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35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35번 지문은 새로운 공공 자원이 개시될 때 그 공공 자원의 사용상의 제한과 사람들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공유지의 비극'을 설명합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와 구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관련 없는 문장을 논리적으로 찾아내어 독해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접근법을 제공합니다.

“위에서 아래로” 독해해 가면서 글의 주제를 찾고 독해하고 있는 문장이 그 주제와 관련되는지 여부를 확인해 가면서 독해해 나간다면 어렵지 않게 답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가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5.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Any new resource (e.g., a new airport, a new mall) always opens with people benefiting individually by sharing a common resource (e.g., the city or state budget). Soon, at some point, the amount of traffic grows too large for the “commons” to support. ① Traffic jams, overcrowding, and overuse lessen the benefits of the common resource for everyone ― the tragedy of the commons! ② If the new resource cannot be expanded or provided with additional space, it becomes a problem, and you cannot solve the problem on your own, in isolation from your fellow drivers or walkers or competing users. ③ The total activity on this new resource keeps increasing, and so does individual activity; but if the dynamic of common use and overuse continues too long, both begin to fall after a peak, leading to a crash. ④ Likewise, common resource such as knowledge and information is infinite one whose relative value decreases as the number of users increases, but will not be totally consumed though overused. ⑤ What makes the “tragedy of commons” tragic is the crash dynamic ― the destruction or degeneration of the common resource’s ability to regenerate itself.

문장별 분석

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35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Any new resource (e.g., a new airport, a new mall) always opens with people benefiting individually by sharing a common resource (e.g., the city or state budget).

주요 단어 정리

resource: 자원 (동의어: asset, supply / 반의어: scarcity)

open with~: ~로 시작하다

benefit: 혜택을 누리다, 이익을 얻다 (동의어: gain, profit / 반의어: suffer)

individually: 개인적으로, 개별적으로 (동의어: separately / 반의어: collectively)

by sharing: 공유함으로써

common resource: 공공 자원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ny new resource/ (e.g., a new airport, a new mall)>/
  • <어떤 새로운 공공 자원이든(예를 들어, 새로운 공항, 새로운 쇼핑몰 같은)>/
  • always opens/
  • 항상 시작합니다.
  • [with people/ <(who or that are) benefiting/ individually>].
  • [사람들과 함께/ <이익을 얻고 있는/ 개별적으로>>].
  • [by sharing/ <a common resource/ (e.g., the city or state budget)>].
  • [공유함으로써/ <공공 자원을/ (예를 들어, 도시나 주의 예산 같은)>].

어법 설명

  • ‘~하고 있는/~하는’의 의미로 사용된 동사+ing[현재분사]
  • "people/ <(who or that are) benefiting/ individually>"에서 "people/ <(who or that are) benefiting/ individually>"은 ‘이익을 얻고 있는’이나 ‘이익을 얻는’의 의미로 사용된 현재분사입니다. 선행사 people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who are나 that are)”가 생략된 형태나 의미와 동일합니다.
  • ‘~하기/ ~하는 것’의 의미로 사용된 동사+ing[동명사]
  • "[by sharing/ <a common resource/ (e.g., the city or state budget)>]"에서 "sharing"은 ‘공유하는 것’의 의미로 사용된 동명사입니다. 다만, by ~ing의 직역된 의미인 ‘~하는 것에 의하여’의 의미를 보다 한국어에 가깝게 ‘~함으로써“로 의역할 뿐입니다. 

문장 2

Soon, at some point, the amount of traffic grows too large for the “commons” to support.

주요 단어 정리

  • soon: 곧
  • at some point: 어떤 시점에
  • traffic: 교통량, 이용량 (동의어: usage, flow)
  • grow too large: 너무 커지다
  • too+형용사/부사+ to 부정사: ~하기에 너무 –한[너무 –해서 ~할 수 없다]
  • commons: 공유 자원, 공공재
  • support: 뒷받침하다, 감당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oon,/
  • 곧,/
  • at some point,/
  • 어떤 시점에,/
  • <the amountof traffic> grows too large/
  • <그 양이/ 교통의(교통량이)> 너무 커집니다(커져서)/
  • <for the “commons”/ to support>.
  • <공유 자원이/ 감당하기에는(공유 자원이 감당할 수 없습니다)>.

