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23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23번 지문은 신경과학 연구에 기반하여 쾌락과 고통이 뇌에서 동일한 영역에서 형성되고 처리된다는 점을 설명하고, 이 두 감정이 서로 균형을 유지하며 상호작용하는 역할을 강조합니다. 신체가 항상성을 유지하는 과정에서 쾌락과 고통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고통을 통해 평형 상태로 되돌아가는 과정을 다룹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글의 주제, 요지, 제목 찾기, 주장하는 바에 대한 문제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동일합니다. 글의 핵심 주장을 찾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아래로”로 독해해 나가다가 “Clue”가 없다고 판단되면,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을 변경하세요. 그러다 보면, 핵심 주장을 찾을 것이고 이때 예문을 확인하여 답을 선택하는 풀이 방법을 택하세요.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가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3.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Based on discoveries in neuroscience, pain and pleasure are formed and processed in the same area of the brain. Our bodies constantly strive for homeostasis, which is defined as the balance of bodily functions. Without the body’s effective compensatory mechanisms, which may cushion potential highs and lows, we would not be capable of surviving. Pleasure and pain are like two sides of the same coin; they seem to work together and are heavily reliant on one another and keep balance. If you imagine pleasure and pain as the two opposite points on a scale, you can easily understand that as one of the two points rises, the other must correspondingly fall. We’ve all heard the expression, “No pain, no gain.” Well, according to psychiatrist Dr. Anna Lembke, there may be some truth to these words. She says that our attempts to escape being miserable are in fact making us even more miserable. This is because pain is actually an essential component of our ability to maintain a neutral state, and allowing it will in turn reset our internal scale back to balance.
① interplay of multiple emotions that hinder homeostasis
② disruption of pleasure’s beneficial functioning due to pain
③ counteraction of pleasure and pain in maintaining stability
④ overflow of opposite feelings that induces emotional unrest
⑤ ignorance of necessity of other feelings than pain and pleasure
문장별 분석
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23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Based on discoveries in neuroscience, pain and pleasure are formed and processed in the same area of the brain.
주요 단어 정리
- based on~: ~에 기반하여
- discovery: 발견 (동의어: finding, revelation / 반의어: loss, ignorance)
- neuroscience: 신경과학
- pain: 고통 (동의어: suffering, discomfort / 반의어: pleasure)
- pleasure: 쾌락, 즐거움 (동의어: joy, delight / 반의어: pain)
- process: 처리하다, 가공하다 (동의어: handle, treat / 반의어: neglec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ased on discoveries/ in neuroscience>,/
- <발견에 기반하여/ 신경과학에서의>,/
- <pain and pleasure>/ are formed and processed/
- <고통과 쾌락은> 형성되고 처리됩니다/
- <in the same area/ of the brain>.
- <같은 영역에서/ 뇌의>.
어법 설명
- 수동태[be+pp]
- “are formed and processed”는 수동태[be+pp]로 “~되어지다/~당하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한국어는 수동태가 가능한 동사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해석 시 다소 어색하여 능동으로 표현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그러나 수동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소 어색하더라도 수동태의 의미대로 해석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주제 찾기 Tip
- “위에서 아래로 독해” → 문장별 핵심 주장 도출 → 지문의 핵심 주장인지 판단 → 두 개의 문장을 읽었으나 “지문의 핵심 주장”이 모호한 경우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 변경 → 문장별 핵심 주장 도출 → 지문의 핵심 주장인지 판단 → 보기를 확인하고 정답 도출
- 문장 1의 핵심 내용은 『고통과 쾌락은 뇌의 같은 영역에서 형성되고 처리된다.』입니다. 이 문장은 과학적 사실입니다. 따라서, 한 문장 더 읽어 보도록 합니다.
문장 2
Our bodies constantly strive for homeostasis, which is defined as the balance of bodily functions.
주요 단어 정리
- constantly: 끊임없이 (동의어: continuously, perpetually / 반의어: occasionally)
- strive for~: ~을 위해 노력하다 (동의어: aim for, seek / 반의어: ignore)
- homeostasis: 항상성
- define: 정의하다 (동의어: describe, explain)
- balance: 균형 (동의어: stability, equilibrium / 반의어: imbalance)
- bodily function: 신체(의) 기능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ur bodies constantly strive/ for homeostasis/
- 우리의 몸은/ 끊임없이 노력합니다/ 항상성을 위해/
- , which is defined/ <as the balance/ of bodily functions>.
