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21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21번 지문은 오늘날 우리는 단순한 행동이나 외부적 요인으로 사람의 본질적 성품이 변화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합니다. 진정한 덕목은 순간적인 변화가 아닌, 지속적인 행동과 내면의 성장을 통해 형성된다는 주제가 이번 고2 모의고사 21번 지문의 핵심입니다. 필자는 도덕적 성품이 약물 복용이나 단발적 행동으로 만들어질 수 없음을 강조하며, 성품 형성의 진정한 본질을 탐구합니다. 이 글에서는 지문 분석을 통해 필자의 주장을 상세히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올바른 답을 도출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합니다.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함축적인 의미를 추론하는 것은 함축적 의미를 포함하는 부분을 먼저 읽고 그 부분의 지문과의 연관성을 찾아야 합니다. 대부분 비유적 표현으로 되어 있어 이해하기는 다소 어렵더라도 먼저 함축적 의미부를 반드시 읽고 시작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문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1. 밑줄 친 Seeing is not believing.이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When we see something, we naturally and automatically break it up into shapes, colors, and concepts that we have learned through education. We recode what we see through the lens of everything we know. We reconstruct memories rather than retrieving the video from memory. This is a useful trait. It’s a more efficient way to store information ― a bit like an optimal image compression algorithm such as JPG, rather than storing a raw bitmap image file. People who lack this ability and remember everything in perfect detail struggle to generalize, learn, and make connections between what they have learned. But representing the world as abstract ideas and features comes at a cost of seeing the world as it is. Instead, we see the world through our assumptions, motivations, and past experiences. The discovery that our memories are reconstructed through abstract representations rather than played back like a movie completely undermined the legal primacy of eyewitness testimony. Seeing is not believing.

* retrieve: 상기하다 ** primacy: 우위성

① Abstract ideas are hard to explain without relevant images.
② It takes longer to retrieve unconsciously encoded information.
③ Beliefs formed from repeated experiences do not easily change.
④ Our memories fall short of an objective representation of the world.
⑤ Comprehension of facts precedes the formation of abstract concepts.

문장별 분석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21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Imagine that your usually stingy friend delights in buying you a Christmas present after taking a generosity booster.

주요 단어 정리

  • imagine: 상상하다
  • stingy: 인색한 (동의어: miserly / 반의어: generous)
  • delight in ~: ~을 기뻐하다 (동의어: enjoy, be pleased with)
  • generosity booster: (가상의) 관대함을 증가시키는 약물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magine/
  • 상상해보세요/
  • [that your usually stingy friend/ delights in/  <buying/ you/ a Christmas present>/ [after taking/ a generosity booster]].
  • [당신의 평소 인색한 친구가/ 기뻐한다고/ <사주는 것을/ 당신에서/ 크리스마스 선물을>/ [복용한 후에/ 관대함을 증가시키는 약물을]].

어법 설명

  • 명령문[동사원형+~]
  • 요즘 모의고사에서 빈번히 출제되며 동사원형을 ~ing, to 부정사으로 변경하여 출제합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Imagine[that your usually stingy frienddelights in/  <buying/ you/ a Christmas present>/ [after taking/ a generosity booster]]"에서 "that"은 동사 "Imagine"의 목적어, 즉,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고/~라는 것을’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수능 수준에서 기억할 포인트는 “관계대명사+불완전한 문장” “관계대명사 이외의 접속사+완전한 문장”을 이해하고 기억하세요.
  • 타동사구의 목적어로 사용된 동명사
  • 타동사구(delights in)의 목적어로 "<buying/ you/ a Christmas present>"이 사용되었고 이 "buying(사주는 것)'의 의미로 동명사입니다.

  • 분사구문
  • "[after taking/ a generosity booster]"은 "[after he took/ a generosity booster]"의 종속절에서 주어(he=your usually stingy friend)를 생략하고 tooktaking으로 바꾼 분사구문입니다. 대부분의 책에서는 ‘after ~ing(~한 후에)‘로 관용구로 설명합니다.
  • 함축적 의미 추론 문제 해결 Tip
  • 문장 1의 핵심 내용“인색한 친구가 관대함을 높여주는 약물을 먹고 갑자기 관대해지는 것에 대한 상상”입니다. 다음으로 함축적 의미를 담고 있는 문장을 먼저 읽고 그 부분의 지문과의 연관성을 찾아야 합니다. 즉, 이 문장은 "Popping a pill cannot make you a better person"과의 직접적 연결이 가능합니다. 더군다나, “약을 복용하는 것이 사람을 더 나은 사람으로 만들 수 없다는 것“이 밑줄 친 부분의 의미이기 때문에 우선 보기를 확인하고 그러한 내용이 서술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보기 중 그 의도와 가장 가까운 것은 ”④ Good traits come from established behavior, not from a single action.(좋은 특성은 갖추어진 행동으로부터 나오지 단 한번의 행위로부터 나오는 것이다.)“의 의미가 가장 가깝습니다. 실전에서는 ④번을 정답을 선택하고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문장 2

How would you feel?