어법 설명

  • too+형용사/부사+to 부정사
  • ’~하기에는 너무 –한 / 너무 –해서 ~할 수 없다‘의 의미로 사용되며, “so+형용사/부사+that+주어+can’t~“로 바꿔쓸 수 있다. 여기서는 ”~grows so large that the ”commons“ can't support it”이 됩니다. 여기서 it는 the amount of traffic입니다.

문장 3

① Traffic jams, overcrowding, and overuse lessen the benefits of the common resource for everyone ― the tragedy of the commons!

주요 단어 정리

  • traffic jam: 교통 체증
  • overcrowding: 과밀, 혼잡 (동의어: congestion)
  • overuse: 과다 사용 (동의어: excessive use)
  • lessen: 줄이다, 감소시키다 (동의어: reduce, diminish / 반의어: increas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raffic jams, overcrowding, and overuse>/ lessen/
  • <교통 체증, 과밀, 과다 사용은>/ 줄입니다/
  • [the benefits/ <of the common resource/ for everyone>].
  • [그 혜택을/ <공공 자원의/ 모든 사람을 위한>].
  • ―/ <the tragedy/ of the commons>!
  • 다시 말해,/ <비극/ 공유지의>인 거죠!

어법 설명

  • 특별히 언급할 어법 내용이 없습니다.
  • 문장의 흐름과의 관련성 검토 1
  • “공유지(공공재)”의 이용 용량의 제한에 관한 설명으로 글의 흐름과 일치합니다. 

문장 4

② If the new resource cannot be expanded or provided with additional space, it becomes a problem, and you cannot solve the problem on your own, in isolation from your fellow drivers or walkers or competing users.

주요 단어 정리

  • expand: 확장하다 (동의어: enlarge, increase / 반의어: contract)
  • additional: 추가적인
  • on one’s own: 혼자서
  • in isolation from~: ~와 격리된(분리된) 상태에서
  • fellow: 동료, 같은 무리의 사람
  • competing: 경쟁하는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the new resource <cannot be expanded or provided>/ with additional space],/
  • [만약 새로운 자원이 <확장되거나/ 제공되지 않는다면>/ 추가적인 공간이],/
  • it becomes a problem.
  • 그것은 문제가 됩니다.
  • and/
  • 그리고/
  • you cannot solve/ the problem/ on your own,/
  • 당신은 해결할 수 없습니다/ 그 문제를/ 혼자서,/
  • in isolation/ <from your fellow drivers or walkers or competing users>.
  • 격리된(분리된) 상태에서/ <동료 운전자, 보행자, 혹은 경쟁하는 사용자들로부터>.

어법 설명

  • 부정확해 보이지만 어법적으로 허용되는 표현
  • "[If the new resource <cannot be expanded or provided>/ with additional space]"에서 원래는 주어가 다르기에 "If the new resource cannot be expandedorif additional space cannot be provided"나 "If the new resource cannot be expandedoradditional space cannot be provided"처럼 분리해서 써야 할 것으로 보이나 영어에서는 주어가 동일하지 않더라도 문맥상 이해가 가능하고 의미가 명확하다면 생략이나 병렬 구조를 통해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표현이 종종 사용되고 허용됩니다.
  • 조건의 부사절[if+주어+동사]
  • [If the new resource <cannot be expanded or provided>/~]”에 사용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한다면’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수동태[조동사+be+pp]
  • "<cannot be expanded or provided>"는 수동태 표현으로 "확장될 수 없거나 제공될 수 없다"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 In isolation from~
  • in isolation from~"은 "~로부터 격리된(분리된) 상태에서"라는 의미로, 특정한 집단이나 대상을 배제하거나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상황을 강조합니다. 직역하면 ‘~와의 격리[분리] 속에서’로 비슷한 의미를 전달한다.
  • 문장의 흐름과의 관련성 검토 2
  • “공유지(공공재)”의 이용 용량에 대한 추가 조치가 없는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글의 흐름과 일치합니다. 

문장 5

③ The total activity on this new resource keeps increasing, and so does individual activity; but if the dynamic of common use and overuse continues too long, both begin to fall after a peak, leading to a crash.

