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29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이 지문은 동물 연구에서 사용되는 '조건화된 장소 선호'(Conditioned Place Preference)라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 방법은 동물들이 특정 장소와 특정 경험을 연관짓게 하여 그들이 어떤 경험을 선호하거나 피하는지를 알아내기 위한 것입니다. 지문은 동물들이 특정 자극과 장소를 연관 짓는 과정과 그 결과를 통해 그들의 선호나 혐오를 파악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글의 어법상 틀린 것을 찾는 문제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동일합니다. 독해력이 받쳐주는 학생들은 어법이 포함된 문장만 독해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지문의 핵심 주장을 찾으면서 독해가 되지 않거나 어색한 부분을 찾는 방법입니다. 어법은 대부분의 경우, 해석 방법을 모아서 이름을 붙여 놓은 것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대명사가 어법 문제의 대상인 경우, 이전 문장을 독해하여 대명사가 지시하는 대상을 찾아야 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가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Conditioned Place Preference is a way of finding out what animals want. Researchers train them ① to associate one place with an experience such as food or a loud noise and another place with something completely different, usually where nothing happens. The two places are made obviously different to make it as ② easy as possible for the animal to associate each place with what happened to it there. The animal’s preference for being in one place or another is measured both before and after its experiences in the two places. If there is a shift in where the animal chooses to spend its time for the reward, this suggests that it liked the experience and is trying to repeat ③ it. Conversely, if it now avoids the place the stimulus appeared and ④ starts to prefer the place it did not experience it, then this suggests that it found the stimulus unpleasant. For example, mice with cancer show a preference for the place where they have ⑤ given morphine, a drug used to relieve pain, rather than where they have received saline whereas healthy mice developed no such preference. This suggests that the mice with cancer wanted the morphine.
* saline: 식염수
문장별 분석
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29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Conditioned Place Preference is a way of finding out what animals want.
주요 단어 정리
- Conditioned Place Preference: 조건화된 장소 선호
- way: 방법
- find out: 알아내다
- of ~ing: ~하는
- a way of finding out~: ~을 알아내는 방법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Conditioned Place Preference/
- '조건화된 장소 선호'는/
- [is a way/ [of finding out/ [what animals want]]].
- [한 방법입니다/ [알아내는/ [동물들이 원하는 것을]]].
어법 설명
- 전치사의 목적어로 사용된 동사+ing[동명사]
- "[of finding out/ [what animals want]]"에서 "finding out"은 "전치사 of"의 목적어로 사용된 동명사 입니다. 동사+ing는 문장 내에서 ‘~하기/~하는 것/~했던 것/~하기 위한[동명사]’, ‘~하고 있는/~하는[현재분사]’, ‘~하면서[분사구문]’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 "[what animals want]"에서 "what"은 ‘~하는 것’의 의미로 해석되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입니다. 또는 간접의문문[의문사+주어+동사]로도 볼 수 있습니다. "관계대명사+불완전한 문장"의 관계를 기억하십시오.
문장 2
Researchers train them ① to associate one place with an experience such as food or a loud noise and another place with something completely different, usually where nothing happens.
주요 단어 정리
- researcher: 연구자
- associate A with B: A와 B를 연관 짓다
- experience: 경험
- loud noise: 큰 소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Researchers train/ them/
- 연구자들은 훈련합니다/ 그것들을(동물들을)/
- [to associate/ one place/ [with an experience/ <such as food or a loud noise>]]/
- [연관짓도록/ 한 장소를/ [하나의 경험과/ <음식이나 큰 소리 같은>]]/
- and/
- 그리고/
- [(to associate)/ another place/ [with something completely different/ [usually where nothing happens]]].
- [(연관짓도록)/ 또 다른 장소를/ [전혀 다른 무언가와/ [보통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어법 설명
- 5형식 구문 "train + 목적어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어법의 적절성 검토 1
- "train/ them/ [to associate/ one place/ ~]/ and/ [(to associate)/ another place/~]"에서 "train"은 to 부정사(미래적 의미)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또한 목적격 보어 to 부정사가 and로 병렬 연결된 구문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to associate”는 어법상 올바릅니다. 해석적인 측면에서 언급하자면, to 부정사는 대부분 “미래적 의미”로 “(앞으로) ~하도록”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측면에서도 “(앞으로) 연관짓도록 그것들을 훈련시키다”는 의미로 적절합니다.
- 문맥의 일관성의 오류
- 다만, ‘한 장소를 (~같은) 경험과 연관짓도록’이라고 앞서 표현했다면, ‘또 다른 장소’ 역시 ‘완전히 다른 경험과 연관짓도록[(to associate)/ another place/ with completely different one/ usually where~]’로 일관성 있게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했습니다. 좀 더 첨언하자면, 굳이 이렇게 복잡하게 표현하는 것보다 "[to associate/ [one place/ where they can get/ food or a loud noise>]]/ and/ [(to associate)/ [another place/ where they can’t]]"와 같이 단순하게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했다고 분석자는 생각합니다.
