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40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40번 문제: 또래와 행동 심리의 변화에 관한 심층 분석"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40번 문제는 심리학자 에르빈 스타우브(Ervin Staub)의 연구를 바탕으로, 어린이들이 또래의 존재에 따라 타인의 고통에 반응하는 방식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다룹니다.
연구에 따르면, 어린아이들은 또래와 함께 있을 때 더 적극적으로 도움을 제공하는 반면, 나이가 많은 아이들은 또래의 시선을 의식하여 오히려 도움 행동을 억제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 문제는 빈칸 추론 유형으로, 독자가 어린아이와 나이가 많은 아이들 간 행동의 차이를 분석하고 심리적 배경을 파악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 글은 학생들이 "다른 사람의 평가에 대한 의식", "행동 동기의 심리적 변화", 그리고 이를 텍스트 분석에 적용하는 방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비교적 상세한 어법 해설 내용이 전체적인 글을 이해하시는데 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일부 영문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40.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concern about how we appear to others can be seen in children, though work by the psychologist Ervin Staub suggests that the effect may vary with age. In a study where children heard another child in distress, young children (kindergarten through second grade) were more likely to help the child in distress when with another child than when alone. But for older children ― in fourth and sixth grade ― the effect reversed: they were less likely to help a child in distress when they were with a peer than when they were alone. Staub suggested that younger children might feel more comfortable acting when they have the company of a peer, whereas older children might feel more concern about being judged by their peers and fear feeling embarrassed by overreacting. Staub noted that “older children seemed to discuss the distress sounds less and to react to them less openly than younger children.” In other words, the older children were deliberately putting on a poker face in front of their peers.
The study suggests that, contrary to younger children, older children are less likely to help those in distress in the ___(A)___ of others because they care more about how they are ___(B)___.
(A) (B)
① presence …… evaluated
② presence …… motivated
③ absence …… viewed
④ absence …… assisted
⑤ audience …… trained
문장별 분석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40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요약문
The study suggests that, contrary to younger children, older children are less likely to help those in distress in the ___(A)___ of others because they care more about how they are ___(B)___.
주요 단어 정리
- contrary to~: ~와는 대조적으로 (동의어: in contrast to / 반의어: consistent with)
- distress: 곤경, 고통 (동의어: suffering, hardship / 반의어: comfort, ease)
- presence: 존재, 출석 (동의어: existence / 반의어: absence)
- be evaluated: 평가받다 (동의어: be judged, assessed / 반의어: be ignore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study suggests/
- 이 연구는 암시합니다/
- [that,/ contrary to younger children,/ older children are less likely to help/ [those/ (who or that are) in distress]/ <in the ___(A)___/ of others>]/
- [어린아이들과는 대조적으로,/ 더 나이 든 아이들은 도울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사람들을/ 고통에 처한]/ <(A) 속에서/ 다른 사람들의>]/
- [because they care/ more/ about [how they are ___(B)___]].
- [왜냐하면 그들은 신경 쓰기 때문에/ 더/ [어떻게 그들이 (B)하는지]에 대해]].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suggests/ [that,/ contrary to younger children,/~]"에서 "that,"은 동사, "suggests"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의 생략
- “[those/ (who or that are) in distress]”에서 선행사, “those”를 수식하여, “고통에 처한 사람들”의 의미를 전달.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빈칸 (A)의 추론
- 1) 근거 문장
- → "younger children might feel more comfortable acting when they have the company of a peer, whereas older children might feel more concern about being judged by their peers."
- 2) 이유
- → "presence"는 "또래의 존재"를 의미하며, 문맥에서 older children이 다른 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 행동이 억제된다는 내용을 반영합니다.
- → "the company of a peer"와 "with others"라는 표현이 동일한 의미로 연결됩니다.
- 빈칸 (B)의 추론
- 1) 근거 문장
- → "older children might feel more concern about being judged by their peers and fear feeling embarrassed by overreacting."
- 2) 이유
- → "evaluated"는 "judged(평가받다)"의 동의어로, 또래의 평가와 판단을 신경 쓰는 심리적 행동을 설명합니다.
