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20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20번 지문은 수학적 소양과 비판적 사고의 연관성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의사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서 수학 교육의 중요성을 다루고 있습니다. 필자는 수학 교육이 비판적 사고와 결합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본 분석에서는 각 문장의 주요 단어, 청크별 의미 해석, 그리고 어법을 철저히 설명하며, 글의 논리적 흐름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습니다.
주장하는 바를 찾는 것은 항상 “글의 주장”이 뭔지를 기억하고 찾으려는 습관을 들여야 쉽게 체득할 수 있습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0.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To be mathematically literate means to be able to think critically about societal issues on which mathematics has bearing so as to make informed decisions about how to solve these problems. Dealing with such complex problems through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mirroring real-world problems requires innovative ways of planning and organizing mathematical teaching methods. Navigating our world means being able to quantify, measure, estimate, classify, compare, find patterns, conjecture, justify, prove, and generalize within critical thinking and when using critical thinking. Therefore, making decisions, even qualitatively, is not possible without using mathematics and critical thinking. Thus, teaching mathematics should be done in interaction with critical thinking along with a decision-making process. They can be developed into the mathematical context, so that there is no excuse to not explicitly support students to develop them.
① 비판적 사고를 통한 의사 결정 능력이 수학적 맥락에서 함양되어야 한다.
② 객관적 사고를 위해 사회 현상을 수학적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③ 수학 수업의 과제는 실생활의 제반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연관되어야 한다.
④ 의사 결정 시 정량적인 방법에 치중해 정성적인 부분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⑤ 수학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범교과적인 학습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문장별 분석
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20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To be mathematically literate means to be able to think critically about societal issues on which mathematics has bearing so as to make informed decisions about how to solve these problems.
주요 단어 정리
- mathematically literate: 수학적 소양을 갖춘
- think critically: 비판적으로 사고하다
- societal issue: 사회적 문제
- bearing: 관련성 (동의어: relevance, connection)
- have[has] bearing on~: ~와 관련성이 있다
- so as to 부정사: ~하기 위하여, ~하도록
- informed decision: 정보에 근거한 결정
- how to solve~: ~을 해결하는 방법, 어떻게 ~을 해결해야 하는지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o be mathematically literate>/ means/
- <수학적 소양을 갖춘었다는 것은>/ 의미합니다/
- <to be able to think/ critically>/
- <사고할 수 있다는 것을/ 비판적으로>/
- [about societal issues/ on which/ mathematics has bearing]/
- [사회적 문제에 대해/ 그것에 대해/ 수학이 관련이 있는]/
- so as to make/ informed decisions/
- 내리기 위해서/ 정보에 근거한 결정을/
- [about how to solve/ these problems]
-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이러한 문제들을]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 "To be mathematically literate"에서 "To be~" ‘~하는 것/~하기/~할 것’의 의미로 주어 역할을, “to be able to think/ critically”에서 "to be able to think"는 목적어 역할을 하여 명사적 용법입니다. 영어에서 명사적 용법은 주어, 목적어, 보어로 사용된 경우를 말합니다. 전치사의 목적어로 사용된 경우도 명사적 용법이나 to 부정사는 전치사의 목적어로는 쓰이지 않고 동명사[동사+ing]가 사용됩니다.
- [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 = 관계부사]+완전한 문장
- "societal issues/ on which/ mathematics has bearing"에서 사용된 어법. 수능에서는 “[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 = 관계부사]+완전한 문장”과 “관계대명사+불완전한 문장”의 차이를 구별하는 문제로 출제됩니다.