주요 단어 정리

  • feel: 느끼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ow/ would you feel?
  • 어떻게/ 당신은 느끼시겠습니까?

어법 설명

  • 특별히 언급할 어법 내용이 없습니다.

문장 3

Undoubtedly, there is something praiseworthy about the action.

주요 단어 정리

  • undoubtedly: 의심할 여지없이
  • praiseworthy: 칭찬할 만한 (동의어: commendable, admirabl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Undoubtedly/ there is something praiseworthy/ about the action.
  • 의심할 여지없이/ 칭찬할 만한 무언가가 있습니다/ 그 행동에 대해.

어법 설명

  • 부정대명사와 형용사
  • 부정대명사 ~thing, ~body, ~one은 형용사가 후치 수식합니다. 내신에 간혹 출제됩니다.

문장 4

You’d be pleased to receive the gift. You’d say ‘thank you’, and mean it.

주요 단어 정리

  • pleased: 기쁜
  • receive: 받다
  • and mean it: (관용적) 진심으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You’d be pleased/
  • 당신은 기쁠 것입니다
  • <to receive/ the gift>./
  • <받는되어/ 그 선물을>./
  • You’d say/ ‘thank you’/ and mean it.
  • 당신은 말할 것입니다/ "고마워"라고/ 진심으로.

어법 설명

  • 수동태[조동사+be+pp]
  • please가 ‘기쁘게[즐겁게] 하다’라는 타동사로 분명 수동태이지만, 한국어는 그렇게 표현하면 어색하기에 pleased를 ‘기쁜/즐거운’으로 의역합니다. 원래 의미는 ‘기쁘게 된’입니다. 대부분의 감정의 형용사들이 이런 구조입니다. 이렇게 이해하면 수동태를 이해하는데 보다 더 용이합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중 결과
  • "<to receive/ the gift>"에서 "to receive"는 ‘받게 되어/받게 되다니’의 의미를 전달하며 to 부정사의 용법 중 부사적 용법에 해당 됩니다. to 부정사의 용법은 문장 내에서의 해석으로 구별합니다.

문장 5

But his change of heart is not entirely satisfying.

주요 단어 정리

  • change of heart: 마음의 변화
  • satisfying: 만족스러운 (동의어: gratifying, fulfilling / 반의어: unsatisfying)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his change/ of heart>/ is not entirely satisfying.
  • 그러나/ <그의 마음의/ 변화는>/ 완전히 만족스럽지는 않습니다.

어법 설명

  • 특별히 언급할 어법 내용이 없습니다.

문장 6

According to Zagzebski, an American philosopher, he is not really generous.

주요 단어 정리

  • according to~: ~에 따르면, ~에 따라서
  • philosopher: 철학자
  • generous: 관대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ccording to Zagzebski,/ an American philosopher>,/
  • <Zagzebski에 따르면/ 미국 철학자인>,/
  • he is not really generous.
  • 그는 진짜로 관대한 것이 아닙니다.

어법 설명

  • 특별히 언급할 어법 내용이 없습니다.

문장 7

When we praise someone’s character, we use words for various virtues: ‘generous’, ‘kind’, ‘courageous’, etc.

주요 단어 정리

  • praise: 칭찬하다 (동의어: commend, compliment / 반의어: criticize)
  • character: 성격, 성품
  • various: 다양한
  • virtue: 덕목 (동의어: quality, moral excellence)
  • courageous: 용기 있는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we praise/ someone’s character],/
  • [우리가 칭찬할 때/ 누군가의 성품을],/
  • we use/ [words/ <for various virtues/: ‘generous’, ‘kind’, ‘courageous’, etc.>]
  • 우리는 사용합니다/ [단어들을/ <다양한 덕목을 위한/: '관대한', '친절한', '용기 있는', 등등의>]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when+주어+동사]
  • ‘~할 때’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장 8

A person who gives one gift isn’t generous.

주요 단어 정리

  • give: 주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 person/ who gives/ one gift]/
  • [사람은/ 준/ 한 번의 선물을]/
  • isn’t generous.
  • 관대하지 않습니다.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A person/ who gives/ one gift]"에서 "who"는 선행사, "A person"을 수식하여 "한 개의 선물(한 번 선물을) 준 사람)". that으로도 대체 가능합니다.

문장 9

Instead, generosity is a stable part of a person’s ‘moral identity’, an emotional habit that is part of who you are.

주요 단어 정리

  • instead: 대신에
  • generosity: 관대함
  • stable: 안정적인 (동의어: consistent / 반의어: unstable)
  • moral identity: 도덕적 정체성
  • emotional: 감정적(인)
  • habit: 습관
  • who you are: 당신이 누구인지, 당신의 본성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stead/ generosity [[is a stable part/ of a person’s ‘moral identity’],/ [an emotional habit/ that is part/ [of who you are]]].
  • 대신에/ 관대함은 [[안정된 부분입니다/ 개인의 '도덕적 정체성'의],/ [감정적 습관이라는/ 일부인/ [당신이 누구인지의(당신의 본성의)]]].

