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22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22번 지문은 측정의 본질에 대해 설명하며, 측정이 단순히 특정한 값을 독립적으로 추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이론과 값을 통해 계산하는 과정임을 강조합니다. 특히 먼 별의 질량을 측정하는 과정을 통해 측정이 복잡하고 여러 이론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글의 주제, 요지, 제목 찾기, 주장하는 바에 대한 문제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동일합니다. 글의 핵심 주장을 찾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아래로”로 독해해 나가다가 “Clue”가 없다고 판단되면,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을 변경하세요. 그러다 보면, 핵심 주장을 찾을 것이고 이때 예문을 확인하여 답을 선택하는 풀이 방법이 택하세요.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문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2.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To determine the mass of my bowling ball, I might put it onto a balance and compare it with a known mass, such as a number of metal cubes each weighing 1, 10, or 100 grams. Things get much more complicated if I want to know the mass of a distant star. How do I measure it? We can roughly say that measuring the mass of a star involves various theories. If we want to measure the mass of a binary star, we first determine a center of mass between the two stars, then their distance from that center which we can then use, together with a value for the period and a certain instance of Kepler’s Third Law, to calculate the mass. In other words, in order to “measure” the star mass, we measure other quantities and use those values, together with certain equations, to calculate the mass. Measurement is not a simple and unmediated estimation of independently existing properties, but a determination of certain magnitudes before the background of a number of accepted theories.

* binary star: 쌍성

① 각기 다른 실험으로부터 도출된 결괏값은 모두 유의미하다.

② 정밀한 측정을 위해 가능한 한 많은 이론을 고려하는 것이 좋다.

③ 검증된 공식들을 적용하기 전에 측량 단위를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④ 측정은 이미 정립된 이론들을 토대로 값을 구하는 과정이다.

⑤ 관찰자와 물체의 거리가 멀수록 측정 과정이 복잡해진다.

문장별 분석

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2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To determine the mass of my bowling ball, I might put it onto a balance and compare it with a known mass, such as a number of metal cubes each weighing 1, 10, or 100 grams.

주요 단어 정리

  • determine: 측정하다, 결정하다
  • mass: 질량
  • balance: 저울
  • compare A with B: A를 B와 비교하다
  • such as~: ~같은
  • a number of~: 많은 수의~, (여기서는) 여러 개의~
  • weigh: 무게가 나가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o determine/ <the mass/ of my bowling ball>/
  • 측정하기 위하여/ <질량을/ 내 볼링공의>/
  • I [might put/ it/ onto a balance]/ and/ [compare/ it/ with a known mass]/
  • 나는 [올려 놓을 수 있다/ 그것을/ 저울 위에]/ 그리고/ [비교할 수 있다/ 그것을/ 알려진 질량과]/
  • [such as a number of metal cubes/ [each weighing/ 1, 10, or 100 grams]].
  • [여러 개의 금속 큐브와 같은/ [각각 무게가 나가는/ 1, 10 또는 100그램의]].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determine/ <the mass/ of my bowling ball>"에서 사용된 어법.
  • 동사구를 and로 변결 연결
  • "[might put/ it/ onto a balance]"와 "[compare/ it/ with a known mass]"는 2개의 동사구를 등위 접속사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 ‘~하는/~하고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현재분샤[동사+ing]
  • "[each weighing/ 1, 10, or 100 grams]"에서 "weighing"은 ‘무게가 나가는’의 의미로 앞에 나온 명사 "each"를 수식합니다. 수능, 모의고사, 내신에서는 동사+ing, to 부정사, 동사+ed의 의미적 차이를 묻는 문제가 출제됩니다.
  • 요지 찾기 문제 해결을 위한 Tip
  • “위에서 아래로 독해” → 문장별 핵심 주장 도출 → 지문의 핵심 주장인지 판단 → 두 개의 문장을 읽었으나 “지문의 핵심 주장”이 모호한 경우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 변경 → 문장별 핵심 주장 도출 → 지문의 핵심 주장인지 판단 → 보기를 확인하고 정답 도출
  • 문장 1의 핵심 내용『질량의 측정 방법』입니다. 무언가를 주장하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계속 읽어 내려갑니다.

문장 2

Things get much more complicated if I want to know the mass of a distant star.