- 의문사+to 부정사
- "how to solve"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사의 고유한 의미+~해야 하는지”의 의미로 해석되며, 이렇게 해석되는 이유는 “의문사+주어+Should+동사원형”로 바꿔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의문사로 how가 오는 경우 ‘어떻게 ~해야 하는지“ 또는 ’~하는 방법”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주장하는 바를 찾는 문제 해결 Tip
- 주장하는 바를 찾는 것은 글을 읽으며 찾는 방법밖에는 없습니다. 항상 머리 속에 “글의 주장”을 잊지 말고 독해해야 합니다. 문장 1에서 “현대인에게 운동을 위해 시간을 내는 것이 어렵다”는 의미를 전달하고 있고, 다음 내용이 “수학적 소양을 갖춘 것”의 의미를 “수학과 관련이 있는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의사 결정을 위해 비판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는 것” 정도의 내용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문장의 핵심 키워드는 “수학과 관련이 있는 사회 문제”, “의사 결정” 및 “비판적 사고”입니다.
문장 2
Dealing with such complex problems through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mirroring real-world problems requires innovative ways of planning and organizing mathematical teaching methods.
주요 단어 정리
- deal with~: ~을 다루다/~을 취급하다/~을 처리하다
- such: 그러한
- complex problem: 복잡한 문제
- interdisciplinary approach: 학제 간 접근법
- mirror: 반영하다 (동의어: reflect, represent)
- real-world problem: 현실의[실제] 문제
- require: 필요로 하다, 요구하다
- innovative: 혁신적인 (동의어: creative, novel / 반의어: conventional)
- of ~ing: ~하는
- organize: 조직하다, 정리하다
- mathematical teaching method: 수학적인 교육 방법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Dealing with/ such complex problems/ through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 [다루는 것은/ 그러한 복잡한 문제들을/ 학제 간 접근법을 통해]/
- [mirroring/ real-world problems]/
- [반영하면서/ 현실의 문제들을]/
- requires/
- 필요로 합니다/
- innovative ways/ <of planning and organizing/ mathematical teaching methods>.
- 혁신적인 방식들을/ <계획하고 조직하는/ 수학적 교육 방법들을>.
어법 설명
- 동명사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Dealing with/~ approaches]에서 주어는 "Dealing"이며 따라서 동사도 3인칭 단수 동사인 "requires"가 왔음에 유의하세요. 수의 일치는 수능에서 가장 빈번하게 출제됩니다.
- 독립 분사구문
- [mirroring/ real-world problems]을 절로 바꾸면 [while they mirror/ real-world problems]가 되며 이 종속절의 주어는 이 문장의 주어인 [Dealing with~]와 다르기 때문에 포시해야 함에도 일반적인 사람, 누구나 알 수 있는 경우는 생략합니다. 그런 경우를 독립 분사구문으로 이해하세요. 여기서 they는 첫 문장에서 간접적으로 언급한 “수학적 소양을 가춘 사람들” 정도가 됩니다.
- 주장하는 바를 찾는 문제 해결 Tip에 따른 주장의 실마리 찾기 1
- 문장 2에서 수식구를 모두 제거하고 주어부와 술어부만 남기면 “그러한 복잡한 문제(수학과 관련된 사회 문제)를 다루는 것은 수학적 교육 방법들을 계획하고 조직하는 혁신적인 방법을 필요로 한다”입니다.
문장 3
Navigating our world means being able to quantify, measure, estimate, classify, compare, find patterns, conjecture, justify, prove, and generalize within critical thinking and when using critical thinking.
주요 단어 정리
- navigate: (어려운 상황 등을) 헤쳐 나가다 (동의어: manage, handle)
- be able to 부정사: ~할 수 있다
- quantify: 수량화하다
- estimate: 추정하다 (동의어: approximate, assess)
- classify: 분류하다 (동의어: categorize, group)
- conjecture: 추측하다 (동의어: hypothesize, guess)
- justify: 정당화하다 (동의어: explain, defen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Navigating/ our world>/ means/
- <헤쳐 나가는 것/ 우리 세상을>/ 의미합니다/
- <being able to quantify, measure, estimate, classify, compare, find patterns, conjecture, justify, prove, and generalize>/
- <수량화하고, 측정하고, 추정하고, 분류하고, 비교하고, 패턴을 찾고, 추측하고, 정당화하고, 증명하고, 일반화할 수 있다는 것을>/
- [[within critical thinking]/ and/ [when using/ critical thinking]].
