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36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이 지문은 “뇌의 정보 저장과 회상(상기)“에 대한 이론적 설명과, 이를 최적화하는 뇌의 전략적 처리 방식에 대해 설명합니다. 뇌의 이론적 저장 용량과 에너지 수요 간의 균형 문제를 다루며, 뇌가 일반적인 인식 패턴을 통해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방식을 탐구합니다.

순서 배열 문제에 대한 Tip을 드리자면, 각 단락 간의 논리적 관계뿐만 아니라 각 단락 내에 사용된 접속부사, 대명사, 지시 형용사, 지시 대명사, 어휘를 바꿔서 표현하지만, 반복되는 표현에 유의하면서 순서를 파악해 나가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와 구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문장 배열 순서를 논리적으로 찾아내어 독해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접근법을 제공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6~37]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6.

Theoretically, our brain would have the capacity to store all experiences throughout life, reaching the quality of a DVD. However, this theoretical capacity is offset by the energy demand associated with the process of storing and retrieving information in memory.

(A) Nevertheless, we are able to recognize the face as the same, maintaining the underlying identity. The brain, rather than focusing on the details of visualization, creates and stores general patterns that allow for consistent recognition across diverse circumstances.

(B) As a result, the brain develops efficient strategies, becoming dependent on shortcuts. When we observe a face, the visual image captured by the eyes is highly variable, depending on the point of view, lighting conditions and other contextual factors.

(C) This ability to match what we see with general visual memory patterns serves as an effective mechanism for optimizing brain performance and saving energy. The brain, being naturally against unnecessary effort, constantly seeks to simplify and generalize information to facilitate the cognitive process.

* offset: 상쇄하다 ** retrieve: 상기하다

① (A)-(C)-(B) ② (B)-(A)-(C) ③ (B)-(C)-(A)

④ (C)-(A)-(B) ⑤ (C)-(B)-(A)

문장별 분석

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36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제시된 문장

Theoretically, our brain would have the capacity to store all experiences throughout life, reaching the quality of a DVD. However, this theoretical capacity is offset by the energy demand associated with the process of storing and retrieving information in memory.

주요 단어 정리

  • theoretically: 이론적으로
  • capacity: 용량, 능력 (동의어: capability, potential / 반의어: incapacity)
  • store: 저장하다 (동의어: keep, save / 반의어: discard)
  • experience: 경험
  • throughout life: 일생의, 평생의
  • reach: 이르다, 다다르다, 도달하다, 달하다
  • offset: 상쇄하다 (동의어: balance, counteract)
  • energy demand: 에너지 수요
  • associated with~: ~와 관련된/~와 연관된
  • process: 과정
  • of ~ing: ~하는
  • retrieve: 상기하다, 되찾다 (동의어: recall, recover / 반의어: forget)
  • memory: 기억 (동의어: recollection / 반의어: amnesia)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oretically,/
  • 이론적으로,/
  • our brain would have/
  • 우리의 뇌는 가지고 있을 겁니다/
  • [[the capacity/ [to store/ [<all experiences/ throughout life>,/ (which or that are) reaching/ <the quality/ of a DVD>]]]].
  • [[용량을/ [저장하기 위한/ [<모든 경험을/ 일생의>,/ 달하는/ <그 품질에/ DVD의>]]]].
  • However,/
  • 그러나,/
  • this theoretical capacity is offset/
  • 이러한 이론적인 용량은 상쇄됩니다/
  • [by the energy demand/ (which or that is) associated/ [with the process/ <of storing and retrieving/ information/ in memory>]].
  • [에너지 수요에 의해/ 관련된/ [그 과정과/ <저장하고 상기하는/ 정보를/ 기억에서>]].

어법 설명

  • 가정법 과거적 표현
  • 문장에서 "our brain would have[[the capacity/ [to store[<all experiences/ throughout life>,/ (which or that are) reaching/ <the quality/ of a DVD>]]]]"에서 ”would have“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거나 추상적인 상황을 가정하는 가정법 과거 표현입니다.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the capacity/ [to store[<all experiences/ throughout life>,/ (which or that are) reaching/ <the quality/ of a DVD>]]]"에서 ”to store“는 앞에 나온 명사 ”the capacity”를 수식하며 “저장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일반적으로 문장 내에서 “~할/~하는/~하기 위한‘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 ~하는‘의 의미로 사용된 동사+ing[현재분사]
  • [the capacity/ [to store[<all experiences/ throughout life>,/ (which or that are) reaching/ <the quality/ of a DVD>]]]“에서 "reaching"은 ”달하는“의 의미로 선행사인 [the capacity/ [to store/ [<all experiences/ throughout life>]]]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 which is나 that is가 생략된 의미와 동일합니다.
  • 수동태[be+pp+by+행위자]
  • "is offset/ [by~]"는 수동태로, "~에 의해 상쇄된다"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 ’~되어진‘의 의미로 사용된 동사+ed[과거분사]
  • the energy demand/ (which or that is) associated[with the process/ <of storing and retrieving/ information/ in memory>]“에서 "associated"은 ”관련된/연관된“의 의미로 선행사인 ”the energy demand“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 which is나 that is가 생략된 의미와 동일합니다.
  • "~하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of+v-ing"
  • "<of storing and retrieving/ information/ in memory>"에서 "of storing and retrieving"은 "저장하고 상기하는"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단락 A