- 그리고 이것은 정의됩니다/ <균형으로서/ 신체 기능의>.
어법 설명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 ", which is defined/ <as the balance/ of bodily functions>"에서 사용된 어법. 앞 문장 전체나 앞 문장이 일부를 선행사로 받을 때(수식할 때) comma(,) which의 형태로 사용하며, 해석 시 ”접속사+대명사”로 해석됩니다. that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수동태[be+pp]
- “is defined”는 수동태[be+pp]로 “~되어지다/~당하다"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한국어는 수동태가 가능한 동사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해석 시 다소 어색하여 능동으로 표현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그러나 수동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소 어색하더라도 수동태의 의미대로 해석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주제 찾기 Tip에 따른 주제 찾기 1
- 문장 2의 핵심 내용은 『인간의 신체는 신체의 균형 상태로 알려진 항상성을 위해 노력한다』입니다. 이 역시 일반적 사실이므로 독해 방향을 “아래에서 위로” 변경합니다. 문장 8로 갑니다.
문장 3
Without the body’s effective compensatory mechanisms, which may cushion potential highs and lows, we would not be capable of surviving.
주요 단어 정리
- effective: 효과적인 (동의어: efficient, potent / 반의어: ineffective)
- compensatory: 보상하는
- mechanism: 기제, 메커니즘 (동의어: system, process)
- cushion: 완화하다, 보호하다 (동의어: soften, absorb / 반의어: intensify)
- potential: 잠재적인 (동의어: possible, latent / 반의어: actual)
- be capable of ~ing: ~할 수 있다
- survive: 생존하다, 살아남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ithout the body’s effective compensatory mechanisms/
- 신체의 효과적인 보상 기제 없이는/
- , which may cushion/ <potential highs and lows>,/
- 그리고 그것들이 완화할 수 있는/ <잠재적인 고점과 저점을>,/
- we would not be capable of surviving.
- 우리는 생존할 수 없을 것입니다.
어법 설명
- 가정법의 대체 표현
- Without ~은 가정법 과거의 대체 표현으로, "없다면 ~할 수 없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현재 신체의 효과적인 보상 메카니즘이 있다”는 의미를 내포합니다. 즉, 가정법 과거는 현재 사실의 반대, 현재의 이루어질 수 없는 소망을 표현합니다.
문장 4
Pleasure and pain are like two sides of the same coin; they seem to work together and are heavily reliant on one another and keep balance.
주요 단어 정리
- be like~: ~와 같다
- two sides of the same coin: (같은) 동전의 양면
- seem to 부정사: ~처럼 보이다
- work: 작용하다
- reliant: 의존하는 (동의어: dependent / 반의어: independent)
- be heavily reliant: 심하게 의존하다
- on one another: 서로
- balance: 균형 (동의어: stability / 반의어: imbalance)
- keep balance: 균형을 유지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Pleasure and pain>/ <are like two sides/ of the same coin>/
- <쾌락과 고통은>/ <양면과 같습니다/ (같은) 동전의>/
- ;/ they <seem to work/ together>/ and/ <are heavily reliant/ on one another/ and/ keep/ balance>.
- 즉/ 그것들은 <작용하는 것처럼 보이며/ 함께>/ <심하게 의존하여/ 서로에게/ 균형을 유지합니다>
어법 설명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seem to work/ together>"와 "<are heavily reliant/ on one another/ and/ keep/ balance>"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문장 5
If you imagine pleasure and pain as the two opposite points on a scale, you can easily understand that as one of the two points rises, the other must correspondingly fall.
주요 단어 정리
- imagine: 상상하다
- imagine A as B: A를 B로 상상하다
- opposite: 반대의 (동의어: contrary / 반의어: similar)
- scale: 저울, 자
- one of 복수명사: 복수명사 중 하나
- rise: 상승하다, 올라가다
- correspondingly: 상응하여
- fall: 내려가다, 떨어지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you imagine/ <pleasure and pain>/ <as the two opposite points/ on a scale>],/
- [만약 당신이 상상한다면/ <쾌락과 고통을>/ <상반된 두 점으로/ 저울 위에 있는>],/
- you can easily understand/
- 당신은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that [as <one/ of the two points> rises]/ the other must correspondingly fall].