- [[비판적 사고 안에서]/ 그리고/ [사용할 때/ 비판적 사고를]].
어법 설명
- 동명사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Navigating/ our world>에서 주어는 "Navigating"이며 따라서 동사도 3인칭 단수 동사인 means가 왔음에 유의하세요. 수의 일치는 수능에서 가장 빈번하게 출제됩니다.
- 타동사의 목적어로 사용된 동사+ing[동명사]
- <being able to quantify, measure, estimate, classify, compare, find patterns, conjecture, justify, prove, and generalize>에서 to 부정사에 10개의 동사(구)가 병치된 구조로 ~하고, ~하고......., ~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 주장하는 바를 찾는 문제 해결 Tip에 따른 주장의 실마리 찾기 2
- 문장 3의 주어인, “Navigating the world”는 문맥상 “수학과 관련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의미하고 여러 가지 동사로 바꾸어 표현은 했지만 “비판적 사고 내에서 사고되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문장 4
Therefore, making decisions, even qualitatively, is not possible without using mathematics and critical thinking.
주요 단어 정리
- make decisions: 결정을 내리다
- qualitatively: 질적으로 (반의어: quantitatively)
- possible: 가능한 (동의어: feasible / 반의어: impossible)
- mathematics: 수학
- critical thinking: 비판적 사고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refore/
- 그러므로/
- <making decisions/ even qualitatively>/
- <결정을 내리는 것은/ 심지어 질적으로도>/
- is not possible/
- 가능하지 않습니다/
- [without using/ <mathematics and critical thinking>].
- [사용하지 않고는/ <수학과 비판적 사고를>].
어법 설명
- 접속부사 Therefore
- 현재 수능에서나 모의고사에서는 기출되지 않지만, 한 지문에 접속부사 3개 이상을포함한 경우 내신에서는 여전히 출제되고 있습니다.
- 동명사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making decisions/ even qualitatively>에서 주어는 "making"이며 따라서 동사도 3인칭 단수 동사인 "is"가 왔음에 유의하세요. 수의 일치는 수능에서 가장 빈번하게 출제됩니다.
- 주장하는 바를 찾는 문제 해결 Tip에 따른 주장의 실마리 찾기 3
- 문장 4의 주어인 “making decisions” 역시 문맥상 “수학과 관련이 있는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의사 결정”을 의미하며 “수학과 비판적 사고”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말입니다.
문장 5
Thus, teaching mathematics should be done in interaction with critical thinking along with a decision-making process.
주요 단어 정리
- Thus: 따라서, 그리므로
- be done: 이루어지다[수동태]
- interaction: 상호작용
- interaction: 상호작용
- along with~: ~와 더불어, ~와 함께
- decision-making process: 의사 결정 과정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us/
- 그러므로/
- <teaching/ mathematics>/ should be done/
- <가르치는 것은/ 수학을>/ 이루어져야 합니다/
- [<in interaction/ with critical thinking>/ along with a decision-making process].
- [<상호작용 속에서/ 비판적 사고와의>/ 의사 결정 과정과 더불어].
어법 설명
- 접속부사 Thus
- 현재 수능에서나 모의고사에서는 기출되지 않지만, 한 지문에 접속부사 3개 이상을포함한 경우 내신에서는 여전히 출제되고 있습니다.
- 동명사 주어와 수동태[should be+pp]
- <teaching/ mathematics>에서 주어는 "teaching"이지만 조동사 경우 수 일치를 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동사구에 "should be done[수동태]"가 사용되습니다. 수동태 역시 자주 출제되는 포인트입니다.
- 주장하는 바를 찾는 문제 해결 Tip에 따른 주장의 실마리 찾기 4
- 문장 5에서 이 글의 주장하는 바가 기술되어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수학을 가르치는 것은 의사 결정 및 비판적 사고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내용으로 ”① 비판적 사고를 통한 의사 결정 능력이 수학적 맥락에서 함양되어야 한다“는 내용과 일치합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답을 ①번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문장 6
They can be developed into the mathematical context, so that there is no excuse to not explicitly support students to develop them.