문장 3
The two places are made obviously different to make it as ② easy as possible for the animal to associate each place with what happened to it there.
주요 단어 정리
- obviously: 명백히, 분명히
- different: 다른
- as ~ as possible: 가능한 ~하게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two places are made/ obviously different/
- 그 두 장소는 만들어집니다/ 분명히 다르게/
- <to make/ it/ as easy/ as possible>/
- <만들기 위하여/ 그것을/ 그만큼 쉽게/ 가능한 한>
- [for the animal/ [to associate/ each place/ [with what happened/ to it/ there]]].
- [그 동물이/ [연관 짓는 것을/ 각각의 장소를/ [일어났던 일과/ 그것에게/ 거기에서]]].
어법 설명
- 5형식 기본 문형의 수동태
- “The two places are made/ obviously different”에서 "수동태[are made]" 뒤에 부사처럼 해석되는 형용사가 온 이유는 “Researchers make/ the two places/ obviously different“의 문자을 수동태로 바꾼 후 "by researchers"를 생략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make/ it/ as easy/ as possible>"에서 사용된 어법.
- it(가목적어)~to 부정사(진목적어) 구문
- "<to make/ it/ as easy/ as possible>/ [for the animal/ [to associate/ ~]]"에서 "it"는 가목적어, "to associate~"는 진목적어이며, "for the animal"은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입니다.
- 5형식 기본 문형 "5형식 동사 + 목적어 + 목적격 보어(형용사)" – 어법의 적절정 검토 2
- ”<to make/ it/ as easy/ as possible>“는 5형식 기본 문형으로 목적격 보어로 형용사인 easy가 사용되어 어법상 올바릅니다. 이 부분은 특히 형용사가 부사처럼 해석되어 자주 출제되고 있으니 자금이라도 확실히 기억하십시오. 앞에 사용된 as는 강조 부사로 한국에서는 해석을 하지 않으나 ”그만큼“ 정도의 의미이고 형용사 easy를 수식합니다.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하는 것"
- "[with what happened/ to it/ there]"에서 "what"은 ‘~하는 것’의 의미로 해석되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입니다.
- 대명사 사용의 일관성 오류
- 문장에 사용되는 대명사는 앞서 나온 명사를 대신하여 사용합니다. 문장 1과 문장 2에서 각각 animals와 them으로 표현했기에 "for the animal"은 "for the animals"로, "what happened/ to it"은 "what happened/ to them"으로 변경되어야 대명사 사용이 일관성이 있습니다.
문장 4
The animal’s preference for being in one place or another is measured both before and after its experiences in the two places.
주요 단어 정리
- preference: 선호
- measure: 측정하다
- both A and B: A와 B 둘 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animal’s preference/ <for being/ in one place or another>]/
- [그 동물의 선호는/ <있는 것에 대한/ 한 장소나 다른 장소에>]/
- is measured/ [both before and after/ <its experiences/ in the two places>].
- 측정됩니다/ [이전과 이후 둘 다에/ <그것의 경험의/ 두 장소에서의>].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The animal’s preference"로 단수이며, 따라서 동사구도 단수 형태인, "is measured"로 수의 일치가 되었음에 유의하세요.
- 수동태[be+pp] “is measured”
- "측정된다"의 의미로 수동태. 매번 말씀드리지만 한국어는 수동태가 불가능한 동사가 많습니다. 해석 시 어색하더라도 가급적 원문대로 해석하셔야 수동태 구분이 더 쉬워집니다.
- 일관성의 유지
- 이 문장 역시 일관성의 유지를 위해 "The animal’s preference"는 "The animals’ preference"로, "its"는 "their"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혹자는 “문장 1과 문장 2의 목수로 표기된 내용을 단수로 바꾸면 되지 않나요?”라고 이의를 제기할 수도 있어 미리 말씀드리자면 실험에서 동물 하나를 가지고 하는 것이 아니기에 지문 젓 부분의 복수가 내용상 타당합니다.
문장 5
If there is a shift in where the animal chooses to spend its time for the reward, this suggests that it liked the experience and is trying to repeat ③ it.
주요 단어 정리
- shift: 변화, 이동
- choose to 부정사: ~하기로 선택하다
- spend: (시간을) 보내다, (돈을) 쓰다
- suggest: 시사하다, 암시하다
- reward: 보상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there is a shift/ [in (the place)/ where the animal chooses/ <to spend/ its time>/ for the reward>]],/
- [변화가 있다면/ [장소에/ 그 동물이 선택한/ <시간을 보내기로/ 그 보상을 위해>]],/
- this suggests/ [that it <liked/ the experience>/ and/ <is trying/ to repeat it>].
