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영어 23번 지문 분석과 문제 풀이

목차

서론

“구체적인 질문이 데이터를 만드는 힘”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23번 지문은 연구에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얻기 위해 구체적인 질문이 왜 중요한지에 대해 설명합니다. 추상적 질문은 응답의 신뢰도를 낮출 수 있지만, 구체적이고 명확한 질문은 응답의 정확성과 연구 간 일관성을 높여 줍니다. 데이타 수집에서 중요한 전략으로, 양적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실질적인 접근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글의 주제, 요지, 제목 찾기, 주장하는 바에 대한 문제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동일합니다. 글의 핵심 주장을 찾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아래로”로 독해해 나가다가 “Clue”가 없다고 판단되면,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을 변경하세요. 그러다 보면, 핵심 주장을 찾을 것이고 이때 예문을 확인하여 답을 선택하는 풀이 방법을 택하세요.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가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3.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Many forms of research lead naturally to quantitative data. A study of happiness might measure the number of times someone smiles during an interaction, and a study of memory might measure the number of items an individual can recall after one, five, and ten minutes. Asking people how many times in a year they are sad will also yield quantitative data, but it might not be reliable. Respondents’ recollections may be inaccurate, and their definitions of ‘sad’ could vary widely. But asking “How many times in the past year were you sad enough to call in sick to work?” prompts a concrete answer. Similarly, instead of asking people to rate how bad a procrastinator they are, ask, “How many of your utility bills are you currently late in paying, even though you can afford to pay them?” Questions that seek concrete responses help make abstract concepts clearer and ensure consistency from one study to the next.

* procrastinator: 미루는 사람

① risks of overgeneralizing results from the collected data

② usefulness of answering abstract questions with numbers

③ effect of sample size on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research

④ limitations of measuring and quantifying various human emotions

⑤ importance of specific questions to attain reliable quantitative data

문장별 분석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23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Many forms of research lead naturally to quantitative data.

주요 단어 정리

  • form: 형태 (동의어: type, kind / 반의어 없음)
  • many forms of~: 많은 형태의~
  • research: 연구 (반의어: artificially)
  • naturally: 자연스럽게 (동의어: study, investigation / 반의어 없음)
  • lead to~: ~로 이어지다 (동의어: result in, cause / 반의어: avoid, prevent)
  • quantitative: 양적인 (동의어: numerical / 반의어: qualitative)
  • data: 자료 (동의어: information, statistics / 반의어 없음)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any forms/ of research>/
  • <많은 형태가/ 연구의>
  • lead/ naturally/
  • 이어진다./ 자연스럽게/
  • to quantitative data.
  • 양적 자료로.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주제 찾기 Tip
  • “위에서 아래로 독해” → 문장별 핵심 주장 도출 → 지문의 핵심 주장인지 판단 → 두 개의 문장을 읽었으나 “지문의 핵심 주장”이 모호한 경우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 변경 → 문장별 핵심 주장 도출 → 지문의 핵심 주장인지 판단 → 보기를 확인하고 정답 도출
  • 문장 1의 핵심 내용『양적 데이터로 이어지는 연구』입니다. 이 문장은 주장이라기 보다는 일반적 사실입니다. 따라서, 한 문장 더 읽어 보도록 합니다.

문장 2

A study of happiness might measure the number of times someone smiles during an interaction, and a study of memory might measure the number of items an individual can recall after one, five, and ten minutes.

주요 단어 정리

  • study: 연구 (동의어: examination, analysis / 반의어: ignorance)
  • measure: 측정하다 (동의어: assess, evaluate / 반의어: guess)
  • number of times: 횟수 (동의어: frequency, count / 반의어 없음)
  • interaction: 상호작용 (동의어: communication, exchange / 반의어: isolation)
  • memory: 기억력 (반의어: oblivion, obscurity)
  • the number of times: 횟수
  • recall: 기억하다 (동의어: remember, recollect / 반의어: forge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 study/ of happiness>/
  • <연구는/ 행복에 대한>/
  • might measure/ [the number of times/ (that) someone smiles]/
  • 측정할 수도 있다/ [횟수를/ 누군가가 미소짓는]/
  • during an interaction/
  • 상호작용 중에/
  • and/
  • 그리고/
  • <a study/ of memory>/
  • <연구는/ 기억에 대한>/
  • might measure/
  • 측정할 수도 있다/
  • [the number/ [of items/ (which or that) an individual can recall]]/
  • [그 수를/ [항목들의 한/ 사람이 기억할 수 있는]]/
  • after one, five, and ten minutes/
  • 1분, 5분, 10분 후에

어법 설명

  • 동격절의 접속사 that의 생략
  • [the number of times/ (that) someone smiles]”의 경우 동격절의 접속사 “(that)”이 생략된 문형입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iitems/ (which or that) an individual can recall”의 경우 “items”를 선행사로 받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이 생략된 문형입니다.
  • 주제 찾기 Tip에 따른 주제 찾기 1
  • 문장 2의 핵심 내용『여러가지 항목을 측정할 수 있는 행복에 대한 연구』입니다. 일반적 사실에 가까우므로 독해 방향을 “아래에서 위로” 변경합니다. 문장 7로 갑시다.

