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이 지문은 '베버의 법칙'을 통해 두 자극의 차이를 감지하는 인지 과정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 법칙은 자극의 강도가 크거나 작은지에 따라 차이를 감지할 수 있는 능력이 달라진다는 것을 강조하며, 자극의 크기가 커질수록 변화를 인식하기가 어려워진다는 원리를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보여줍니다.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장 구조와 맥락을 명확히 파악하며, 정답을 논리적으로 도출합니다. 이 글은 빈칸 추론 문제 해결 전략과 영어 독해 능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은 100% 다 그렇지는 않지만, 빈칸이 있는 문장부터 읽고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추론하라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가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4.

Weber’s law concerns the perception of difference between two stimuli. It suggests that we might not be able to detect a 1-mm difference when we are looking at lines 466 mm and 467 mm in length, but we may be able to detect a 1-mm difference when we are comparing a line 2 mm long with one 3 mm long. Another example of this principle is that we can detect 1 candle when it is lit in an otherwise dark room. But when 1 candle is lit in a room in which 100 candles are already burning, we may not notice the light from this candle. Therefore, the Just-noticeable difference (JND) varies as a function of the strength of the signals. For example, the JND is greater for very loud noises than it is for much more quiet sounds. When a sound is very weak, we can tell that another sound is louder, even if it is barely louder. When a sound is very loud, to tell that another sound is even louder, it has to be much louder. Thus, Weber’s law means that it is harder to distinguish between two samples _______________________. [3점]

① if their measurement units are not clearly determined

② as long as both rely on human measurement and judgment

③ as the researcher’s observation method has any little variation

④ when those samples are larger or stronger levels of the stimuli

⑤ where they belong to thoroughly different categories of stimuli

문장별 분석

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Weber’s law concerns the perception of difference between two stimuli.

주요 단어 정리

  • concern: ~와 관련되다 (동의어: relate to, deal with / 반의어: ignore)
  • perception: 인지, 지각 (동의어: recognition, awareness / 반의어: ignorance)
  • stimuli: 자극 (stimulus의 복수형)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eber’s law concerns/
  • 베버의 법칙은 관련이 있습니다/
  • [the perception/ <of difference / between two stimuli>].
  • [인지와/ <차이에 대한/ 두 자극 사이의>].

어법 설명

  • 특별히 언급할 어법 내용이 없습니다.

문장 2

It suggests that we might not be able to detect a 1-mm difference when we are looking at lines 466 mm and 467 mm in length, but we may be able to detect a 1-mm difference when we are comparing a line 2 mm long with one 3 mm long.

주요 단어 정리

  • suggest: 시사하다, 암시하다 (동의어: imply, indicate / 반의어: state explicitly)
  • detect: 감지하다, 탐지하다 (동의어: perceive, notice / 반의어: overlook)
  • be able to 부정사: '~할 수 있다'
  • length: 길이
  • in length: 길이는, 길이에 있어서 
  • compare: 비교하다 (동의어: contrast, examine / 반의어: differentiate)
  • ~mm[cm/m/km] long: ~밀리미터[센티미터/미터/킬로미터] 길이의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t suggests/
  • 그것은 시사합니다/
  • [that we might not be able to detect/ a 1-mm difference]/
  • [우리가 감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것을/ 1mm 차이를]
  • [when we are looking at/ [lines/ <466 mm and 467 mm/ in length>],/
  • [우리가 바라볼 때/ [선들을/ <466mm와 467mm인/ 길이에서(길이가)>],/
  • but/
  • 그러나/
  • we may be able to detect/ a 1-mm difference/
  • 그러나 우리는 감지할 수도 있습니다/ 1mm 차이를/
  • [when we are comparing/ <a line/ 2 mm long>/ <with one 3 mm long>].
  • [우리가 비교할 때/ <하나의 선을/ 2mm 길이의>/ <하나와(선과)/ 3mm 길이의>].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suggests[that we might not be able to detect/ a 1-mm difference]"에서 "that"는 동사 "suggests"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이고 '"~라는 것을"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시간의 부사절[when+주어+동사]
  • "[when we are looking at/~]"와 "[when we are comparing/~]"에서 사용된 어법. "~할 때"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장 3

Another example of this principle is that we can detect 1 candle when it is lit in an otherwise dark room. But when 1 candle is lit in a room in which 100 candles are already burning, we may not notice the light from this candle.