- 이것은 시사합니다/ [그것이 <좋아했다는 것을/ 그 경험을>/ 그리고/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그것을 반복하기 위하여>].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If there is a shift/~]"는 직설법 조건절 ‘~한다면’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선행사 (the place)가 생략된 관계부사절
- “[in (the place)/ where the animal chooses/~]”에서 "where"는 선행사 "(the place)"가 생략된 관계부사입니다. ‘~한 장소에서의’로 해석하면 됩니다. 수능에서는 “관계부사+완전한 문장”과 “관계대명사+불완전한 문장”를 구별하는 문제로 주로 출제됩니다.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할 것 / ~하기"
- "<to spend/ its time>"에서 사용된 어법. 동사 "chooses"의 목적어 역할.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라고 / ~라는 것을"
- “this suggests/ [that it <liked/ the experience>/ and/ <is trying/ to repeat it>]"에서 "that"는 목적절[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입니다. 언제나 생략 가능합니다.
- 병렬 구조 - and로 두 개의 동사구 연결
- "<liked/ the experience>"와 "<is trying/ to repeat it>"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어법의 적절성 검토 3
- “to repeat it”에서 사용된 어법. it는 experience를 받는 대명사이므로 어법상 올바릅니다.
- 의미의 일관성
- "[If there is a shift/ [in (the place)/ where the animal chooses/ <to spend/ its time>/ for the reward>]]"에서 여기서는 의미상 한 동물의 의미로 사용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the animal"은 "an animal"로 변경되어야 올바릅니다. 부연 설명하자면 “(실험이 진행되는 도중에 실험에 참여한 동물들 중) 한 동물이“의 의미로 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문장 6
Conversely, if it now avoids the place the stimulus appeared and ④ starts to prefer the place it did not experience it, then this suggests that it found the stimulus unpleasant.
주요 단어 정리
- conversely: 반대로
- avoid: 피하다
- stimulus: 자극
- appear: 나타나다, 출현하다
- start to 부정사: ~하기 시작하다
- experience: 경험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Conversely,
- 반대로,/
- [if it now [avoids/ [the place/ (where) the stimulus appeared]]/ and/ [starts to prefer/ [the place/ (where) it did not experience/ it]]],/
- [만약 그것이 이제는/ [피한다면/ [장소를/ 그 자극이 나타났던]]/ 그리고/ [선호하기 시작한다면/ [장소를/ 그것이 경험하지 않았던/ 그것을(그 자극을)]]],/
- then/ this suggests/ [that it found/ the stimulus/ unpleasant>].
- [그렇다면/ 이것은 시사합니다/ [그것이 여겼다는 것을/ 그 자극을/ 불쾌하게>]].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if + 주어 + 동사]
- "[if it now [avoids/ [the place~]]"는 직설법 조건절 ‘~한다면’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If 절 내의 동사구를 병렬로 연결 – and로 병렬 연결 – 어법상 적절성 검토 4
- If 절 내의 두 개의 동사구 “[avoids/ [the place/ (where) the stimulus appeared]]”와 “[starts to prefer/ [the place/ (where) it did not experience/ it]]”를 and로 병렬로 연결한 구조. 따라서, 어법상 적절합니다.
- 관계부사 where가 생략된 관계부사 절 1
- "[the place/ (where) the stimulus appeared]"는 the place를 선행사로 받는 관계부사 "(where)"가 생략된 구문입니다.
- 의미상 시제의 오류 1
- "[the place/ (where) the stimulus appeared]"에서 관계부사 절의 동사구 ”appeared“는 의미상 ”(과거부터 현재까지) 일어났던(has appeared)“로 변경되어야 올바릅니다.
- 관계부사 where가 생략된 관계부사 절 2
- "[the place/ (where) it did not experience/ it]" 역시 the place를 선행사로 받는 관계부사 "(where)"가 생략된 구문입니다.
- 의미상 시제의 오류 2
- "[the place/ (where) it did not experience/ it]"에서 관계부사 절의 동사구 ”did not experience“는 의미상 ”그것이 경험해본 적이 없던(has not experienced)“로 변경되어야 올바릅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라고 / ~라는 것을"
- "suggests/ [that it found/ the stimulus/ unpleasant>]“에서 "that"은 타동사 "suggests"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입니다.
- 5형식 기본문형 “found/ the stimulus/ unpleasant”
- 5형식 기본문형으로 목적격 보어로 형용사인 unpleasant가 온 경우입니다.