문장 3

Asking people how many times in a year they are sad will also yield quantitative data, but it might not be reliable.

주요 단어 정리

  • ask: 묻다 (동의어: inquire, question / 반의어: ignore)
  • yield: 산출하다 (동의어: produce, generate / 반의어: withhold)
  • reliable; 신뢰할 수 있는 (동의어: dependable, trustworthy / 반의어: unreliabl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sking/ people/ [<how many times/ in a year>/ they are sad]]/
  • [묻는 것은/ 사람들에게/ [<몇 번이나/ 1년에/>/ 그들이 슬픈지를]]/
  • will also yield/
  • 또한 산출할 것이다/
  • quantitative data
  • 양적 자료를/
  • but/
  • 그러나/
  • it might not be reliable.
  • 그것은 신뢰할 만하지 않을 수 있다.

어법 설명

  • 동명사 주어
  • [Asking/ people/ [<how many timesin a year>/ they are sad]]”는 동명사 주어로 수의 일치 문제의 성격이나 동사가 조동사를 포함하고 있어 출제 대상은 아닙니다. 그러나 평소 유의해야 합니다.
  • 간접 의문문
  • "[<how many timesin a year>/ they are sad]"는 간접의문문[의문사+주어+동사]입니다.

문장 4

Respondents’ recollections may be inaccurate, and their definitions of ‘sad’ could vary widely.

주요 단어 정리

  • respondent: 응답자 (동의어: participant, answerer / 반의어 없음)
  • recollection: 기억 (동의어: memory, remembrance / 반의어: forgetfulness)
  • inaccurate: 부정확한 (동의어: imprecise, incorrect / 반의어: accurate)
  • definition: 정의
  • vary: 다르다 (동의어: differ, fluctuate / 반의어: remain the sam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Respondents’ recollections/ may be inaccurate/
  • 응답자의 기억은/ 부정확할 수 있다/
  • and/
  • 그리고/
  • <their definitions/ of ‘sad’>/ <could vary/ widely>.
  • <그들의 정의는/ '슬픔'에 대한> / <다를 수 있다/ 크게>.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문장 5

But asking “How many times in the past year were you sad enough to call in sick to work?” prompts a concrete answer.

주요 단어 정리

  • in the past year: 작년에
  • call in sick: 아프다고 연락하다
  • to work: 직장에, 직장으로
  • prompt: 촉진하다 (동의어: elicit, induce / 반의어: hinder)
  • concrete: 구체적인 (동의어: specific, definite / 반의어: abstract)
  • answer: 대답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 하지만/
  • [asking/ “<How many times/ in the past year>/ were you sad/ enough/ <to call/ in sick/ to work]/
  • [묻는 것은/ ”<몇 번이나/ 지난 해에>/ 당신이 아팠나요“라고/ 충분히/ <연락할 정도로/ 아프다고/ 직장에>]/
  • prompts/ a concrete answer.
  • 유도한다/ 구체적인 대답을.

어법 설명

  • 수의 일치
  • 문장의 주어[Asking~]동명사로 단수 취급하여 3인칭 단수 동사인 prompts가 왔음에 유의하세요.

문장 6

Similarly, instead of asking people to rate how bad a procrastinator they are, ask, “How many of your utility bills are you currently late in paying, even though you can afford to pay them?”

주요 단어 정리

  • similarly: 마찬가지로 (동의어: likewise, correspondingly / 반의어: differently)
  • instead of~: ~대신에 (동의어: in place of / 반의어: in addition to)
  • rate: 평가하다 (동의어: assess, judge / 반의어: ignore)
  • how bad: 얼마나 심하게
  • procrastinator: 미루는 사람 (동의어: delayer, postponing person / 반의어 없음)
  • how many of~: 얼마나 많은 (수의)~
  • utility bill: 공공요금 청구서 (동의어: service bill / 반의어 없음)
  • currently: 현재 (동의어: presently, at this time / 반의어: previously)
  • be late in paying: 늦게 내다[지불하다]
  • afford to 부정사: ~할 형편이 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imilarly./
  • 마찬가지로,/
  • <instead of asking/ people/ to rate>/
  • <요청하는 대신에/ 사람들에게/ 평가하도록>/
  • [how bad a procrastinator/ they are],/
  • [얼마나 심하게 미루는 사람인지를/ 그들이],/
  • ask/
  • 물어보라/
  • How many of your utility bills/ are you currently late/ in paying/
  • "얼마나 많은 공공요금들을/ 당신이 현재 늦고 있나요/ 지불하는데에/
  • [even though you can afford to pay/ them]?”
  • [당신이 지불할 형편이 됨에도 불구하고/ 그 비용을]?“