- → 여기서 "being judged"는 "how they are evaluated"로 자연스럽게 변환됩니다.
문장 1
The concern about how we appear to others can be seen in children, though work by the psychologist Ervin Staub suggests that the effect may vary with age.
주요 단어 정리
- concern: 걱정, 우려, 관심 (동의어: worry, anxiety / 반의어: indifference)
- appear: 보이다, 나타나다 (동의어: seem, look)
- see: 보다, 관찰하다
- work: 연구, 일, 작품
- suggest: 암시하다
- effect: 효과
- vary with~: ~에 따라 다르다 (동의어: differ depending on / 반의어: remain constant)
- age: 나이, 연령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concern/ about [how we appear]/ to others]/
- [걱정이/ [우리가 어떻게 보이는지]에 대한/ 다른 사람들에게]/
- can be seen/ in children,/
- 관찰될 수 있습니다,/ 아이들에게서도,/
- [though <work/ by the psychologist Ervin Staub>/ suggests/ [that the effect may vary/ with age]].
- [비록 <연구가/ 심리학자 에르빈 스타우브에 의한>/ 암시한다 할지라고/ [그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나이에 따라]].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구분
- 문장의 주어는 “The concern”, 동사(구)는 “can be seen”. 항상 주어와 동사를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 간접의문문 “의문사(how) + 주어(we) + 동사(appear)”
-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우리가 어떻게 보이는지”의 의미를 전달.
- 수동태[조동사(can) + be + pp] “can be seen”
- "관찰될 수 있다"로 수동태.
- 양보의 부사절 “though[ although / even if / even though ] + 주어 + 동사”
- “비록 ~일지라도[~이긴 하지만]”의 의미를 전달.
-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suggests/ [that the effect may vary/ with age]"에서 "that"은 동사, "suggests"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문장 2
In a study where children heard another child in distress, young children (kindergarten through second grade) were more likely to help the child in distress when with another child than when alone.
주요 단어 정리
- distress: 고통, 곤경 (동의어: suffering, hardship / 반의어: comfort, ease)
- in distress: 고통에 처한
- kindergarten: 유치원
- likely: ~할 가능성이 있는 (동의어: probable, inclined / 반의어: unlikely)
- be more likely to 부정사: ~할 가능성이 더 높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a study/ where children heard/ another child/ in distress],/
- → [한 연구에서/ 아이들이 들었던/ 다른 아이에 대해/ 고통에 처한],/
- [young children/ (kindergarten/ through second grade)]/
- [어린아이들은/ (유치원에서/ 2학년까지의)]/
- were more likely to help/ <the child/ (who or that was) in distress>/
- 도와줄 가능성이 더 높았습니다/ <아이를/ 고통에 처해 있었던>/
- [when (they were)/ with another child]/ [than [when (they were) alone]].
- → [(그들이 있었을) 때/ 다른 아이와 함께]/ [[(그들이) 혼자서 (있었을) 때]/ 보다].
어법 설명
- 관계부사[=전치사 + 목적격 관계대명사] + 완전한 문장
- "a study/ where children heard/ another child/ in distress"에서 “where”는 선행사, “a study”를 수식하는 “관계부사”로 ”고통에 처한 아이에 대해서 아이들이 들었던 한 연구”의 의미를 전달. [관계부사(=“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완전한 문장”]의 관계도 기억하십시오.
- "공적인 영어 시험에서 현대적 간소화 표현의 적합성: 전통적 문법과의 균형 찾기"
- 공적인 영어 시험, 특히 모의고사와 같은 공식적인 문서 및 교과서에서는 전통적 문법 규칙을 따르는 명확한 표현이 중요합니다. 최근 문제나 교과서에서 등장한 “heard/ another child/ in distress”와 같은 표현은 현대 영어의 간소화된 용법을 반영한 것으로 보이지만, 전통적 관점에서 전치사 "about"이나 동사 "be"의 생략으로 인해 완전하지 않다고 여겨질 수 있습니다.