주요 단어 정리

  • total activity: 전체 활동량
  • keep increasing: 계속해서 증가하다
  • individual activity: 개별적인 활동(량)
  • dynamic: 역학, 흐름
  • common use: 공동 사용
  • overuse: 과다 사용
  • continue: 지속되다
  • begin to 부정사: ~하기 시작하다
  • fall: 떨어지다, 감소하다, 빠지다
  • peak: 절정, 최고점
  • lead to~: ~로 이어지다
  • crash: 붕괴, 급락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total activityon this new resource>/
  • <전체 활동량은/ 이 새로운 자원에 대한>
  • keeps increasing,/
  • 계속해서 증가합니다,/
  • and/
  • 그리고/
  • so does individual activity;/
  • 개별 활동량도 마찬가지입니다;/
  • but/
  • 그러나/
  • [if [the dynamic/ <of common use and overuse>]continues/ too long],/
  • [만약 [흐름이/ <공동 사용과 과다 사용의>]/ 지속된다면/ 너무 오래],/
  • both begin to fallafter a peak,/
  • 둘 다 감소하기 시작합니다/ 절정 이후에,/
  • [leadingto a crash].
  • [이어지면서/ 붕괴로].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The total activity’로 단수이기 때문에 동사구도 단수 형태인 ‘keeps increasing’이 사용되었음에 유의하세요.
  • 도치 구문
  • so does individual activity’에서 "so does"는 "앞 문장의 동사 구문을 뒤에서 반복하여 나타내는 도치 구문으로 '앞서 언급된 것과 마찬가지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사소한 지적
  • "so does individual activity;’"서 ";"는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합니다. 아마도 ”,“을 써야 할 부분이 단순 오타가 난 것으로 보입니다.
  • 조건의 부사절[if+주어+동사]
  • "[if [the dynamic/ <of common use and overuse>]continues/ too long]]"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 ~한다면’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조건의 부사절에서의 수의 일치
  • "[if [the dynamic/ <of common use and overuse>]continues/ too long]]"에서 if 절의 주어는 ‘the dynamic’으로 단수이기 때문에 if 절의 동사도 ‘단수 형태인 "continues".
  • 분사구문
  • "[leadingto a crash]"는 "[while they leadto a crash]“에서 접속사(while)와 주어(they=common use and overuse)가 생략되고 "lead"가 "leading"으로 바뀐 분사구문입니다.
  • 문장의 흐름과의 관련성 검토 3
  • 추가적인 조치가 없는 경우의 “공유지(공공재)”의 이용량의 감소와 붕괴에 대한 설명으로 글의 흐름과 일치합니다. 

문장 6

④ Likewise, common resource such as knowledge and information is an infinite one whose relative value decreases as the number of users increases, but will not be totally consumed though overused.

주요 단어 정리

  • likewise: 마찬가지로
  • common resource: 공공 자원
  • infinite: 무한한 (동의어: endless, limitless / 반의어: finite)
  • consume: 소비하다, 소모하다 (동의어: deplete / 반의어: conserv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Likewise,/
  • 마찬가지로,/
  • [common resource/ <such as knowledge and information>]/
  • [공공 자원은/ <지식과 정보와 같은>]/  
  • [[is an infinite one/ whose relative value decreases[as <the numberof users>/ increases]],/ but[will not be totally consumed[though overused]]].
  • [[무한한 자원입니다/ 그것의 상대적 가치가 감소하는/ [<사용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서]]그러나/ [완전히 소비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과다 사용되더라도]]].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및 동사구의 병치
  • 이 문장의 주어는 ‘common resource’로 단수이기 때문에 첫 번째 동사구도 단수 형태인 ‘is~’가 사용되었음에 유의하세요. 또한 두 개의 동사구 ”[is an infinite one/ whose relative value decreases[as <the numberof users>/ increases]]"“와 ”[will not be totally consumed[though overused]]“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 소유격 관계대명사 whose
  • "an infinite one/ whose relative value decreases[as <the numberof users>/ increases]"에서 "whose"는 선행사 ”an infinite one (무한한 자원)“을 수식합니다. 해석은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을 참고하세요.
  • 시간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할 때/~함에 따라서”의 의미를 전달.
  • 수동태[will not be+pp]
  • "will not be totally consumed"는 "수동태"로 ”완전히 소비되지 않을 겁니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수동태“는 일반적으로 ‘~되어지다/~당하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한국어는 수동태가 제한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수동태‘에 익숙해지기 위해서는 가급적 다소 부자연스럽다 하더라로 본래의 의미 그대로 해석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분사구문
  • "[though overused]"는 "비록 과다 사용되더라도"라는 의미로 양보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though it is overused]"의 종속절에서 주어 it가 생략되고 is가 being으로 바뀐 후 역시 생략된 분사구문입니다.
  • 문장의 흐름과의 관련성 검토 4
  • 지금까지 다뤄온 주제는 유한 자원인 “공유지(공공재)”에 대한 주제였다면, 이 문장은 무한 자원에 해당하는 지식과 정보에 대한 것으로 주제에서 벗어납니다따라서, 실전에서는 정답을 ④번으로 선택한 후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 문제로 넘어갑니다