Nevertheless, we are able to recognize the face as the same, maintaining the underlying identity. The brain, rather than focusing on the details of visualization, creates and stores general patterns that allow for consistent recognition across diverse circumstances.

주요 단어 정리

  • nevertheless: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의어: however, still / 반의어: therefore)
  • be able to 부정사: ~할 수 있다
  • recognize: 인식하다, 알아보다 (동의어: identify, perceive / 반의어: ignore)
  • maintain: 유지하다 (동의어: keep, preserve / 반의어: neglect)
  • underlying: 근본적인, 기본적인 (동의어: fundamental, basic / 반의어: superficial)
  • identity: 정체(성), 신원
  • rather than ~ing: ~하기 보다
  • focus on~: ~에 집중하다 (동의어: concentrate on~)
  • the details of visualization: 시각화의 세부 사항, (문맥상) 시각적인 정보(→visual information)
  • create: 생성하다, 만들어내다
  • general: 일반적인
  • pattern: 패턴, 양식 (동의어: model, structure / 반의어: chaos)
  • allow for~: (특정 조건을 감안하여) 가능하게 하다 (동의어: enable) 
  • consistent: 일관된 (동의어: steady, uniform / 반의어: inconsistent)
  • recognition: 인식, 인지, 알아봄
  • across diverse circumstances: 다양한 상황 전반에 걸쳐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Nevertheless,/
  • 그럼에도 불구하고,/
  • we are able to recognize/ the face/ as the same,/
  • 우리는 인식할 수 있습니다/ 얼굴을/ 동일한 것으로,/
  • [maintaining/ the underlying identity].
  • [유지하면서/ 근본적인 정체성을].
  • The brain,/
  • 뇌는/
  • [rather than focusing/ <on the details/ of visualization>],/
  • [집중하기보다/ <세부 사항에/ 시각화의>],/
  • creates and stores/
  • 생성하고 저장합니다/
  • [general patterns/ that allow for/ consistent recognition/ across diverse circumstances].[일반적인 패턴을/ 가능하게 하는/ 일관된 인식을/ 다양한 상황 전반에 걸쳐서].

어법 설명

  • 접속부사 Nevertheless
  • "그럼에도 불구하고"의 의미를 전달하며, 내신에서는 한 지문에 접속부사 3개 이상이 사용되는 경우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될 수 있습니다.
  • 분사구문
  • "[maintaining/ the underlying identity]"는 ”[while we maintain/ the underlying identity]“라는 종속절에서 접속사(while)과 주어(we)를 생략하고 동사 "maintain"을 "maintaining"으로 변경한 분사구문입니다. "~하면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하기/~하는 것”의 의미로 사용된 동명사[동사+ing]
  • "[rather than focusing/ <on the details/ of visualization>]"에서 ”focusing“은 ”집중하기“의 의미로 사용된 동명사입니다. 일반적으로 문맥에 따라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다만, 비교의 대상이 동사를 비교하고 있어, "[rather than focuse/ <on the details/ of visualization>]"으로 표현하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 표현의 오류
  • 이 글을 쓰신 분은 이 단락에서 ”the details/ of visualization“의 의미를 ‘시각화의 세부사항”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시각적인 정보(visual information)이나 ”시각적인 세부사항(visual details)“로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했습니다. 이는 ”구체적인 정보“를 ”구체화의 세부 사항“처럼 표현한 것으로 표현력이 없는 사람이 어려운 표현을 쓴 것과 같습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general patterns/ that allow for/ consistent recognition/ across diverse circumstances]"에서 ”that“은 선행사인 "general pattern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입니다. "다양한 상황 전반에 걸쳐서 일관된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일반적인 패턴"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수능에서는 “관계대명사+불완전한 문장”의 관계를 기억하세요.

단락 B

As a result, the brain develops efficient strategies, becoming dependent on shortcuts. When we observe a face, the visual image captured by the eyes is highly variable, depending on the point of view, lighting conditions and other contextual factors.