주요 단어 정리

  • principle: 원칙, 법칙 (동의어: rule, concept / 반의어: exception)
  • detect: 감지하다
  • otherwise: 다른 방식으로, 그렇지 않으면
  • notice: 알아차리다, 인지하다 (동의어: perceive, observe / 반의어: ignore)
  • lit: light의 과거분사형 (불이 켜진)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nother example/ of this principle>/
  • <또 다른 예가/ 이 원칙의>/
  • is [that we can detect/ 1 candle]/
  • [우리가 감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1개의 촛불을]/
  • [when it is lit/ in an otherwise dark room],/
  • [그것이 불이 켜졌을 때/ 다른 모든 것이 어두운 방에서],/
  • But/
  • 그러나/
  • [when 1 candle is lit/ [in a room/ in which/ 100 candles are already burning]],/
  • [1개의 촛불이 불이 켜졌을 때/ [방 안에서 / 그 안에서/ 100개의 촛불이 이미 타고 있는]],/
  • we may not notice/ <the light/ from this candle>.
  • 우리는 알아차리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그 빛을/ 이 촛불에서 나온>.

어법 설명

  • 낯설지만 정상적인 표현 in otherwise dark room
  • "in an otherwise dark room"이라는 표현은 문맥상 정확하고 자연스러운 표현입니다. 이 구문은 "다른 조건이라면 어두운 방"이라는 의미로, "일반적으로 어두운 상태"라는 점을 강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 시간의 부사절[when+주어+동사]
  • "[when it is litin an otherwise dark room]"와 "[when 1 candle is lit[in a room/ in which 100 candles are already burning]]"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할 때’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in which]
  • "a room/ in which 100 candles are already burning"]에서 '그 안에서/ 100개의 촛불이 이미 타고 있는 방'을 설명합니다. 수능에서는 “관계대명사+불완전한 문장”인 관계와 “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완전한 문장”의 관계가 기억해야 할 포인트입니다.

문장 4

Therefore, the Just-noticeable difference (JND) varies as a function of the strength of the signals.

주요 단어 정리

  • therefore: 따라서, 그러므로
  • Just-noticeable difference (JND): 최소 감지 차이
  • vary: 다르다, 달라지다 (동의어: change, differ / 반의어: remain constant)
  • as a function of~: ~의 함수로, ~에 따른[따라]
  • strength: 강도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refore,/
  • 따라서/ 
  • the Just-noticeable difference (JND) varies/
  • 최소 감지 차이(JND)는 달라집니다/
  • [as a function/ <of the strength/ of the signals>].
  • [함수로서/ <강도에 따른/ 신호의>].

어법 설명

  • 접속부사 therefore
  • 현재는 내신에서만 주로 출제되지만,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된 경우, 문맥상 적절한 접속부사를 선택하는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된 이력이 있고, 출제 패턴은 언제든 바뀔 수 있음에 유의하세요.
  • 전치사구 "as a function of~"
  • '신호의 강도에 따른'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문장 5

For example, the JND is greater for very loud noises than it is for much more quiet sounds.

주요 단어 정리

  • for example: 예를 들어
  • greater: 더 큰 (비교급)
  • loud noise: 큰 소음
  • quiet sound: 조용한 소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r example,/
  • 예를 들어,/
  • the JND is greater/ for very loud noises/
  • 최소 감지 차이가 더 큽니다/ 매우 큰 소음에 대해/
  • [than it is (great)/ for much more quiet sounds].
  • 그것이(최소 감지 차이가) 그런(큰) 것보다/ 훨씬 더 조용한 소리에 대해.

어법 설명

  • 접속부사 구 for example 
  • "예를 들어"의 의미를 전달. 현재는 내신에서만 주로 출제되지만,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된 경우, 문맥상 적절한 접속부사를 선택하는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된 이력이 있고, 출제 패턴은 언제든 바뀔 수 있음에 유의하세요.
  • 대동사 is
  • "[than it is (great)/ for much more quiet sounds]"에서 "is" 다음에 (great)이 생략된 형태로 동사 "is" 하나로 특정의 내용을 대신해서 대동사라 부릅니다. 의외로 모의고사나 수능에서 출제되는 유형 중 하나입니다.
  • 비교급 강조 부사
  • 비교급을 강조할 때 쓰이는 부사로, “much / even / far / still / a lot”가 있으며, 다른 부사, so, too, very 등은 사용하지 못함.

