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19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19번 문제: 심경 변화와 문맥 이해의 중요성"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19번 문제는 서술자의 심경 변화를 중심으로 독자의 추론 능력을 평가합니다. 글은 농구 코치와의 짧은 대화를 통해 주인공이 느끼는 희망에서 좌절로의 감정 변화를 생생히 그려내며, 학생들이 문맥 속에 드러난 심리적 변화를 이해하도록 돕습니다.

주요 독해 포인트는 "심경 변화의 단서 찾기", "대화문 속 숨겨진 의미 해석", 그리고 "문맥을 통해 시간적 흐름 파악"입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시험에서 자주 등장하는 심경 변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문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19. 다음 글에 드러난 ‘I’의 심경 변화로 가장 적절한 것은?

As I waited outside the locker room after a hard‐fought basketball game, the coach called out to me, “David, walk with me.” I figured he was going to tell me something important. He was going to select me to be the captain of the team, the leader I had always wanted to be. My heart was racing with anticipation. But when his next words hit my ears, everything changed. “We’re going to have to send you home,” he said coldly. “I don’t think you are going to make it.” I couldn’t believe his decision. I tried to hold it together, but inside I was falling apart. A car would be waiting tomorrow morning to take me home. And just like that, it was over.

① hopeful → frustrated ② confident → jealous ③ anxious → grateful

④ relaxed → indifferent ⑤ bored → annoyed

문장별 분석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19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As I waited outside the locker room after a hard-fought basketball game, the coach called out to me, “David, walk with me.”

주요 단어 정리

  • hard-fought: 치열한 경쟁이 있었던
  • locker room: 라커룸, 탈의실
  • called out to~: ~를 불렀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s I waited/ outside the locker room/ after a hard-fought basketball game],/
  • [내가 기다렸을 때/ 라커룸 밖에서/ 치열한 농구 경기가 끝난 후에],/
  • the coach called out to/ me,/ “David,/ walk/ with me.”
  • 코치가 불렀다/ 나를,/ “데이비드,/ 걷자/ 나와 함께."(라고 말하며)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감정의 변화 문제 풀이 Tip
  • 감정의 변화에 대한 문제 풀이 Tip은 ① 첫 번째 감정을 빨리 파악하라는 것입니다. ② 첫 번째 감정의 형용사를 판별하기 어렵다면 “감정의 대조적 변화” 관계로 판단하라는 것입니다. 이 두 가지 측면에서, 현재까지의 형태에서는 보기의 감정 중 5개가 다 일치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첫 번째 감정 상태만 파악하면 바로 답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만일을 위해 보기의 감정이 다 다른지만 확인하고 다르다면 첫 번째 감정만 확인하세요.

문장 2

I figured he was going to tell me something important.

주요 단어 정리

  • figure: 생각하다, 추측하다
  • be going to~: ~할 예정이다
  • something important: 무언가 중요한 것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 figured/
  • 나는 생각했다/
  • [(that) he was going to tell/ me/ something important].
  • [그가 말할 것이라고/ 나에게/ 중요한 무언가를].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의 생략
  • "figured[(that) he was going to tell/ me/ something important]"에서 생략된 "(that)"은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something important
  • 부정대명사 ~thing은 형용사가 후시 수식합니다.
  • 감정의 변화 문제 풀이 Tip에 따른 첫 번째 감정 찾기 1
  • 문장 2에서 “무언가 중요한 일을 말할 거라고 생각했다.”는 진술에서 해설자는 “기대감”을 떠올렸으나 일반 독자의 경우, 그렇지 못할 수도 있어서 더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장 3

He was going to select me to be the captain of the team, the leader I had always wanted to be.

주요 단어 정리

  • select: 선택하다
  • captain: 주장
  • leader: 리더, 지도자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e was going to select/
  • 그가 선택하려고 했다
  • me/
  • 나를
  • <to be the captain/ of the team>/
  • <주장이 되도록/ 그 팀의>/
  • [the leader/ (who(m) or that) I had always wanted/ to be].
  • [리더인/ 내가 항상 원해왔던/ 되기를].

어법 설명

  • 5형식 문형 "select + 목적어(me)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동사 “select”는 to 부정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to 부정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 or that”의 생략
  • [the leader/ (who(m) or that) I had always wantedto be]”에서 “선행사, “the leader”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 or that)”이 생략된 구조. “내가 항상 되기를 원해왔던 그 리더”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목적]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had always wanted/ to be”에서 사용된 용법. “되기를”의 의미로 동사구 “had always wanted”의 목적어.
  • 감정의 변화 문제 풀이 Tip에 따른 첫 번째 감정 찾기 1
  • 문장 3에서 이미 이 글을 주인공인 주장이 될 것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를 확인합니다. 기대감에 가장 잘 부합하는 감정 상태는 ①번 “hopeful”과 ②번 “confident”입니다. 그러나 “감정 변화의 대조적 관계”로 볼 때 ①번이 “희망에 찬  → 죄절된(좌절한)”으로 “대조적 감정 변화”인데 비해 ②번은 “확신하는 → 부러워하는”으로 대조적이라 보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①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 지문으로 넘어갑니다.

