: 급증하다 (동의어: surge, soar / 반의어: plummet)
- technological progress: 기술 발전
- wealthier: 더 부유한 (wealthy의 비교급)
- than ever before: 그 어느 때보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ver the last few centuries,/ humanity’s collective prosperity/ has skyrocketed,/
- 지난 몇 세기 동안,/ 인류의 집단적 번영은/ 급증했습니다,/
- [as technological progress has made/ us/ far wealthier/ than ever before].
- 기술 발전이/ 우리를 만들었기 때문에/ 훨씬 더 부유하게/ 그 어느 때보다.
어법 설명
- 현재완료 시제 “has skyrocketed”, “has made”
- 지난 몇 세기 동안 “지속된 변화”를 나타냅니다.
- 이유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하기 때문에”로 해석됩니다.
- 비교급 강조 부사
- "far wealthier"에서 사용된 어법. 비교급을 강조할 때 쓰이는 부사로, “much / even / far / still / a lot”가 있으며, 다른 부사, so, too, very 등은 사용하지 못함.
문장 2
To share out those riches, almost all societies have settled upon the market mechanism, rewarding people in various ways for the work that they do and the things that they own.
주요 단어 정리
- share out: 분배하다
- settle upon~: ~로 결정하다 (동의어: choose, decide on)
- market mechanism: 시장 메커니즘
- reward: 보상하다
- in various ways: 다양한 방식으로
- own: 소유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o share out/ those riches>,/
- <분배하기 위해서/ 그러한 부를>,/
- almost all societies have settled/ upon the market mechanism,/
- 거의 모든 사회가 결정했습니다(→채택했습니다)/ 시장 메커니즘으로(메커니즘을),/
- [rewarding/ people/ in various ways/ [for the work/ that they do]/ and/ [for the things/ that they own]].
- [보상하면서 사람들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일에 대해/ 그들이 하는]/ 그리고/ [것들에 대해/ 그들이 소유하는]].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 <To share out/ those riches>는 “~하기위해서/~하도록”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 현재완료 시제 “have settled”
- 결과의 의미로 “결정했습니다”로 해석됩니다. 의미상 “settle upon”보다는 “adopt(채택하다)”가 더 자연스럽게 연결합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
- " [for the work/ that they do]"와 "[for the things/ that they own]"에서 각각 "그들이 하는 일"과 "그들이 소유하는 것들"을 수식합니다. “관계대명사+불완전한 문장”
- 분사구문
- "[rewarding/~]"은 "[while they reward/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almost all cities)가 생략되고 동사 reward가 reward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문장 3
But rising inequality, itself often driven by technology, has started to put that mechanism under strain.
주요 단어 정리
- rising inequality: 증가하는 불평등
- driven by~: ~에 의해 발생되는
- start to 부정사: ~하기 사작하다
- strain: 압박, 부담
- put A under strain: A를 압박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 그러나/
- [<rising inequality,/ itself>/ (which or that is) often driven/ by technology],/
- [<증가하는 불평등,/ 그것 자체가>/ 종종 발생되는/ 기술에 의해],/
- has started to put/ that mechanism/ under strain.
- 두기 시작했습니다/ 그 메커니즘을/ 압박하에(압박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메커니즘을).
어법 설명
- “~되어진”의 의미로 사용된 동사+ed “driven”
- ”<rising inequality,/ itself>/ (which or that is) often driven/ by technology”에서 “driven”은 “발생되는“의미로, 선행사, <rising inequality,/ itself>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가 생략된 형태와 의미상 동일합니다.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rising inequality,/ itself>”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동사구, ”has started to put“.
- 현재완료 시제 ”has started to put“
- "(압박을) 가하기 시작했다"라는 동작의 시작과 지속성을 나타냅니다.
문장 4
Today, markets already provide immense rewards to some people but leave many others with very little.
주요 단어 정리
- immense: 엄청난 (동의어: enormous, vast)
- leave A with B: A를 B와 함께 남기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oday,/ markets already <provide/ immense rewards/ to some people>/
- 오늘날,/ 시장은 이미 <제공합니다/ 엄청난 보상을/ 일부 사람들에게>/
- but/ <leave/ many others/ with very little>.