문장 6

When a sound is very weak, we can tell that another sound is louder, even if it is barely louder.

주요 단어 정리

  • weak: 약한 (동의어: faint, soft / 반의어: strong)
  • tell: 구별하다, 알다
  • barely: 거의 ~아니다
  • even if~: 비록 ~일지라도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a sound is very weak],/
  • [소리가 매우 약할 때],/
  • we can tell/
  • 우리는 구별할 수 있습니다/
  • [that another sound is louder],/
  • [다른 소리가 더 크다는 것을],/
  • [even if it is barely louder]./
  • [비록 그것이 거의 더 크지 않을지라도].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when+주어+동사]
  • [When a sound is very weak]”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할 때’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can tell/ [that another sound is louder]"에서 "that"은 동사 "tell"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양보의 부사절 “even if[ though / although / even though ] + 주어 + 동사”
  • [even if it is barely louder]"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비록 ~일지라도'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 비교급 강조 부사
  • 비교급을 강조할 때 쓰이는 부사로, “much / even / far / still / a lot”가 있으며, 다른 부사, so, too, very 등은 사용하지 못함.

문장 7

When a sound is very loud, to tell that another sound is even louder, it has to be much louder.

주요 단어 정리

  • loud: (소리가) 큰
  • barely: 거의 ~아니다
  • even if~: 비록 ~일지라도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a sound is very loud],/
  • [소리가 아주 클 때],/
  • [to tell/ [that another sound is even louder]],/
  • [알아내기 위해서(는)/ [다른 소리가 더 큰지를]],/
  • ;/ it has to be much louder.
  • 다시 말해서/ 그것이(다른 소리가) 훨씬 더 커야 합니다.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when+주어+동사]
  • "[When a sound is very loud]"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할 때’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tell[that another sound is even louder]]"에서 "to tell"은 "구별하기 위하여"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비교급 강조 부사[much / even / far / still / a lot]
  • 비교급을 강조할 때 사용하는 부사로 so, too, very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문장 8

Thus, Weber’s law means that it is harder to distinguish between two samples _______________________.

주요 단어 정리

  • thus: 따라서, 그러므로
  • distinguish: 구별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us,/
  • 따라서/
  • Weber’s law means/
  • 베버의 법칙은 의미합니다/
  • [that it is harder/ <to distinguish/ between two samples>]/
  • [그것이 더 어렵다는 것을/ [구별하는 것이/ 두 샘플 사이에서>]]/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할 때].

어법 설명

  • 접속부사 Thus 
  • "따라서, 그러므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현재는 내신에서만 주로 출제되지만,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된 경우, 문맥상 적절한 접속부사를 선택하는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된 이력이 있고, 출제 패턴은 언제든 바뀔 수 있음에 유의하세요.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meansthat it is harder/ <to distinguishbetween two samples>]"에서 "that"은 동사 "means"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It(가주어) ~ to 부정사(진주어) 용법
  •  it is harder/ <to distinguishbetween two samples>”에서 ”it“는 가주어, ”to distinguish~”은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한국어에는 없는 용법으로 어법에서는 it를 해석하지 말라고 말하지만, 용법의 이해를 위해 오히려 해석하기를 권합니다.
  • 빈칸의 추론
  • 문장 7에서 “한 소리와 다른 소리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한 소리가 훨씬 커야 함”을 진술하고 있으므로, 보기 중 이와 가장 일치하는 것“④ when those samples are larger or stronger levels of the stimuli(이러한 샘플들이 더 크거나 더 강한 수준의 자극(들)일 때)”뿐입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베버의 법칙: 자극의 크기가 클수록 차이를 인지하기 위해 다른 자극의 크기는 훨씬 커야 함“

근거 문장 제시

  • "When a sound is very loud, to tell that another sound is even louder, it has to be much louder.“
  • 이 문장은 자극이 강할수록 차이를 감지하기 위해 큰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답은 ④ when those samples are larger or stronger levels of the stimuli (샘플이 더 크거나 강한 자극 수준일 때)입니다.

결론

이 지문은 베버의 법칙이 자극의 강도에 따라 감지할 수 있는 차이가 달라진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자극이 클수록 작은 변화는 감지하기 어려워집니다.

본 분석 내용을 통해 학생들은 빈칸 추론 문제에 대한 해설을 통해 논리적이고 효과적으로 답을 추론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