주요 단어 정리

  • thing: 상황, 일, 것, 물건, 사물
  • get complicated: 복잡해지다
  • distant star: 먼 별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ngs get much more complicated/
  • 상황이 훨씬 더 복잡해집니다/
  • [if I want/ [to know/ <the mass/ of a distant star>]].
  • [내가 원한다면/ [알기를/ <질량을/ 먼 별의>]].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if+주어+동사]
  • ‘~한다면’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 want[to know/ <the mass/ of a distant star>]’에서 "to know"는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으로 ‘~하기/~하는 것/~할 것’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 요지 찾기 문제 해결을 위한 Tip에 따른 요치 찾기 1
  • 문장 2의 핵심 내용『별의 질량을 측정할 때 상황이 더 복잡해진다.』입니다. 아직까지 이거다하는 보기 내용이 없습니다. 다만 문장 1과 문장 2의 내용으로 볼 때, 주된 주제가 "질양의측정"이라는 것을 기억합니다. Tip에 따라 독해 방향을 바꾸도록 하겠습니다. 따라서,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을 바꾸어 계속 읽어 올라갑니다.

문장 3

How do I measure it?

주요 단어 정리

  • measure: 측정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ow/ do I measure/ it?
  • 어떻게/ 제가 측정할까요/ 그것을?

어법 설명

  • 특별히 언급할 어법 내용이 없습니다.

문장 4

We can roughly say that measuring the mass of a star involves various theories.

주요 단어 정리

  • roughly: 대략적으로
  • involve: 포함하다
  • various: 다양한
  • theory: 이론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e can roughly say/
  • 우리는 대략적으로 말할 수 있습니다
  • [that [measuring/ <the mass/ of a star>]/ involves/ various theories]/
  • [[측정하는 것이/ <질량을/ 별의>]/ 포함한다고/ 다양한 이론들을]/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
  • "can roughly say[that [measuring/ <the mass/ of a star>]involves/ various theories]"에서 "that"은 목적절[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동사구 "can roughly say"의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라고/~라는 것을’로 해석됩니다.
  • that 절의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that 절의 주어는 "measuring"으로 단수, 따라서 동사의 형태도 단수로, "involves".

문장 5

If we want to measure the mass of a binary star, we first determine a center of mass between the two stars, then their distance from that center which we can then use, together with a value for the period and a certain instance of Kepler’s Third Law, to calculate the mass.

주요 단어 정리

  • binary star: 쌍성
  • center of mass: 질량 중심
  • together with~: ~와 함께
  • a value for the period: 주기값, (여기서는) 공전 주기 값(→a value for orbital period)
  • certain: 특정한, 확실한, 어떤
  • instance: 사례, 경우
  • Kepler’s Third Law: 케플러의 제 3법칙
  • a certain instance of Kepler’s Third Law: 케플러의 제 3법칙의 특정 사례
  • calculate: 계산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we want/ [to measure/ <the mass/ of a binary star>]],/
  • [민약 우리가 원한다면/ [측정하기를/ <질량을/ 한 쌍성의>]],/
  • we first determine/ [<a center/ of mass>/ between the two stars]/
  • 우리는 먼저 결정합니다/ [<질량/ 중심을>/ 두 별 사이의]/
  • then/ [<their distance/ from that center>/ which we can then use/ [together with <a value for the period>/ and/ <a certain instance/ of Kepler’s Third Law>]]/
  • 그런 다음/ [<그것들의 거리를 (측정합니다)/ 그 중심으로부터의>/ 우리가 그런 다음 이용할 수 있는/ [<공전 주기 값> 및 <케플러의 제 3법칙의/ 특정 사례>와 함께]]/
  • <to calculate/ the mass>.
  • <계산하기 위해서/질량을>.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if + 주어 + 동사]
  •  ‘~한다면’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to measure/ <the mass/ of a binary star>]"에서 사용된 어법.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 "[<their distance/ from that center>/ which we can then use/~]"에서 "which"는 선행사, "<their distance/ from that center>"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입니다. 수능 및 모의고사에서는 “관게대명사+불안전한 문장”, “관계대명사 외의 접속사+완전한 문장”을 구별하는 문제가 출제됩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calculate/ the mass>"에서 사용된 어법.
  • 표현의 오류
  • 이 문장에서 원저자는 “a value for the period(주기 값)”“a value for orbital[revolution] period(공전 주기 값)”으로 사용했습니다. 전체적인 문제의 요지를 파악하는 것과 무관하지만, 모의고사가 공적 문서라는 점에서는 문제가 있습니다.