- 이러한 표현이 공적 문서에 사용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 1. 문법적 명확성 부족: 학생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음.
- 2. 전통적 교육과의 불일치: 기존 학습 규칙에 익숙한 학생들이 오류로 판단할 가능성.
- 3. 시험의 권위 저하: 시험의 공신력과 신뢰성이 약화될 수 있음.
- 따라서 "heard about another child in distress"나 “heard another children be in distress와 같이 전통 문법에 부합하면서도 명확한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합니다. 이는 학습자의 언어 이해를 명확히 평가하며, 시험 문서의 신뢰성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 공적인 영어 시험에서 현대적 표현을 반영하더라도, 전통적 문법과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의 생략
- “<the child/ (who or that was) in distress>”에서 선행사, “the child”를 수식하여, “고통에 처해 있었던 아이”의 의미를 전달.
- 분사구문
- “[when (they were)/ with another child]”은 [when (they were) alone]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young children)가 생략되고 동사 were가 being으로 변경된 후 역시 생략된 분사구문입니다. 또한, “[when alone]”도 [when they were alone]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young children)가 생략되고 동사 were가 being으로 변경된 후 역시 생략된 분사구문입니다.
문장 3
But for older children ― in fourth and sixth grade ― the effect reversed: they were less likely to help a child in distress when they were with a peer than when they were alone.
주요 단어 정리
- reverse: 뒤집다, 반전되다 (동의어: invert, overturn / 반의어: maintain)
- be more likely to 부정사: ~할 가능성이 더 낮다
- peer: 또래, 동료 (동의어: companion, counterpar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for older children/ ― (who or that were) (in fourth and sixth grade) ―/
- 그러나/ 더 나이 든 아이들에게는/ [4학년과 6학년에 있었던(이었던)) ―/
- the effect reversed/
- 그 효과가 반전되었습니다/
- :/ they were less likely to help/ <a child/ (who or that was) in distress>/
- 즉/ 그들이 도울 가능성이 더 낮았습니다/ <아이를/ 고통에 처해 있었던>/
- [when they were/ with a peer]/ [than [when they were alone]].
- [그들이 있을 때/ 한 또래와 함께]/ [[그들이 혼자 있을 때]보다].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의 생략
- “older children/ ― (who or that were) (in fourth and sixth grade)”에서 선행사, “the child”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 "(who or that were)"가 생략된 구조. “4학년과 6학년에 있었던(이었던) 아이”의 의미를 전달.
-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의 생략
- “<a child/ (who or that was) in distress>”에서 선행사, “a child”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 "(who or that were)"가 생략된 구조. “고통에 처해 있었던 아이”의 의미를 전달.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할 때”의 의미를 전달.
문장 4
Staub suggested that younger children might feel more comfortable acting when they have the company of a peer, whereas older children might feel more concern about being judged by their peers and fear feeling embarrassed by overreacting.
주요 단어 정리
- suggest: (넌즈시) 말하다
- comfortable: 편안한 (동의어: at ease, relaxed / 반의어: uncomfortable)
- company: 동반, 친구
- be judged: 평가받다
- embarrassed: 당황한, 부끄러운
- feel embarrassed: 당황스럽게 느끼다
- overracting: 지나친 반응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taub suggested/ [that younger children might feel more comfortable]/
- 스타우브는 말했습니다/ [어린 아이들이/ 더 편안함을 느낄지도 모른다고]/
- [acting]/ [when they have/ <the company/ of a peer>],/
- [행동하면서]/ [그들이 가질 때/ <동반을/ 또래의>],/
- [whereas older children might feel/ [more concern/ <about being judged/ by their peers>]/ and/ [fear/ [feeling embarrassed/ by overreacting]]].
- [더 나이 든 아이들이 느낄지도 모르는 반면에/ [더 많은 걱정을/ <평가받는 것에 대해/ 그들의 또래에 의해>]/ 그리고/ [두려움을/ [당황하게 느끼면서(느낄 때)/ 지나친 반응에 의해]]].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suggested/ [that younger children might feel more comfortable]"에서 "that"은 동사, "suggested"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하면서”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현재분사]”
- "[acting]“에서 사용된 용법. ”[when they act]“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en, 주어 they(=younger children)가 생략된 후, 동사인, ”act”가 “acting”으로 바뀐 형태와 동일.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being judged/ by their peers“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그러면서 수동태. ”그들의 또래들에 의해 판단 받는 것“의 의미를 전달.
