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31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이 지문은 학생들의 창의성을 저해할 수 있는 요인 중 하나로 각 활동에 필요한 자원에 대한 인식 부족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이 과제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있으며, 특정 학습 과제에 필수적인 자원을 인식하면 활동 수행이 더 쉬워질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또한, 자원을 미리 확인하고 필요시 대안을 찾는 것이 학생들의 창의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도 다룹니다.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장 구조와 맥락을 명확히 파악하며, 정답을 논리적으로 도출합니다. 이 글은 빈칸 추론 문제 해결 전략과 영어 독해 능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은 빈칸이 있는 문장부터 읽고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추론하라는 것입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가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1.
One factor that may hinder creativity is unawareness of the resources required in each activity in students’ learning. Often students are unable to identify the resources they need to perform the task required of them. Different resources may be compulsory for specific learning tasks, and recognizing them may simplify the activity’s performance. For example, it may be that students desire to conduct some experiments in their projects. There must be a prior investigation of whether the students will have access to the laboratory, equipment, and chemicals required for the experiment. It means __________ is vital for the students to succeed, and it may be about human and financial resources such as laboratory technicians, money to purchase chemicals, and equipment for their learning where applicable. Even if some of the resources required for a task may not be available, identifying them in advance may help students’ creativity. It may even lead to changing the topic, finding alternative resources, and other means.
① persistence ② diversity ③ distribution
④ integration ⑤ preparation
문장별 분석
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31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One factor that may hinder creativity is unawareness of the resources required in each activity in students’ learning.
주요 단어 정리
- hinder: 방해하다 (동의어: obstruct, impede / 반의어: facilitate)
- creativity: 창의성 (동의어: inventiveness, originality / 반의어: conventionality)
- unawareness: 무지, 알지 못함 (동의어: ignorance, oblivion / 반의어: awareness, knowledge)
- resource: 자원 (동의어: supply, material / 반의어: shortage)
- required: 필요한, 요구된 (동의어: necessary, essential / 반의어: optional)
- activity: 활동 (동의어: task, undertaking / 반의어: inactivit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ne factor/ that may hinder/ creativity]/
- [한 가지 요인이/ 방해할 수 있는/ 창의성을]/
- [is unawareness/ [of the resources/ (which or that are) required/ in each activity/ in students’ learning]].
- [무지입니다/ [자원에 대한/ 필요한(요구되는)/ 각 활동에/ 학생들의 학습에서]].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one factor"로 단수이며,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is".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One factor/ that may hinder/ creativity]"에서 "that"은 주격 관계대명사로, 선행사 one factor를 수식하며 "창의성을 방해할 수 있는"이라는 의미로 연결합니다.
- ‘~되는(되어진)/~당한’의 의미를 전달하는 과거분사[동사+ed]
- “the resources/ (which or that are) required/ in each activity/ in students’ learning”에서 "required"는 과거분사로, 선행사 the resource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가 생략된 경우와 형태와 의미에서 동일합니다. 따라서, 수동태[be+pp]에서 의미가 결정된 것과 같습니다. 또한,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는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문장 2
Often students are unable to identify the resources they need to perform the task required of them.
주요 단어 정리
- often: 종종 (동의어: frequently, commonly / 반의어: rarely)
- unable: ~할 수 없는 (동의어: incapable, powerless / 반의어: able)
- be unable to 부정사: ~할 수 없다
- identify: 확인하다, 알아내다 (동의어: recognize, determine / 반의어: overlook)
- perform: 수행하다 (동의어: carry out, execute / 반의어: neglect)
- task: 과제, 일 (동의어: duty, job / 반의어: leisur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ften/ students are unable to identify/
- 종종 학생들은 식별할 수 없습니다/
- [the resources/ (which or that) they need/ [to perform/ <the task/ (which or that is) required/ of them>]].
- [자원을/ 그들이 필요로 하는/ [수행하기 위하여/ <과제를/ 요구되는/ 그들에게>]].
어법 설명
-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생략
- "[the resources/ (which or that) they need/~]"에서 선행사 the resources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나 that이 생략된 형태입니다. 해석은 ‘그들이 필요로 하는 자원’입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perform/ <the task/ (which or that is) required/ of them>]"에서 사용된 어법.
- ‘~되는(되어진)/~당한’의 의미를 전달하는 과거분사[동사+ed]
- "<the task/ (which or that is) required/ of them>"에서 "required"는 과거분사로, 선행사 "the task"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가 생략된 경우와 형태와 의미에서 동일합니다. 따라서, 수동태[be+pp]에서 의미가 결정된 것과 같습니다. 또한,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는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문장 3
Different resources may be compulsory for specific learning tasks, and recognizing them may simplify the activity’s performance.
