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6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6번 지문은 “능력(competence)”과 “호감(liking)” 사이의 관계를 탐구합니다. 특히, 능력이 높은 사람이 항상 더 호감을 얻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논의하며, 능력과 인간관계 간의 미묘한 상호작용을 설명합니다. 문제는 주어진 단락(A, B, C)의 순서를 논리적 흐름에 맞게 배열하는 것입니다.

순서 배열 문제에 대한 Tip을 드리자면, 각 단락 간의 논리적 관계뿐만 아니라 각 단락 내에 사용된 접속부사, 대명사, 지시 형용사, 지시 대명사, 어휘를 바꿔서 표현하지만, 반복되는 표현에 유의하면서 순서를 파악해 나가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와 구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문장 배열 순서를 논리적으로 찾아내어 독해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접근법을 제공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일부 영문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6~37]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6. 

It would seem obvious that the more competent someone is, the more we will like that person. By “competence,” I mean a cluster of qualities: smartness, the ability to get things done, wise decisions, etc. 

(A) If this were true, we might like people more if they reveal some evidence of fallibility. For example, if your friend is a brilliant mathematician, superb athlete, and gourmet cook, you might like him or her better if, every once in a while, they screwed up. 

(B) One possibility is that, although we like to be around competent people, those who are too competent make us uncomfortable. They may seem unapproachable, distant, superhuman ― and make us look bad (and feel worse) by comparison. 

(C) We stand a better chance of doing well at our life tasks if we surround ourselves with people who know what they’re doing and have a lot to teach us. But the research evidence is paradoxical: In problem­solving groups, the participants who are considered the most competent and have the best ideas tend not to be the ones who are best liked. Why?

* fallibility: 실수를 저지르기 쉬움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

문장별 분석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6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제시된 문장

It would seem obvious that the more competent someone is, the more we will like that person. By “competence,” I mean a cluster of qualities: smartness, the ability to get things done, wise decisions, etc.

주요 단어 정리

  • competent: 유능한 (동의어: capable, skilled / 반의어: incompetent)
  • cluster of qualities: 특성의 묶음 (동의어: group of traits / 반의어: none)
  • smartness: 영리함 (동의어: intelligence, cleverness / 반의어: stupidity)
  • get things done: 일을 해내다
  • wise decisions: 현명한 결정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t would seem obvious/ [that the more competent/ someone is,/ the more/ we will like/ that person].
  • 그것은 자명해 보입니다/ [누군가가 더 유능할수록,/ 우리가 더 좋아할 것은/ 그 사람을].
  • By “competence,”/ I mean/ [a cluster/ [of qualities/:/ [smartness],/ [the ability/ <to get things done>],/ [wise decisions],/ etc.]].
  • "유능함"이라는 말로/ 나는 의미합니다/ [묶음을/ [특성들의/ 즉/ [영리함],/ [능력 <일이 되게 하는>],/ [현명한 결정들],/ 등등의]].

어법 설명

  • It(가주어) ~ that 절(진주어) 용법
  • It would seem obvious/ [that ~]”에서 ”It“는 가주어, ”that ”은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한국어에는 없는 용법으로 어법에서는 it를 해석하지 말라고 말하지만, 용법의 이해를 위해 오히려 해석하기를 권합니다.
  • The 비교급 A, the 비교급 B
  • "the more competent/ someone is,/ the morewe will like/ that person"에서 사용된 어법. "A하면 할수록, B하다"의 상관 구문으로, 원인과 결과를 나타냅니다. “누군가가 더 유능할수록, 우리가 더 그 사람을 좋아합니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동격의 명사구 구조
  • "qualities"와 “[smartness],/ [the ability/ <to get things done>],/ [wise decisions],/ etc.”는 동격 관계를 이룹니다.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목적] “~할 / ~하는/ ~하기 위한”
  • [the ability/ <to get things done>]”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를 수식.
  • 5형식 문형 "get + 목적어 + 목적격 보어(과거분사)"
  • get things done“에서 사용된 어법. ”일을 이루어지도록 하다“의 의미로 ”일이 되게 하다“로 의역합니다.

단락 A

If this were true, we might like people more if they reveal some evidence of fallibility. For example, if your friend is a brilliant mathematician, superb athlete, and gourmet cook, you might like him or her better if, every once in a while, they screwed up.