어법 설명

  • instead of의 목적어로 사용된 동명사
  • <instead of asking/ people/ to rate>“는 ”instead of(~대신에)“라는 전치사구의 목적어로 사용된 동명사 구입니다.
  • 5형식 to 부정사 구문 “5형식 동사 + 목적어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asking/ people/ to rate”에서 "ask"는 to 부정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 동사입니다.
  • 전치사 in의 목적어로 사용된 동명사
  •  in paying“는 ”in(~에서)“라는 전치사의 목적어로 사용된 동명사 구입니다.
  • 양보의 부사절 “although[ though / even if / even though ] + 주어 + 동사”
  • “비록 ~일지라도[~이긴 하지만]”의 의미를 전달.

문장 7

Questions that seek concrete responses help make abstract concepts clearer and ensure consistency from one study to the next.

주요 단어 정리

  • question: 질문 (동의어: inquiry, query / 반의어: answer)
  • seek: 찾다, 추구하다 (동의어: search for, aim for / 반의어: ignore)
  • concrete: 구체적인 (동의어: specific, tangible / 반의어: abstract)
  • response: 대답 (동의어: answer)
  • abstract: 추상적인 (동의어: conceptual, theoretical / 반의어: concrete)
  • consistency: 일관성 (동의어: uniformity, stability / 반의어: inconsistenc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Questions/ that seek/ concrete responses]/
  • [질문들은/ 찾는(추구하는)/ 구체적인 답변들을]/
  • [help/ <make/ abstract concepts/ clearer>]/
  • [도와준다/ <만드는 것을/ 추상적 개념을 / 더 명확하게>]/
  • and/
  • 그리고/
  • [ensure/ consistency/ <from one study/ to the next>].
  • [보장한다/ 일관성을/ <하나의 연구에서 / 다음 연구로의>].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Questionsthat seek/ concrete responses]”에서 “that”은 선행사, “Question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구체적인 답변(들)을 찾는(추구하는) 질문들”의 의미를 전달.
  • help + (to) 부정사
  • help는 3형식 문형에서 목적어로 (to)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합니다. “[help/ <make/ abstract concepts/ clearer>]”에서  (to) 부정사는 ‘~하는 것’으로 명사처럼 해석합니다.
  • 병렬 구조 – and로 2개의 동사구 병치
  • "[help/ <make/ abstract concepts/ clearer>]"와 "[ensure/ consistency/ <from one study/ to the next>]"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 주제 찾기 Tip에 따른 주제 찾기 2
  • 문장 7의 핵심 내용『구체적 답변을 추구하는 질문 = 추상적 개념을 구체적으로 만들고, 다음 연구로의 일관성을 보장한다.』입니다. 결국 질문이 구체적 답변을 요청하도록 설계해야 답변을 구체적으로 만들고 일관성도 유지할 수 있다는 주장입니다. 따라서, 보기를 확인하면, 이런 내용을 담고 있는 예는 “⑤ importance of specific questions to attain reliable quantitative data(신뢰할 만한 양적 데이터를 얻기 위한 구체적 질문의 중요성)”뿐입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⑤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 문제로 넘어갑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본문은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질문 설계의 중요성을 설명합니다. 응답자의 주관적 해석에 의존하기보다, 행동 기반의 구체적인 질문을 통해 보다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얻는 방법이 강조됩니다.

정답 선택

  • 1. ① risks of overgeneralizing results from the collected data→ 수집된 데이터의 과잉 일반화에 대한 언급은 없습니다.
  • 2. ② usefulness of answering abstract questions with numbers
  • → 추상적 질문 대신 구체적인 질문의 유용성을 다루고 있으므로 부적합합니다.
  • 3. ③ effect of sample size on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research
  • → 표본 크기(sample size)에 대한 내용은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 4. ④ limitations of measuring and quantifying various human emotions
  • → 인간 감정을 정량화하는 데에 대한 한계는 본문의 중심 논제가 아닙니다.
  • 5. ⑤ importance of specific questions to attain reliable quantitative data
  • → 본문은 구체적 질문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얻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므로 가장 적합합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⑤ importance of specific questions to attain reliable quantitative data“

결론

"추상에서 구체로,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다"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23번 문제는 연구에서 신뢰도 높은 데이터를 얻기 위해 질문의 구체성을 강조합니다. 추상적 질문은 응답의 정확성을 저해할 수 있지만, 구체적인 질문은 인간의 복잡한 행동과 감정을 효과적으로 측정하고 데이터의 일관성을 보장합니다. 이 접근법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의 품질을 높이는 핵심 전략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학생들은 주제 찾기 문제를 통해 논리적으로 주제를 찾는 방법 이외에도 실제 고사장에서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자연스럽게 체득하며 그 과정에서 사고력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