주요 단어 정리
- different: 다양한, 다른 (동의어: diverse, distinct / 반의어: same)
- compulsory: 필수적인 (동의어: mandatory, required / 반의어: optional)
- specific: 특정한 (동의어: particular, definite / 반의어: general)
- simplify: 단순화하다, 간소화하다 (동의어: streamline, clarify / 반의어: complicate)
- performance: 수행, 성과 (동의어: execution, accomplishment / 반의어: failur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Different resources may be compulsory/ for specific learning tasks,/
- 다양한 자원들이/ 필수적일 수 있습니다/ 특정 학습 과제를 위해,/
- and/
- 그리고/
- <recognizing/ them> may simplify/ the activity’s performance.
- <인식하는 것이/ 그것들을>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 그 활동의 수행을.
어법 설명
- 주어로 사용된 동사+ing[동명사]
- "<recognizing/ them>"에서 "recognizing"은 동명사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주로 수의 일치 문제로 출제되지만, 현재 문장에선 동사로 조동사 구가 사용되어 출제되지 않습니다.
문장 4
For example, it may be that students desire to conduct some experiments in their projects.
주요 단어 정리
- for example: 예를 들어
- desire: 원하다, 갈망하다 (동의어: want, wish for / 반의어: avoid)
- desire to 부정사: ~하기를 원하다[갈망하다]
- conduct: 수행하다, 진행하다 (동의어: carry out, perform / 반의어: neglect)
- experiment: 실험 (동의어: test, trial / 반의어: non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r example,/
- 예를 들어,/
- it may be [that students desire/ <to conduct/ some experiments/ in their projects>].
- 그것일 수 있습니다/ [학생들이 원하는 것이/ <수행하기를/ 몇 가지 실험을/ 그들의 프로젝트에서>].
어법 설명
- 접속부사 "For example"
- "예를 들어"의 의미를 전달하며, 현재는 내신에서만 출제되지만, 한 지문 내에 3개 이상의 관계부사가 사용된 경우 모의고사나 수능에서 출제된 이력이 있습니다. 문제 패턴은 언제나 변경 가능하기 때문에 익숙해지는 것이 좋습니다.
- It(가주어)~that 절(진주어)”
- "it may be [that students desire/~]"에서 "it"는 "가주어", "that 절"은 "진주어" 역할을 합니다. 한국어에서는 이러한 용법이 없기 때문에 it는 해석하지 않는다고 하지만, 이 용법에 익숙해지려면 해석하는 것이 오히려 바람직합니다.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할 것 / ~하는 것 / ~하기"
- "<to conduct/ some experiments/ in their projects>"에서 사용된 어법. “to conduct~“는 동사 "desire"의 목적어로 사용되었습니다.
문장 5
There must be a prior investigation of whether the students will have access to the laboratory, equipment, and chemicals required for the experiment.
주요 단어 정리
- prior: 사전의, 이전의 (동의어: preceding, earlier / 반의어: subsequent)
- investigation: 조사 (동의어: examination, inquiry / 반의어: neglect)
- access: 접근, 이용 (동의어: entry, admission / 반의어: denial)
- have access to~: ~에 접근하다, ~을 이용하다
- laboratory: 실험실 (동의어: lab, research facility / 반의어: non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re must be/ a prior investigation/
- 있어야만 합니다/ 사전 조사가/
- [of whether the students will have access/ [to the laboratory, equipment, and chemicals/ (which are) required/ for the experiment]].
- [학생들이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험실, 장비 및 실험에 필요한 화학 물질을/ 필요한(요구되는)/ 그 실험을 위해]].
어법 설명
- 명사절의 접속사 [whether[if] + 주어 + 동사]
- ‘~인지’의 의미를 전달하며 전치사 of의 목적어로 사용되었습니다.
- ‘~되는(되어진)/~당한’의 의미를 전달하는 과거분사[동사+ed]
- “the laboratory, equipment, and chemicals/ (which are) required/ for the experiment“에서 "required"는 과거분사로, 선행사 “the laboratory, equipment, and chemical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가 생략된 경우와 형태와 의미에서 동일합니다. 따라서, 수동태[be+pp]에서 의미가 결정된 것과 같습니다. 또한,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는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문장 6
It means __________ is vital for the students to succeed, and it may be about human and financial resources such as laboratory technicians, money to purchase chemicals, and equipment for their learning where applicable.
주요 단어 정리
vital: 필수적인 (동의어: essential, crucial / 반의어: insignificant)
succeed: 성공하다 (동의어: achieve, accomplish / 반의어: fail)
be about~: 에 관한 것이다
human resource: 인적 자원
financial resource: 재정 자원
laboratory technician: 실험실 기술자
purchase: 구매하다
equipment: 장비
applicable: 해당되는, 적용되는
where applicable: 필요한 곳에서, 해당되는 곳에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t means/
- 그것은 의미합니다/
- [(that) __________ is vital/ <for the students/ to succeed>],/
- [__________가 필수적이라는 것을/ <학생들이/ 성공하기 위해서>],/
- and/
- 그리고/
- it may be about human and financial resources/ [such as [laboratory technicians],/ [money/ <to purchase/ chemicals>],/ and/ [equipment]]/ for their learning/ where applicable.