문장 4

My heart was racing with anticipation.

주요 단어 정리

  • race: (심장 따위가) 뛰다.
  • anticipation: 기대, 예상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y heart was racing/
  • 내 심장이 뛰고 있었다/
  • with anticipation.
  • 기대감으로.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문장 5

But when his next words hit my ears, everything changed.

주요 단어 정리

  • hit my ears: 내 귀를 때리다(내 귀에 들리다)
  • everything changed: 모든 것이 달라졌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 그러나/
  • [when his next words hit/ my ears],/
  • [그의 다음 말이 때렸을(들렸을) 때/ 내 귀를(내 귀에)],/
  • everything changed.
  • 모든 것이 달라졌다.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할 때”의 의미를 전달.

문장 6

“We’re going to have to send you home,” he said coldly.

주요 단어 정리

  • send someone home: ~를 집으로 보내다
  • coldly: 차갑게, 냉정하게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e’re going to have to send/
  • 우리는 보내야만 할 것 같다
  • you/
  • 너를/
  • home/
  • 집으로/
  • he said/
  • 그가 말했다/
  • coldly.
  • 냉정하게.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문장 7

“I don’t think you are going to make it.”

주요 단어 정리

  • make it: 성공하다, 해내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 don’t think/
  • 나는 생각하지 않는다/
  • [(that) you are going to make it].
  • [네가 해낼 거라고].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의 생략
  • "don’t think[(that) you are going to make it]"에서 "(that)"이 생략된 구조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문장 8

I couldn’t believe his decision.

주요 단어 정리

  • believe: 믿다, 받아들이다
  • decision: 결정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 couldn’t believe/
  • 나는 믿을 수 없었다/
  • his decision.
  • 그의 결정을.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문장 9

I tried to hold it together, but inside I was falling apart.

주요 단어 정리

  • hold it together: 마음을 다잡다
  • fall apart: 무너지다, 해체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 tried/
  • 나는 노력했다/
  • to hold it together/
  • 마음을 다잡기 위해서/
  • but/
  • 하지만/
  • inside/
  • 속으로는
  • I was falling apart
  • 나는 (마음이) 무너지고 있었다.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hold it together”에서 사용된 용법.

문장 10

A car would be waiting tomorrow morning to take me home.

주요 단어 정리

  • waiting: 기다리는
  • to take someone home: ~를 집으로 데려가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 car would be waiting/
  • 차가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 tomorrow morning/
  • 내일 아침에/
  • <to take/ me/ home>.
  • <데려가기 위해서/ 나를/ 집으로>.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take/ me/ home>에서 사용된 용법.

문장 11

And just like that, it was over.

주요 단어 정리

  • just like that: 그렇게 간단히, 순식간에
  • it was over: 모든 것이 끝났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nd/
  • 그리고/
  • just like that/
  • 그렇게 간단히/
  • it was over.
  • 모든 것이 끝났다.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근거 문장

  • ”He was going to select me to be the captain of the team, the leader I had always wanted to be.“
  • ”My heart was racing with anticipation.“
  • 위 두 개의 문장으로부터 주인공의 기대감을 엿볼 수 있습니다.
  • ”But when his next words hit my ears, everything changed.”
  • “We’re going to have to send you home,” he said coldly.
  • 위 두 개의 문장에서 기대감과는 상반된 내용, 즉, 실망감 내지 좌절감을 엿볼 수 있습니다.

정답 제시

  • 글의 첫 부분에서 화자는 코치가 자신을 주장으로 선발할 것이라 기대하며 희망적(hopeful)이었으나, 코치의 차가운 말로 인해 실망과 좌절(frustrated)을 느끼게 됩니다.
  • 정답: ① hopeful → frustrated

결론

"첫 번째 감정을 제대로 파악하고 대조적 감정 변화를 이용하기"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19번 지문은 한 농구 선수의 주장이 되고자 하는 기대감과 코치의 전혀 다른 제안을 통해 그 사람이 갖게 되는 감정의 변화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시험에 출제되는 감정의 변화는 첫 번째 감정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고 그 다음은 보기 중 ”대조적인 감정“의 조합을 통해서 전체 지문을 읽지 않더라도 감정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또한 알 수 있었습니다. 정밀한 독해도 중요하지만 투자된 시간 대비 효율적 시험 관리 또한 중요하다는 것을 인지하는 시간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청크 분석과 어법 설명은 문제 해결에 있어 지문의 논리와 구조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습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