- [[<하나가/ 두 점 중> 올라갈 때]/ 다른 하나는 반드시 (그에) 상응하야 내려가야 한다는 것을].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if+주어+동사]
- “If you imagine~"은 조건의 부사절로 ‘~한다면’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that [as <one/ of the two points> rises]/~]"에서 "that"은 동사구 "can easily understand"의 목적어입니다. 문장 내에서 ‘~라는 것을/~라고’로 해석됩니다.
- 시간의 부사절[as+주어+동사]
- "[as <one/ of the two points> rises]"는 시간의 부사절로 ‘~할 때’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as+주어+동사”는 이 이외에도 많은 의미를 전달합니다. 접속사 that과 that 절의 주어 사이에 삽입된 형태로 이렇게 삽입하는 경우 삽입절 앞뒤에 comma(,)를 사용하는 것이 어법입니다.
- 주제 찾기 Tip에 따른 주제 찾기 5
- 문장 5의 핵심 내용은 『두 개의 상반되는 감정 중 하나가 올라가면 하나는 내려간다.』입니다. 따라서, “③ counteraction of pleasure and pain in maintaining stability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쾌락과 고통의 반작용)”의 내용과 정확하게 일치합니다. 이 지문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사실: “드물게 중괄식 지문이 나타난다.” “그러나 두괄식이나 미괄식 지문이 일반적이다.” “‘주제찾기 Tip’은 시간을 줄이기 위한 방법론일 뿐이다.“ 정답을 ③번으로 선택 후 다음 문제로 넘어갑니다.
문장 6
We’ve all heard the expression, “No pain, no gain.” Well, according to psychiatrist Dr. Anna Lembke, there may be some truth to these words.
주요 단어 정리
- expression: 표현, 말
- psychiatrist: 정신과 의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e’ve all heard/ the expression,/
- 우리는 모두 들어본 적이 있습니다/ 그 표현을,/
- “No pain,/ no gain.”/“
- 고통 없이는/ 얻는 것도 없다.”/
- Well,/ <according to psychiatrist/ Dr. Anna Lembke>,/
- 글쎄요,/ <한 정신과 의사에 따르면/ 안나 렘브케라는>,/
- there may be some truth/ to these words.
- 어떤 진실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이 말에.
어법 설명
- 현재완료[have(has)+pp]
- 현재완료 시제[have(has)+pp]는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일어난 일, 과거의 사건이 현재에도 영향을 미치는 경우 사용하며 문맥에 따라 4가지 의미로 해석됩니다. ‘~해왔다(계속)’, ‘~한 적 있다(경험)’, ‘막 ~했다(완료)’, ‘~했다(결과)’이며 이 문장에서는 ‘~한 적 있다(경험)’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 주제 찾기 Tip에 따른 주제 찾기 4
- 문장 6의 핵심 내용은 『고통 없이 얻는 것(기쁨)도 없다.』입니다. 문장 1, 문장 8, 문장 7의 핵심 주장을 기반으로 추론하면, ”상반되는 감정이 신체의 중립 상태(안정 상태)로 가는데 필수 요소이다“라는 내용으로 귀결됩니다. 이 글은 아마도 중괄식에 해당되는 지문으로 보입니다. 비슷한 결론은 추론을 통해 얻긴 했지만, 결정적이지는 않기에, 한 문장 더 읽도록 하겠습니다.
문장 7
She says that our attempts to escape being miserable are in fact making us even more miserable.
주요 단어 정리
- attempt: 시도
- escape: 벗어나다, 탈출하다
- miserable: 비참한, 불행한 (동의어: unhappy, wretched / 반의어: content)
- in fact: 사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he says/
- 그녀는 말합니다/
- [that [our attempts/ <to escape/ being miserable>]/ <are in fact making/ us/ even more miserable>].
- [[우리의 시도들이/ <벗어나려는/ 비참해지는 것을>]/ <사실 만들고 있다고/ 우리를/ 훨씬 더 비참하게>].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that [our attempts/ <to escape/ being miserable>]/~]"에서 "that"은 동사 "says"의 목적어입니다. 문장 내에서 ‘~라는 것을/~라고’로 해석됩니다.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 "[our attempts/ <to escape/ being miserable>]"에서 "to escape"는 앞에 나온 our attempts를 수식하는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입니다. 문장 내에서 ‘~할/~하는/~하기 위한’으로 해석됩니다.