주요 단어 정리
- develop: 발전[향상]시키다
- context: 맥락
- so that~: ~하도록 (하기 위하여)
- there is no excuse: 변명의 여지가 없다
- explicitly: 명확하게, 분명히 (동의어: clearly, plainly / 반의어: implicitly)
- support: 지원하다 (동의어: assist, help / 반의어: oppos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y can be developed/ into the mathematical context/
- 그것들은 발전될 수 있습니다/ 수학적 맥락 속에서/
- [so that there is no excuse/ [to not explicitly support/ students/ <to develop/ them>]].
- [변명의 여지가 없도록/ [명확히 지원하지 않을/ 학생들을/ <발전시키도록/ 그것들을>]].
어법 설명
- 대명사의 지시 대상
- 이 문장의 주어인 "They"는 문맥상 "critical thinking"과 "a decision making process"로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또한 문장 마지막에 사용된 대명사 "them" 역시 "critical thinking"과 "a decision making process"입니다. 대명사가 너무 많이 사용되어 정확한 의미 전달을 오히려 방해하고 있다고 분석자는 생각합니다.
- 마지막 문장의 논리적인 문제점
- 1) 필자의 주된 주장은 수학 교육이 단순히 수학적 개념 전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비판적 사고와 의사 결정 능력을 길러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 2) 이를 이행하는 주체는 문장 2번에서 언급한 “수학적 소양이 있는 사람들(people who are mathematically literate)"이 됩니다. 이 지문에서는 유일합니다. 그러나 "there is no excuse(변명의 여지가 없다)"라는 표현의 주체, 즉, 구체적으로 "누가" 이 책임을 지고 학생들을 지원해야 하는지가 빠져 있어서 지문을 읽고 난 후에도 찝찝한 기분이 남을 것입니다.
- 3)이에 따라 "수학적 소양을 갖춘 사람들(mathematically savvy people)"이 학생들이 비판적 사고와 의사 결정 능력을 키우도록 돕지 않는 것에 대한 변명의 여지가 없다고 명시적으로 표현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반영하여 6번 문장을 재구성하면 ”There is no excuse for mathematically savvy people not to clearly help students develop critical thinking and decision-making processes.“
- so that~ 용법
- ’~하도록 (하기 위하여)‘의 의미로 해석되는 특수구문입니다.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 no excuse/ [to not explicitly support/ students/ <to develop/ them>] 역시 누가가 빠져 있는 상태이지만 ~’하지 않을/~하지 않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하는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으로 no excuse를 수식합니다. 이미 해설한 바와 같이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로 for mathematically savvy(literate) people이 들어가야 의미적으로 완벽합니다. 다만, 이를 해석할 때 '~하는 것에 대한'으로 의역하는 것이 좀 더 자연스럽습니다.
- 5형식 to 부정사 구문
- "support/ students/ <to develop/ them>"은 5형식 to 부정사 구문으로 목적격 보어인 to 부정사는 미래적 의미를 전달합니다. 아까 지적했듯이 이 지문에서 them은 구체적으로 critical thinking과 decision-making process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근거 문장 제시
- "To be mathematically literate means to be able to think critically about societal issues on which mathematics has bearing so as to make informed decisions about how to solve these problems.“
- 이 문장은 수학적 소양과 비판적 사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의사 결정과 문제 해결에 필요함을 설명합니다.
- "Thus, teaching mathematics should be done in interaction with critical thinking along with a decision-making process.“
- 수학 교육은 비판적 사고와 의사 결정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야 한다는 필자의 주장입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가장 적절한 답은① 비판적 사고를 통한 의사 결정 능력이 수학적 맥락에서 함양되어야 한다.
결론
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20번 지문에서, 필자는 수학적 소양을 갖추는 것이 사회적 문제 해결과 의사 결정에서 비판적 사고와 결합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수학을 가르칠 때 비판적 사고와 의사 결정 과정을 함께 다룸으로써 학생들이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이 지문을 오류 포함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