주요 단어 정리

  • as a result: 결과적으로
  • develop: 개발[수립]하다, 발전[발달]시키다 (동의어: create, cultivate / 반의어: halt)
  • strategy: 전략 (동의어: plan, approach)
  • dependent on~: ~에 의존하는 (동의어: reliant on / 반의어: independent)
  • shortcut: 지름길, 간단한 방법
  • observe: 관찰하다 (동의어: watch, perceive / 반의어: overlook)
  • variable: 변하기 쉬운, 가변적인, 다양한 (동의어: changeable, flexible / 반의어: constant)
  • depending on~: (전치사구) ~에 따라
  • the point of view: 관점
  • lighting condition: 조명 상태[조건]
  • contextual factors: 맥락적 요소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s a result,/
  • 결과적으로,/
  • the brain develops/
  • 뇌는 개발합니다(수립합니다)/
  • efficient strategies,/
  • 효율적인 전략들을,/
  • [becoming dependent/ on shortcuts]./
  • [의존적이 되면서/ 지름길에]./
  • [When we observe/ a face],/
  • [우리가 관찰할 때/ 한 얼굴을],/
  • [the visual image/ (which is or that is) captured/ by the eyes]/
  • [그 시각적 이미지는/ 포착된/ 우리 눈에 의해]/
  • is highly variable,/
  • 상당히 가변적입니다,/
  • [depending on/ <the point of view,/ lighting conditions/ and/ other contextual factors>].
  • [<관점,/ 조명 조건/ 및/ 기타 맥락적 요인들>에 따라].

어법 설명

  • 접속부사 구 as a result
  • "결과적으로"의 의미를 전달하며, 내신에서는 한 지문에 접속부사 3개 이상이 사용되는 경우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될 수 있습니다.
  • 분사구문
  • "[becoming dependent/ on shortcuts]"는 ”[while it(=the brain) becomes dependent/ on shortcuts]“라는 종속절에서 접속사(while)과 주어(it=the brain)를 생략하고 동사 "becomes"를 "becoming"으로 변경한 분사구문입니다. ’~하면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시간의 부사절[when+주어+동사]
  • ”~할 때“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 ’~되어진‘의 의미로 사용된 동사+ed[과거분사]
  • "[the visual image(which is or that is) capturedby the eyes]"에서 "captured"은 ”포착된“의 의미로 선행사인 ”the visual image“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 "which is"나 "that is"가 생략된 의미와 동일합니다.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2번째 문장의 주어는 ”the visual image“로 단수이고,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is“.

단락 C

This ability to match what we see with general visual memory patterns serves as an effective mechanism for optimizing brain performance and saving energy. The brain, being naturally against unnecessary effort, constantly seeks to simplify and generalize information to facilitate the cognitive process.

주요 단어 정리

  • ability: 능력
  • match: 일치시키다, 맞추다 (동의어: align, pair / 반의어: mismatch)
  • visual: 시각의, 시각적인
  • pattern: 양식, 패턴
  • serve as~: ~로 작용하다
  • effective mechanism: 효과적인 메카니즘
  • for ~Ing: ~하기 위한
  • optimize: 최적화하다 (동의어: enhance, improve / 반의어: degrade)
  • performance: 성능, 수행 (동의어: operation, execution)
  • naturally: 자연스럽게, 자연적으로
  • be against~: ~에 반대하다, ~에 대항하다
  • unnecessary effort: 불필요한 노력
  • constantly: 지속적으로
  • seek to 부정사: ~하기를 시도[주구]하다
  • simplify: 단순화하다 (동의어: streamline, clarify / 반의어: complicate)
  • generalize: 일반화하다 (동의어: categorize, universalize / 반의어: specify)
  • facilitate: 가능하게 하다, 용이하게 하다
  • cognitive: 인지의 (동의어: mental, intellectual)
  • cognitive process: 인지 과정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ability[to match/ [what we see]/ with general visual memory patterns]]/
  • [이 능력은/ [일치시키는/ [우리가 보는 것을]/ 일반적인 시각적 기억 패턴과]]/
  • serves/
  • 작용합니다/
  • [as an effective mechanism/ [<for optimizing/ brain performance>/ and/ <(for) saving/ energy>]].
  • [효과적인 메커니즘으로/ [<최적화하기 위한/ 뇌의 성능을>/ 그리고/ <절약하기 위한/ 에너지를>]].
  • [The brain,/ (which is or that is) being naturally against unnecessary effort],/
  • 뇌는,/ 자연스럽게 불필요한 노력에 대항하고 있는],/
  • constantly seeks to simplify and generalize/ information/
  • 지속적으로 단순화하고 일반화하려고 시도한다/ 정보를/
  • <to facilitate/ the cognitive process>.
  •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인지 과정을>.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첫 번째 문장의 주어는 ”This ability“로 단수이고, 동사도 단수 형태인, ”serves“.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This ability[to match[what we see]with general visual memory patterns]]"에서 “to match”는 앞에 위치한 주어  “This ability”를 수식하여 “일치시키는”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하는 것"
  • "[what we see]"에서 "what"은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로 "우리가 본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전치사 목적어로 사용된 동사+ing[동명사]
  • "[<for optimizing/ brain performance>/ and/ <(for) saving/ energy>]"에서 “optimizing” 및 “saving”은 전치사 “for“의 목적어로 각각 ”최적화하기“ 및 ”절약하기“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일반적으로 동명사는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두 번째 문장의 주어는 ”The brain“으로 단수이고, 동사도 단수 형태인 ”seeks“.
  • “~하고 있는/~하는”의 의미로 사용된 현재분사[동사+ing]
  • [The brain,/ (which is or that is) being naturally against unnecessary effort]”에서 “being”은 “대항[반대] 하고 있는/대항[반대]하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현재분사입니다. 선행사인 “The brain”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 즉, “which is“나 ”that is“가 생략된 형태와 의미상 동일합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facilitate/ the cognitive process>“에서 사용된 어법으로, ”to facilitate“는 ”용이하게(쉽게) 하기 위하여“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정보 처리의 효율성 및 에너지 절약을 위한 뇌의 시각 정보 처리 방식“ 