- 그것은 인적 및 재정적 자원에 관한 것일 수 있습니다/ [[실험실 기술자], [자금/ <구매하기 위한/ 화학 물질을>]/ 및/ [장비]와 같은]/ 그들의 학습을 위한/ 필요한 곳에서.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라는 것을 / ~라고"
- "[(that) __________ is vital/ <for the students/ to succeed>]"에서 생략된 "(that)"는 동사 "means"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입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for the students/ to succeed>"에서 사용된 어법. "for the student"는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입니다.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money/ <to purchase/ chemicals>]"에서 "to purchase"는 앞에 나온 명사, "money"를 수식하며 ‘구매하기 위한 돈’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 빈칸의 추론
- 서론에서 빈칸 추론 해결의 Tip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문장 6에서 ”빈칸“이 학생의 성공을 위해 필수적이하고 진술하고 있고 문장 5에서 ”학생들이 실험을 위해 필요한 실험실, 장비, 화학 물질을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사전 조사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진술하고 있으므로 ”사전 조사“에 해당하는 내용을 포괄할 수 있거나 대체할 수 있는 말이 와야 합니다. 보기 중 이에 해당하는 것은 ”⑤ preparation(준비)”뿐입니다. 따라서, ⑤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실전에서는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 문제로 넘어갑니다.
문장 7
Even if some of the resources required for a task may not be available, identifying them in advance may help students’ creativity.
주요 단어 정리
- even if~: ~일지라도 (동의어: although, even though, though / 반의어: unless)
- resource: 자원 (동의어: supply, material / 반의어: shortage)
- required: 필요한 (동의어: necessary, essential / 반의어: optional)
- available: 이용 가능한 (동의어: accessible, obtainable / 반의어: unavailable)
- identify: 식별하다, 파악하다 (동의어: recognize, determine / 반의어: overlook)
- in advance: 미리 (동의어: beforehand, ahead of time / 반의어: afterwards)
- creativity: 창의성 (동의어: inventiveness, originality / 반의어: conventionalit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ven if [some/ <of the resources/ (which or that are) required/ for a task>]/ may not be available],/
- [비록 [일부가/ <자원의/ 필요한(요구되는)/ 과제를 위해>]/ 이용 불가능하더라도],/
- [<identifying/ them>/ in advance]/ may help/ students’ creativity.
- [<파악하는 것은/ 그것들을>/ 미리]/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의 창의성에.
어법 설명
- 양보의 부사절[even if + 주어 + 동사]
- "비록 ~일지라도 / 비록 ~이긴 하지만"의 의미를 전달하며 접속사 "even though, although, though" 등으로 대신할 수 있습니다.
- ‘~되는(되어진)/~당한’의 의미를 전달하는 과거분사[동사+ed]
- “the resources/ (which or that are) required/ for a task“에서 "required"는 과거분사로, 선행사 “the resource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가 생략된 경우와 형태와 의미에서 동일합니다. 따라서, 수동태[be+pp]에서 의미가 결정된 것과 같습니다. 또한,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는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주어로 사용된 동사+ing [동명사]
- "[<identifying/ them>/ in advance]"에서 "identifying"은 동명사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주로 수의 일치 문제로 출제되지만, 현재 문장에선 동사로 조동사 구가 사용되어 출제되지 않습니다.
문장 8
It may even lead to changing the topic, finding alternative resources, and other means.
주요 단어 정리
- lead to~: ~로 이어지다, 초래하다 (동의어: result in, bring about / 반의어: prevent)
- change: 바꾸다, 변경하다 (동의어: alter, modify / 반의어: maintain)
- alternative: 대안의 (동의어: substitute, replacement / 반의어: primary)
- means: 수단, 방법 (동의어: method, way / 반의어: en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t may even lead/
- 그것은 심지어 이어질 수 있습니다/
- [<to changing/ the topic>,/ <(to) finding/ alternative resources>,/ and/ <(to) other means>].
- [<변경하는 것으로/ 주제를>,/ <찾는 것으로/ 대체 자원을>,/ 그리고 <다른 수단들로>].
어법 설명
- 명사구의 병렬 구조
- 전치사 to의 목적어로 ”changing/ the topic“, ”finding/ alternative resources“, ”other means“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학습활동에 필요한 자원을 사전에 파악하고 준비하는 것: 창의성 향상에 필수 요소“
근거 문장 제시
- "There must be a prior investigation of whether the students will have access to the laboratory, equipment, and chemicals required for the experiment."
- 이 문장은 빈칸이 들어간 문장 바로 앞에서 학생들이 실험을 위해 필요한 실험실, 장비 및 화학물질을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사전조사가 반드시 필요함을 말해줍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답은 ⑤ preparation (준비)입니다.
결론
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31번 지문은 학생들이 학습 활동에 필요한 자원을 사전에 파악하고 준비하는 것이 창의성 향상에 필수적임을 강조합니다. 특정 학습 과제에 따라 필수적인 자원을 인식하고 준비함으로써 과제 수행을 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며, 자원이 부족할 경우에도 대안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창의적인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빈칸 추론 문제에 대한 해설을 통해 논리적이고 효과적으로 답을 추론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자부합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