- 비교급 강조부사[much / even / far / still / a lot]
- 비교급을 강조할 때 사용되는 부사는 “much / even / far / still / a lot”만 사용하며 very, so, too 등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 5형식 기본문형
- "making/ us/ even more miserable"에서 사용된 어법. 5형식 기본문형에서 목적격 보어로 사용된 형용사가 부사처럼 해석되지만 목적어를 보충해 주는 말로 반드시 형용사가 와야 합니다. 수능, 모의고사에서도 빈번하게 출제됩니다.
- 주제 찾기 Tip에 따른 주제 찾기 3
- 문장 7의 핵심 내용은 『비참함에서 벗어나려는 시도가 우리를 더 비참하게 만든다.』입니다. 문장 1의 ”고통과 쾌락이 뇌의 같은 영역에서 형성되고 처리된다는 내용“과, 문장 8의 ”고통은 몸이 중립 상태(균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필수요소“라는 내용을 염두에 두고 한 문장 더 읽겠습니다. 이를 종합해서 추론하면, ”특정한 감정(여시는 비참함)을 억누르는 것이 몸이 균형 상태로 가는 것을 막는다.”입니다. 보기를 다시 보면, “③ counteraction of pleasure and pain in maintaining stability”이 가장 가깝습니다만, 아직 결정적이지 않기에, 한 문장 더 읽도록 하겠습니다.
문장 8
This is because pain is actually an essential component of our ability to maintain a neutral state, and allowing it will in turn reset our internal scale back to balance.
주요 단어 정리
- This is because~: 이것은 ~때문입니다.
- essential: 필수적인 (동의어: necessary / 반의어: optional)
- component: 요소
- ability: 능력
- maintain: 유지하다
- neutral state: 중립 상태
- allow: 허용하다
- in turn: 결국, 차례로
- reset: 재설정하다
- internal scale: 내적 저울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is because pain [is actually an essential component/ [of our ability/ <to maintain/ a neutral state>]],/
- 이것은 고통이 [사실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능력의/ <유지하기 위한/ 중립 상태를 유지하는 능력을>]],/
- and/
- 그리고/
- <allowing/ it>/ will in turn reset/ our internal scale/ back/ to balance.
- <허용하는 것이/ 이것을>/ 결국 재설정할 것입니다/ 우리의 내적 저울을/ 다시/ 균형 상태로.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 “our ability/ <to maintain/ a neutral state>"에서 "to maintain"는 앞에 나온 our ability를 수식하는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입니다. 문장 내에서 ‘~할/~하는/~하기 위한’으로 해석됩니다.
- 동명사 주어
- "<allowing/ it>"에서 "allowing"은 동명사이면서 주어로, 문장 내에서 ‘~하는 것/~하기/~하기 위한’으로 해석됩니다. 동명사가 주어로 사용된 경우는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로 기출되나, 이 문장의 경우는 동사구 조동사구이기 때문에 출제될 가능성이 없습니다.
- 주제 찾기 Tip에 따른 주제 찾기 2
- 문장 8의 핵심 내용은 『고통이 우리 몸이 중립 상태(균형 상태)로 돌아가기 위한 필수 요소』입니다. 이 글은 주장보다는 설명문입니다. 문장 1에서 ”고통과 쾌락이 뇌의 같은 영역에서 형성되고 처리된다는 내용“과, 문장 8의 ”고통은 몸이 중립 상태(균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필수요소“라는 내용을 염두에 두고 한 문장 더 읽겠습니다.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상반되는 감정: 신체의 균형 상태를 유지하는 요소”
근거 문장 제시
- "Pleasure and pain are like two sides of the same coin; they seem to work together and are heavily reliant on one another and keep balance."
- 이 문장은 쾌락과 고통이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균형을 유지하는 과정을 명확히 설명합니다.
- "If you imagine pleasure and pain as the two opposite points on a scale, you can easily understand that as one of the two points rises, the other must correspondingly fall."
- 이 문장은 두 가지 상반되는 감정의 상관관계(일종의 균형 상태)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가장 적절한 답은 ③ counteraction of pleasure and pain in maintaining stability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쾌락과 고통의 반작용)입니다.
결론
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23번 지문은 쾌락과 고통이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균형을 유지하는 방식을 설명하며, 고통이 균형을 되찾는 데 필수적이라는 점을 강조합니다. 고통과 쾌락은 서로 상반되지만 균형을 통해 우리의 삶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학생들은 주제 찾기 문제를 통해 논리적으로 주제를 찾는 방법 이외에도 실제 고사장에서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자연스럽게 체득하며 그 과정에서 사고력도 강화할 수 있습니다.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