순서 분석 (문해력을 갖춘 독자용)

  • (B)에서는 뇌가 효율적인 전략을 개발하여 시각적 인식에서 변화를 다루는 방식을 설명합니다. (A)에서는 이를 통해 뇌가 일관된 패턴을 유지하는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하며, (C)에서는 이 전략이 에너지 절약과 인지 과정 최적화에 기여하는 점을 강조합니다.

순서 분석 (문해력이 약한 독자용)

  • 접속부사, 대명사, 지시 형용사/대명사, 연결되는 어휘나 표현을 통한 추론 방식을 사용해 순서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 접속부사와 연결을 통한 추론
  • (B) 문장은 "As a result"라는 접속부사로 시작하여 앞 문장에서 언급된 원인에 따른 결과를 제시합니다. 이는 뇌가 정보 처리를 위해 효율적인 전략을 개발하게 된 배경이 먼저 논의된 후에 나와야 합니다.
  • 예시: "The brain faces challenges in processing information due to energy limitations. As a result, it develops efficient strategies..."
  • 따라서, (B)는 뇌의 정보 처리와 관련된 배경 설명이 제공된 후에 나와야 자연스럽습니다.
  • 반복된 단어 연결을 통한 추론
  • (A) 문장에서는 "the face"라는 표현이 등장합니다. 이는 특정한 얼굴을 지칭하기보다는 일반적인 개념을 나타냅니다. (B)에서 "we observe a face"라는 내용이 먼저 등장하여 얼굴의 시각적 변화를 설명하므로, "the face"라는 표현이 사용된 (A)는 (B) 뒤에 와야 자연스러운 흐름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B)에서 얼굴의 시각적 변화를 설명한 후 (A)에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동일한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라는 논리적 흐름으로 이어지는 점이 자연스럽습니다.
  • 지시 형용사와의 연결
  • (C) 문장에서는 "This ability"라는 표현이 등장합니다. 이는 앞서 설명된 특정 능력을 지칭하며, (A)에서 설명된 뇌가 "일반적인 패턴을 저장하고 이를 통해 일관된 인식을 유지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This ability"가 (A)에 대한 설명을 이어받아 구체적으로 확장하기 때문에 (C)는 (A)에 이어 나와야 자연스럽습니다.

정답 제시

  • 결론적으로, 문장 순서는 ② “(B)-(A)-(C)“가 적절합니다.

결론

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36번 지문은 뇌가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시각적 패턴을 일반화하는 방식을 설명합니다. 각 문장에서 뇌가 효율적인 전략을 개발하고 시각적 인식에서 패턴을 유지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다양한 상황에서도 일관된 인식을 유지하기 위해 뇌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본 분석을 통해 학생들은 논리적으로 단락과 단락 사이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파악하는 동시에 지문 내 사용된 접속부사, 대명사, 지시 형용사, 지시 대명사 및 반복되는 의미를 통해 정확한 글의 순서를 파악하는 훈련을 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은 글의 구조를 명확히 이해하도록 돕고, 문장 순서 배열 문제의 해법을 논리적으로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독해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동시에 향상시키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