문장 7

⑤ What makes the “tragedy of commons” tragic is the crash dynamic ― the destruction or degeneration of the common resource’s ability to regenerate itself.

주요 단어 정리

  • tragedy: 비극 (동의어: disaster, calamity / 반의어: triumph)
  • the tragedy of commons: 공유지의 비극(→the tragedy of the commons)
  • tragic: 비극적인
  • crash dynamic: 충돌역학
  • destruction: 파괴
  • degeneration: 퇴화, 쇠퇴 (동의어: decline / 반의어: improvement)
  • regenerate: 재생하다 (동의어: renew, revive / 반의어: deca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at makes/ <the “tragedy of (+the) commons”>/ tragic]/
  • [만드는 것은/ ‘공유지의 비극’을/ 비극적으로]/
  • <is the crash dynamic>/
  • <충돌 역합니다>/
  • ―/ [<the destruction or degeneration>/ [of the common resource’s ability/ to regenerate itself>]].
  • 다시 말해서/ [<파괴 또는 쇠퇴라는>/ [공공 자원이 능력의/ <재생할 수 있는/  스스로>]].

어법 설명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 수의 일치
  • "[What makes/ <the “tragedy of (+the) commons”>/ tragic]"에서 "What"은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로, 문장 내에서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수능에서는 “관계대명사+불완전한 문장”인 관계를 기억하세요. 단수 취급하며, 따라서 동사도, “is”가 사용되었습니다.
  • 5형식 기본 문형
  • makes/ <the “tragedy of (+the) commons”>/ tragic“은 5형식 기본문형에서 목적격 보어로 형용사(tragic)가 사용된 문형입니다. 한국어로 해석할 때 형용사가 부사처럼 ”~하게”로 해석되기 때문에 수능, 모의고사, 및 내신에서 자주 출제됩니다. 목적격 보어로는 반드시 명사나 형용사가 와야 함에 유의하세요.
  • 사소한 표현의 오류
  • “공유지의 비극“의 올바른 표현은, ”the tragedy of the commons“입니다. 그러나 문맥을 이해하는 데는 큰 문제가 없습니다.
  • -(hyphen)의 역할
  • ―/ [<the destruction or degeneration>/~]“에서 ”the crash dynamic“을 부연 설명하는 역할로, ”즉/다시 말해서‘ 정도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사용량이나 사용 인원수에 제한이 있는 공공 자원은 사용량이 과다할 때 파괴로 이어진다. 

근거 문장

제시문제의 특성상 제시할 근거 문장이 없습니다. 문장별 분석이나 결론을 참조하세요.

정답 제시

가장 적절한 답은 ④번입니다.

결론

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35번 지문은 새로운 공공 자원이 자원의 제한성과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공유지의 비극'을 설명합니다. 문장 4는 다른 문장과 달리 "지식과 정보"라는 무한 자원을 다루어 흐름과 어울리지 않습니다.

이 분석은 학생들에게 논리적 사고와 텍스트의 핵심 흐름을 파악하는 능력을 키우는 데 도움을 주며, 보다 깊이 있는 문제 해결력을 갖추도록 돕습니다.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와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Chunk)를 기반으로 한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적 차이와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으로 한 의미 해석은 독자의 영어 독해력 향상을 지원하며, 상세한 어법(문법) 설명은 문장의 구조적 이해를 강화합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