문장 6

In other words, in order to “measure” the star mass, we measure other quantities and use those values, together with certain equations, to calculate the mass.

주요 단어 정리

  • in other words: 다시 말해서
  • in order to 부정사: ~하기 위하여
  • quantity: 수량
  • value: 값
  • equation: 방정식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other words,/
  • 다시 말해서,/
  • in order to “measure”/ the star mass/
  • “측정하기" 위해서/ 별의 질량을/
  • we [measure/ other quantities]/ and/ [use/ those values]/
  • 우리는 [측정합니다/ 다른 수치를]/ 그리고/ [사용합니다/ 그 값들을]/
  • together with certain equations/
  • 특정 방정식과 함께/
  • <to calculate/ the mass>.
  • <계산하기 위하여/ 질량을>.

어법 설명

  • 동사구의 병렬 구조 - and로 두 개의 동사구를 병렬 연결
  • "[measure/ other quantities]"와 "[use/ those values]"를 and로 병렬연결.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calculate/ the mass>"에서 사용된 어법.

문장 7

Measurement is not a simple and unmediated estimation of independently existing properties, but a determination of certain magnitudes before the background of a number of accepted theories.

주요 단어 정리

  • measurement: 측정
  • not A but B: A가 아니라 B
  • unmediated: 중재되지 않은, 직접적인
  • estimation: 추정, (여기서는) 측정(→measurement)
  • independently: 독립적으로
  • existing: 존재하는
  • property: 특성, (여기서는) 값(→value)
  • magnitude: 크기, 양
  • background: 배경
  • before the background of~: (흔히 사용되지 않는 표현) ~을 바탕으로(based on~; 일반적), ~을 배경으로(against the background of~; 일반적), ~하는 맥락에서(in the context of~; 일반적), 여기서는 based on~이 가장 일반적인 표현입니다. 
  • accepted theory: 받아들여진 이론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easurement [is not a simple and unmediated estimation/ of independently existing properties]/
  • 측정은 <단순하고 중재되지 않은 추정이 아니라/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특성들의>/
  • [but <a determination/ of certain magnitudes>/ <before the background/ of a number of accepted theories>].
  • [<결정입니다/ 특정 크기의>/ <배경으로하는/  여러 받아들여진 이론을>],

어법 설명

  • 표현의 오류 적절성 검토
  • 이 문장에서 원저자는 “estimation(추정)”을 “측정(measurement)”로, “property(특성)”을 “값(value)”로 사용했습니다. 따라서, 해설지의 해석보다는 원래의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더 바림직합니다. 또한 “<before the background/ of a number of accepted theories>를 ‘~을 바탕으로(based on~)’라는 의미로 사용했으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표현이 아니기에 based on~이 더 타당해 보입니다. 이 또한 전체적인 문제의 요지를 파악하는 것과 무관하지만, 모의고사가 공적 문서라는 점에서는 문제가 있습니다.
  • 요지 찾기 문제 해결을 위한 Tip에 따른 요지 찾기 2
  • 문장 7의 핵심 내용『측정의 과정 – 추정이 아닌 여러 받아들여진 이론을 배경으로(근거로) 하는 특정 크기의 결정』입니다. 보기를 한번 살펴보면, ”④ 측정은 이미 정립된 이론들을 토대로 값을 구하는 과정이다.“이 가장 가깝습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④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나마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측정 = 추정이 아닌 여러가지 받아들여진 이론을 근거로 하는 특정 크기의 결정"

근거 문장 제시

  • "Measurement is not a simple and unmediated estimation of independently existing properties, but a determination of certain magnitudes before the background of a number of accepted theories.
  • "이 문장은 측정이 이미 정립된 이론들에 기반한 값의 결정 과정임을 명확히 설명합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가장 적절한 답은 ④ 측정은 이미 정립된 이론들을 토대로 값을 구하는 과정이다입니다.

결론

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22번 지문은 측정이 단순한 값 추정이 아니라 여러 이론과 관련된 과정임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별의 질량을 측정하는 데 있어 여러 이론을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값을 계산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학생들은 요지 찾기 문제에서 논리적 사고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