어법 설명

  • 동격의 comma(,)
  • a stable part/ of a person’s ‘moral identity’’”와 "[an emotional habit/ that is part/ [of who you are]]"은 동격입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an emotional habit/ that is part/ [of who you are]"에서 "that"은 선행사, "an emotional habit"을 수식하여 "당신이 누구인지의(딩신의 본성의) 일부인 감정적 습관"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which로도 대체 가능합니다.
  • 간접 의문문
  • who you are”는 간접 의문문[의문사+주어+동사]입니다.

문장 10

Thus virtues, as opposed to nontypical impulse, are the result of your personal history.

주요 단어 정리

  • thus: 따라서, 그러므로
  • as opposed to~: ~와는 대조적으로
  • nontypical impulse: 비정형적인 충동
  • personal history: 개인적 역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us/ <virtues/ as opposed to nontypical impulse>/
  • 따라서/ <덕목은/ 비정형적인 충동과는 대조적으로>
  • <are the result/ of your personal history>.
  • <그 결과입니다/ 당신의 개인적 역사의>.

어법 설명

  • 접속부사 " Thus"
  • "그러므로 / 따라서"의 의미를 전달. 수능이나 모의고사에선 출제되지 않으나 내신에서는 여전히 출제됩니다. 접속 부사가 한 지문에 3개 이상 사용되면 빈칸 문제로 출제됩니다.

문장 11

They are part of who you are, as they are part of how your character was formed.

주요 단어 정리

  • character: 성격, 인격
  • form: 형성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y are part/ [of who you are]/
  • 그것들은 일부분입니다/ [당신이 누구인지의(당신의 본성의)]/
  • [as they are part/ [of how your character was formed]].
  • [그것들이 일부분이기 때문에/ [어떻게 당신의 성격이 형성되었는지의]].

어법 설명

  • 간접 의문문
  • who you are”는 간접 의문문[의문사+주어+동사]입니다.
  • 이유의 부사절[as+주어+동사]
  • as+주어+동사는 여러 가지 의미가 있으나 여기서는 ‘~이기 때문에’의 의미입니다.
  • 간접 의문문
  • how your character was formed”는 간접 의문문[의문사+주어+동사]입니다.
  • 수동태[be+pp]
  • was formed(형성되었다)”는 수동태[be+pp]입니다. 수동태는 ‘~되어지다/~당하다’로 해석됩니다.

문장 12

Instant virtue is therefore impossible. Popping a pill cannot make you a better person.

주요 단어 정리

  • instant: 즉각적인
  • impossible: 불가능한
  • pop a pill: 알약을 복용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stant virtue is therefore impossible/
  • 즉각적인 덕목은/ 그러므로/ 불가능합니다/
  • <Popping a pill>/ cannot make/ you/ a better person.
  • <복용하는 것은/ 알약을>/ 만들 수 없습니다/ 당신을/ 더 나은 사람으로.

어법 설명

  • 5형식 기본 문형
  • make/ you/ a better person”는 5형식 기본 문형이며 목적격 보어로 명사/형용사가 사용됩니다. 형용사가 사용될 때 부사처럼 해석되기 때문에 수능에서는 이 부분이 주로 출제됩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단순한 행동이나 외부적 요인으로 사람의 본질적 성품이 변화할 수는 없다"는 내용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근거 문장 제시

  • Imagine that your usually stingy friend delights in buying you a Christmas present after taking a generosity booster.
  • 이 문장 자체의 의미가 “알약을 한 번 복용하는 것으로 인색한 친구가 변하는 것은 아니다.”의 의미를 유추할 수 있습니다
  • "A person who gives one gift isn’t generous. Instead, generosity is a stable part of a person’s ‘moral identity’, an emotional habit that is part of who you are."이 문장은 진정한 덕목이 지속적인 습관과 내면적 특성에서 비롯된다고 설명합니다. 단발적인 행동은 그 자체로 덕목이 될 수 없습니다.
  • "Instant virtue is therefore impossible."즉각적으로 덕목을 획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명확히 말하며, 순간적인 변화로 성품이 바뀔 수 없음을 강조합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가장 적절한 답은 ④ Good traits come from established behavior, not from a single action.입니다.

결론

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21번 지문은 제시된 “Popping a pill cannot make you a better person”이라는 표현은 도덕적 성품 형성의 핵심을 간결히 요약합니다. 필자는 진정한 덕목이 일시적인 행동이 아닌, 개인의 내면적 습관과 지속적인 도덕적 노력을 통해 형성된다고 강조합니다. 덕목은 개인의 역사와 일관된 행동을 통해 만들어지는 ‘도덕적 정체성’의 중요한 부분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는 단순한 외부적 변화가 아닌, 내적 성찰과 꾸준한 행동을 통해 진정한 성품의 성장을 추구해야 할 것입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