- 그러나/ <남겨둡니다(거의 남겨두지 않습니다)/ 많은 수의 사람들을/ 거의 없는 상태로(어떤 것도)>.
어법 설명
- 병치 구문 – but으로 2개의 동사구 병치
- <provide/ immense rewards/ to some people>와 <leave/ many others/ with very little>이 but으로 연결된 병치 구문입니다.
문장 5
And now, technological unemployment threatens to become a more radical version of the same story, taking place in the particular market we rely upon the most: the labor market.
주요 단어 정리
- technological unemployment: 기술적 실업
- threaten to ~: ~할 위험이 있다
- radical: 근본적인, 급진적인
- rely upon~: ~에 의존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nd/ now,/
- 그리고 이제,/
- technological unemployment threatens/ <to become a more radical version/ of the same story>],/
- 기술적 실업이 위험이 있습니다/ <더 근본적인 버전이 될/ 같은 이야기의>,/
- [taking place/ [in the particular market/ (that) we rely upon/ the most]]/
- [발생하면서/ [특정 시장에서/ 우리가 의존하는/ 가장]]/
- :/ the labor market.
- 즉/ 노동 시장이라는.
어법 설명
- 분사구문
- "[taking place/ [in~]]"는 "[while it takes place/ [in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it(=technological unemployment)가 생략되고 동사구 takes place가 taking place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의 생략
- "the particular market/ (that) we rely upon/ the most"에서 "that"은 생략 가능하며, ”특정한 시장“을 수식하여 "우리가 의존하는 특정한 시장"으로 해석됩니다.
문장 6
As that market begins to break down, more and more people will be in danger of ______________.
주요 단어 정리
- break down: 붕괴하다
- be in danger of ~: ~의 위험에 처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s that market begins to break down],
- [그 시장이/ 붕괴하기 시작하면서],
- more and more people will be/ [in danger/ of ______________].
-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처하게 될 겁니다/ [위험에/ ______________하는].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그 시장이 붕괴함에 따라서"라는 시간에 따른 점진적 변화를 나타냅니다.
- 빈칸의 추론
- 문장 5에서 ”기술적 실업이 우리가 특히 의존하는 노동 시장에서 같은 줄거리(문장 4에 진술된 내용)의 보다 근본적인 버전이 될 위험이 있다.“는 내용과 문장 4의 ”오늘날의 시장이 일부 사람들에게만 보상을 제공하며 많은 사람들은 거의 보상을 주지 않는다.“는 의미, 즉 ”시장에서의 불평등“을 포괄하는 보기는 ”① not receiving a share of society’s prosperity at all(전혀 사회 번영의 몫을 받지 못하고 있는)“뿐입니다.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노동시장 붕괴에 의해 초래된 불평등”
근거 문장 제시
- Today, markets already provide immense rewards to some people but leave many others with very little.
- And now, technological unemployment threatens to become a more radical version of the same story, taking place in the particular market we rely upon the most: the labor market.
- As that market begins to break down, more and more people will be in danger of ______________.
- 위 문장에서 노동 시장의 붕괴가 다수의 사람들이 사회적 번영에 따른 보상을 전혀 누리지 못하게 되는 위험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정답 제시
- ① not receiving a share of society’s prosperity at all (사회적 번영의 몫을 전혀 받지 못하는 것)
- 기술 발전과 노동 시장의 붕괴로 인해 사회적 부를 나누지 못한다는 문제를 반영하므로 가장 적절합니다.
결론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3번 지문은 기술 발전이 초래한 불평등과 노동 시장의 붕괴를 중심으로, 기술적 실업으로 인해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번영의 혜택에서 배제될 위험에 처하게 된다는 점을 설명합니다.
본 분석 내용을 통해 학생들은 빈칸 추론 문제에 대한 해설을 통해 논리적이고 효과적으로 답을 추론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자부합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