- 어법보다는 의미
-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양보의 부사절 “whereas + 주어 + 동사”
- “~하는 반면에 / ~이긴 하지만”의 의미를 전달.
- 분사구문
- “[feeling embarrassed/ by overreacting]”은 [when they feel embarrased/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en, 주어 they(=older children)가 생략되고 동사 feel이 feel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
- 병치 구문 – and로 2개의 명사구 병치
- [more concern/ <about being judged/ by their peers>]와 [fear/ [feeling embarrassed/ by overreacting]]이 and로 연결된 병치 구문.
문장 5
Staub noted that “older children seemed to discuss the distress sounds less and to react to them less openly than younger children.”
주요 단어 정리
- note: 언급하다 (동의어: mention, observe)
- seem to 부정사: ~하는 것처럼 보이다
- discuss: 논의하다
- distress sound: 고통의 소리
- react: 반응하다 (동의어: respond / 반의어: ignore)
- openly: 공공연하게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taub noted/ [that “older children [seemed to discuss/ the distress sounds/ less]/ and/ [(seemed) to react/ to them/ less openly/ than younger children”]].
- 스타우브는 언급했습니다/ [“더 나이 든 아이들이 [논의하는 것처럼 보였다고/ 그 고통의 소리를/ 덜]/ 그리고/ [반응하는 것서럼 보였다고/ 그것에 대해/ 덜 솔직하게/ 어린아이들보다”]].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noted/ [that “older children~]"에서 "that"은 동사, "noted"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병치 구문 –and로 2개의 동사구 병치
- [seemed to discuss/ the distress sounds/ less]와 [(seemed) to react/ to them/ less openly/ than younger children”]가 and로 연결된 병치 구문.
문장 6
In other words, the older children were deliberately putting on a poker face in front of their peers.
주요 단어 정리
- in other words: 다시 말해서
- deliberately: 의도적으로 (동의어: intentionally, purposely / 반의어: accidentally)
- put on~: ~을 입다, ~을 착용하다, (표정을) 하다
- poker face: 무표정한 얼굴
- put on a poker face: 무표정을 짓다
- in front of~: ~의 앞에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other words,/
- 다시 말해서,/
- the older children were deliberately putting on/ a poker face/ in front of their peers].
- 더 나이 든 아이들은/ 의도적으로 하고 있었습니다/ 무표정한 얼굴을/ 그들의 또래들 앞에서.
어법 설명
- 접속부사구 "in other words"
- 문장 내에서 "다시 말해서"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문제 풀이와 정답
문제 풀이 및 정답
- (A) presence: "‘the company of a peer’라는 문구와 연결되어 ‘presence’가 적합합니다."
- (B) evaluated: "‘being judged’의 동의어로 ‘evaluated’가 가장 적절합니다.“
정답 제시
- 결론적으로, 정답은 ① presence …… evaluated입니다.
결론
"행동 심리의 연령별 차이를 이해하며 논리적 사고력을 키우자"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40번 문제는 또래 관계와 행동 심리의 연령별 변화를 탐구하며, 나이가 많은 아이들이 또래의 평가를 의식하여 도움 행동을 억제하는 이유를 명확히 제시합니다. 빈칸 (A)에는 "presence(존재)", (B)에는 "evaluated(평가받다)"가 가장 적합하며, 이는 연구에서 나이가 많은 아이들이 또래의 시선과 평가를 의식한다는 심리적 설명과 일치합니다.
학생들은 이 문제를 통해 사회적 맥락과 심리적 요인을 바탕으로 독해를 확장하고, 빈칸 추론 문제에서 논리적 사고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비교적 상세한 어법 해설 내용이 전체적인 글을 이해하시는데 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