주요 단어 정리

  • fallibility: 실수를 저지를 수 있음, 불완전성 (동의어: imperfection, faultiness / 반의어: infallibility)
  • brilliant: 뛰어난 (동의어: exceptional, outstanding / 반의어: mediocre)
  • mathematician: 수학자
  • superb: 훌륭한
  • athlete: 운동선수
  • gourmet: 미식가
  • every once in a while: 가끔씩
  • screw up: 실수하다 (동의어: mess up, fail / 반의어: succee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this were true],/
  •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 we might like/ people/ more/
  • 우리는 좋아할지도 모릅니다/ 사람들을/ 더/
  • [if they reveal/ <some evidence/ of fallibility>].
  • [그들이 드러낸다면/ <약간의 증거를/ 실수를 저지를 수 있음의(불완전성의)>].
  • For example,/
  • 예를 들어,/
  • [if your friend is(→were) <a brilliant mathematician,/ superb athlete,/ and/ gourmet cook>],/
  • [만약 당신의 친구가/ <뛰어난 수학자이자,/ 훌륭한 운동선수이며,/ 미식 요리사라면],/
  • you might like/ <him or her>/ better/
  • 당신은 좋아할지도 모릅니다/ <그 사람을>/ 더/
  • [if,/ every once in a while,/ they screwed up].
  • 당신은 그를/ 더 좋아할지도 모릅니다/ [만약,/ 가끔씩,/ 그들이 실수한다면].

어법 설명

  • 가정법 과거 “If+주어+과거형 동사+...,+주어+would/should/could/might+동원+~”
  •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가정“, ”현재에 이루어질 수 없는 소망“을 나타냅니다. 다만, 과거형 동사로 be 동사가 사용되는 경우, 인칭에 상관 없이 반드시 were를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if your friend is(→were) ~]“에서 ”is“는 ”were“로 변경되어야 맞습니다.
  • 과도한 추상적 표현
  • "[if they reveal/ <some evidence/ of fallibility>]"는 지나치게 학술적이고 추상적입니다.
  • "if they occasionally make mistakes"처럼 간결하고 직관적인 표현이 독자 이해에 더 적합합니다.

단락 B

One possibility is that, although we like to be around competent people, those who are too competent make us uncomfortable. They may seem unapproachable, distant, superhuman ― and make us look bad (and feel worse) by comparison.

주요 단어 정리

  • possibility: 가능성 (동의어: likelihood, chance / 반의어: impossibility)
  • competent: 유능한
  • uncomfortable: 불편한
  • unapproachable: 가까이 다가가기 어려운 (동의어: distant, inaccessible / 반의어: approachable)
  • superhuman: 초인적인 (동의어: extraordinary, godlike / 반의어: ordinary)
  • comparison: 비교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ne possibility is [that,/ [although we like/ <to be/ around competent people>],/ [those/ who are too competent]/ make/ us/ uncomfortable].
  • 한 가지 가능성은 [[비록 우리가 좋아하지만/ <있기를/ 유능한 사람들 주의에>],/ [사람들은/ 너무 유능한]/ 만든다는 것입니다/ 우리를/ 불편하게].
  • They [may seem <unapproachable,/ distant,/ superhuman>]/
  • 그들은 [보일지도 모릅니다 <다가가기 어렵고,/ 멀고,/ 초인적으로>]/
  • ―/ and/
  • 그리고/
  • [(may) make/ us/ [<look bad>/ (and/ <feel worse>)]/ by comparison].
  • 우리를 보이게 만듭니다/ 못난 사람처럼/ [비교에 의해(비교를 통해)].

어법 설명

  • 보어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One possibility is [that,/~]"에서 "that"은 보어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보어절의 접속사 “that“과 ”that 절“의 주어 [those/ who are too competent] 사이에 [although we like/ <to be/ around competent people>]절이 삽입된 구조입니다.
  • 양보의 부사절 “although[ though / even if / even though ] + 주어 + 동사”
  • “비록 ~일지라도[~이긴 하지만]”의 의미를 전달.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thosewho are too competent]”에서 “who”는 선행사, “those”를 수식하여, “너무 유능한 사람들”의 의미를 전달.
  • 5형식 기본 문형 "make + 목적어(us) + 목적격 보어(형용사; uncomfortable)"
  • "make/ us/ uncomfortable"에서 사용된 어법. 목적격 보어인 형용사가 부사처럼 해석되어 단골 출제되는 유형입니다.
  • 2형식 동사 [seem / look / sound / smell / taste / feel / get / grow]+형용사
  • may seem <unapproachable,/ distant,/ superhuman>”에서 사용된 어법
  • 병렬 구조 – and로 2개의 동사구 병치
  • [may seem <unapproachable,/ distant,/ superhuman>]와 [(may) make/ us/ [<look bad>/ (and/ <feel worse>)]by comparison]가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 5형식 사역동사 문형 "make + 목적어(us) + 목적격 보어(동사원형; look~ feel~)"
  • "make/ us/ [<look bad>/ (and/ <feel worse>"에서 사용된 어법.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가 능동 관계일 때 동사원형, 수동 관계일 때, 과거분사
  • 불필요한 연결 부호의 너무 잦은 사용
  • 이 문장에는 의미를 전달하기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은 연결 부호 "" "()" 등이 너무 많이 사용되어 오히려 문맥을 파악하는데 지장을 주고 있음. 난이도를 조절하더라도 정상적인 방법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음.