- 의미상 시제의 오류 3
- 이 문장에서 주어인 ‘동물이 자극이 나타났던 장소를 피하는 시점’과 ‘그것이 그것을 불쾌하다고 여기는 시점’은 의미상 동일해야 합니다. 따라서, "[that it found/ the stimulus/ unpleasant>]"에서 동사 "found"는 "finds"로 변경되어야 올바릅니다. 문제 풀이와는 전혀 상관없지만, 어법을 다루는 공적인 문서인 모의고사 문제에서 논리적, 의미적 오류가 발생했다는 건 한 번쯤 신중하게 시험문제를 출제하는 방식에 대해 신중하게 생각해 봐야 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문장 7
For example, mice with cancer show a preference for the place where they have ⑤ given morphine, a drug used to relieve pain, rather than where they have received saline whereas healthy mice developed no such preference.
주요 단어 정리
- for example: 예를 들어
- cancer: 암
- mice with cancer: 암에 걸린 쥐들
- be given: 받다. 주어지다
- morphine: 모르핀
- relieve: 완화하다
- rather than~: ~(라기) 보다는
- saline: 식염수
- develop: ~가 생기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r example,/
- 예를 들어,/
- <mice/ with cancer> show/
- <암에 걸린 쥐들은> 보여준다/
- [a preference/ [for the place/ where they have given(have been given)/ [morphine,/ [a drug/ (which or that is) used/ <to relieve/ pain>]]]],/
- [선호를/ [장소에 대한/ 그들이 주어 왔던(받아왔던)/ [모르핀을,/ [약물인/ 사용되는/ <완화하기 위하여/ 통증을>]]]],/
- [rather than (the place)/ where they have received/ saline]/
- [그 장소보다는/ 그들이 받아왔던/ 식염수를]/
- [whereas healthy mice developed/ no such preference].
- [건강한 쥐들은 생기지 않았던 반면에/ 그러한 선호가].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mice"로 복수이며,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show"로 수의 일치가 되었음에 유의하세요.
- 관계부사 where
- “the place/ where they have given(have been given)/ [morphine,/ [a drug/ (which or that is) used/ <to relieve/ pain>]]”에서 "where"는 장소의 선행사 the place를 수식하는 관계부사입니다. “관계부사+완전한 문장”을 꼭 기억하세요.
- 어법 오류[문제의 정답] - 어법의 적절성 검토 5
- “the place/ where they have given(have been given)/ [morphine,/ [a drug/ (which or that is) used/ <to relieve/ pain>]]”에서 주어진 의미대로 해석하면 “그들이(쥐들이) 몰핀을 주었던 장소”로 말이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그들이 몰핀을 받았던 장소(the place/ where they have been given/ [morphine~)“로 변경되어야 올바릅니다.
- 선행사 (the place)가 생략된 관계부사 where
- “(the place)/ where they have received/ saline”은 선행사인 the place가 생략된 관계부사 절입니다. “관계부사+완전한 문장”을 꼭 기억하세요.
- 양보의 부사절[whereas + 주어 + 동사]
- [whereas+주어+동사]는 문장 내에서 “~하는 반면에”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내용
- “조건화된 장소 선호'(Conditioned Place Preference)에 대한 동물 실험“
근거 문장 제시 및 오류 정정
- For example, mice with cancer show a preference for the place where they have ⑤ given(→been given) morphine, a drug used to relieve pain, rather than where they have received saline whereas healthy mice developed no such preference.
- 위 문장처럼 "given"은 "been given"으로 변경되어야 올바릅니다.
정답 제시
- 어법상 틀린 부분은 ⑤번입니다.
결론
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29번 문제 유형은 어법적 오류를 판단하는 문장입니다. 본문 분석 시 표현은 하지 않았지만, 이 지문은 과거의 실험을 소개하는 성격이기에 일관되게 과거로 시작하여 그에 맞게 시제를 사용했어야 한다고 분석자는 생각합니다. 아마도 원저자는 “변하지 않는 사실”로 보아 현재로 사용한 것 같아 그 부분은 그냥 넘어간 것입니다. 다만, 공신력이 있어야 하는 문서인 모의고사에서 더군다나 어법적 오류를 판단하는 문제에서 일관성 및 시제적 오류가 발생한 것은 아이러니하고 생각합니다. 부디 다음번 시험에서는 이런 오류가 없길 바랍니다.
학생들은 어법의 적절성 검토 문제를 통해 어법적으로 틀린 부분을 찾는 방법 이외에도 대부분의 경우, 어법 문제는 독해와 관련된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됩니다. 아울러, 독해력이 갖춰져 있다면 어법의 적절성 판단을 해야 하는 문장만 독해하는 습관을 통해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도 자연스럽게 체득하리라 기대합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