단락 C

We stand a better chance of doing well at our life tasks if we surround ourselves with people who know what they’re doing and have a lot to teach us. But the research evidence is paradoxical: In problem­solving groups, the participants who are considered the most competent and have the best ideas tend not to be the ones who are best liked. Why?

주요 단어 정리

  • stand a chance: 가능성이 있다 (동의어: have a chance, be likely / 반의어: stand no chance)
  • of ~ing: ~하는
  • do well: 잘 수행하다
  • surround: 둘러싸다
  • paradoxical: 역설적인 (동의어: contradictory, ironic / 반의어: logical, straightforward)
  • problem-solving group: 문제 해결 그룹
  • participant: 참가자 (동의어: attendee, member / 반의어: observer)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e stand a better chance/ <of doing well/ at our life tasks>/
  • 우리는 더 나은 가능성이 있습니다/ <잘 수행하는/ 우리의 삶의 과제에서>/
  • [if we surround/ ourselves/ [with people/ who [know/ [what they’re doing]]/ and/ [have/ [a lot/ <to teach/ us>]]]].
  • [만약 우리가 주변을 둘러싼다면/ [사람들로/ [아는/ [무엇을 그들이 하고 있는지를]]/ 그리고/ [가지고 있는/ [많은 것을/ <가르쳐줄/ 우리를>]]]].
  • But/
  • 그러나/
  • the research evidence is paradoxical:/
  • 연구의 증거는 역설적입니다:/
  • :/ In problem-solving groups,/ [the participants/ who [are considered/ the most competent]/ and/ [have/ the best ideas]]/ tend not to be/ [the ones/ who are best liked].
  • 즉/ 문제 해결 집단들 내에서,/ [참가자들이/ [여겨지는/ 가장 유능하다고]/ 그리고/ [가지고 있는/ 최고의 아이디어를]]/ 되는 경향이 없습니다/ [사람들이/ 가장 호감 받는].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 people/ who [know[what they’re doing]]and[have[a lot/ <to teach/ us>]]”에서 “who”는 선행사, “people”를 수식하여, “그들이 무엇을 하는지 알고 우리에게 가르쳐 줄 많은 것을 가진 사람들”의 의미를 전달.
  • 병치 구문 – 관계절 내에서 and로 2개의 동사구 병치
  • [know[what they’re doing]]와 [have[a lot/ <to teach/ us>]]가 and로 연결된 병치 구문입니다.
  • 간접의문문 “의문사(what) + 주어(they) + 동사구(are doing)”
  • "[what they’re doing]"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목적] “~할 / ~하는/ ~하기 위한”
  • [a lot/ <to teach/ us>]”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구 “a lot”를 수식.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the participantswho [are considered/ the most competent]and[have/ the best ideas]]”에서 “who”는 선행사, “the participants”를 수식하여, “가장 유능한 것으로 여겨지고 최고의 아이디어를 가진 참가자들”의 의미를 전달.
  • 선행사와 관계절 내의 동사의 수의 일치
  • 선행사는 “the participants”로 복수, 따라서 관계절 내의 동사도 “are considered”와 “have”로 복수. 그러면서 2개의 동사구가 병렬 연결된 병치 구문
  • 수동태[be + pp] “be considered”
  • "여겨지다"의 의미로 수동태.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문장의 주어는 “the participants(복수)”, 따라서, 동사구도 “tend not to be(복수)”.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the ones/ who are best liked]”에서 “who”는 선행사, “the ones”를 수식하여, “가장 호감 받는 사람들”의 의미를 전달.
  • 수동태[be + pp] “be liked”
  • "호감받다"의 의미로 수동태.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순서 분석

  1. 제시된 문장에서 “능력(competence)“과 ”호감(liking)“ 사이의 일반적인 인식을 제안합니다.
  2. 단락 (C)에서 능력이 높은 사람이 항상 호감을 얻지는 않는다는 역설적 연구 결과를 제시합니다.
  3. 단락 (B)에서 너무 유능한 사람이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4. 단락 (A)에서 “실수를 저지를 수 있는 불완전성 (fallibility)”이 오히려 호감을 높일 수 있음을 예로 듭니다.

정답 제시

  • 결론적으로, 정답은 ⑤ (C) - (B) - (A)입니다.

결론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6번 지문은 능력과 호감의 역설적 관계를 논리적으로 전개합니다.

본 분석을 통해 학생들은 논리적으로 단락과 단락 사이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파악하는 동시에 지문 내 사용된 접속부사, 대명사, 지시 형용사, 지시 대명사 및 반복되는 의미를 통해 정확한 글의 순서를 파악하는 훈련을 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은 글의 구조를 명확히 이해하도록 돕고, 문장 순서 배열 문제의 해법을 논리적으로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독해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동시에 향상시키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