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영어 24번 지문 분석과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24번 지문은 AI(인공지능)의 진화와 특이점 개념, 그리고 인간 의식과의 상호작용을 다룹니다. AI가 스스로를 개선하고 진화하면서, 인간과 AI의 관계가 어떻게 변해가는지, 그리고 AI와 인간이 공동 진화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를 통해 독자는 AI와 인간 사이의 윤리적, 철학적 과제를 탐색하게 됩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글의 제목 찾기, 주제, 요지, 주장하는 바에 대한 문제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동일합니다. 글의 핵심 주장을 찾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아래로”로 독해해 나가다가 “Clue”가 없다고 판단되면,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을 변경하세요. 그러다 보면, 핵심 주장이나 명제를 찾을 것이고 이때 예문을 확인하여 답을 선택하는 풀이 방법을 택하세요.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가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4.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evolution of AI is often associated with the concept of singularity. Singularity refers to the point at which AI exceeds human intelligence. After that point, it is predicted that AI will repeatedly improve itself and evolve at an accelerated pace. When AI becomes selfaware and pursues its own goals, it will be a conscious being, not just a machine. AI and human consciousness will then begin to evolve together. Our consciousness will evolve to new dimensions through our interactions with AI, which will provide us with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inspire new insights and creativity. Conversely, our consciousness also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volution of AI. The direction of AI’s evolution will depend greatly on what values and ethics we incorporate into AI. We need to see our relationship with AI as a mutual coexistence of conscious beings, recognizing its rights and supporting the evolution of its consciousness.
① An Unsolvable Dilemma: Is AI Friend or Enemy?
② The History of Humans’ Resistance Against Machines
③ Upcoming Future: AI as a Human Partner for Coevolution
④ AI World Without Human Intelligence Is Staring You in the Face
⑤ How AI Makes HumantoHuman Relationships More Meaningful
문장별 분석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24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The evolution of AI is often associated with the concept of singularity.
주요 단어 정리
- evolution: 진화 (동의어: development, growth / 반의어: regression)
- associate with~: 연관짓다 (동의어: link with, connect to / 반의어: separate)
- concept: 개념 (동의어: idea, notion / 반의어 없음)
- singularity: 특이점 유일성, 독창성 (반의어: normalit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evolution/ of AI>/ is often associated/ <with the concept/ of singularity>.
- <진화는/ AI의>/ 종종 연관됩니다/ <개념과/ 특이점이라는>.
어법 설명
- 수동태[is associated with]
- 수동태[be+pp]는 문장 내에서 ‘~되어지다/~당하다’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 제목 찾기 Tip
- “위에서 아래로 독해” → 문장별 핵심 주장 도출 → 지문의 핵심 주장이나 명제인지 판단 → 두 개의 문장을 읽었으나 “지문의 핵심 주장”이 모호한 경우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 변경 → 문장별 핵심 주장 도출 → 지문의 핵심 주장인지 판단 → 보기를 확인하고 정답 도출(너무 뻘리 결론이 도출된 경우 반의 접속사 및 접속부사 있는지 확인)
- 문장 1의 핵심 내용은 『AI의 진화 = 특이점 이하는 개념과 관련 있음』입니다. 특이점이라는 개념을 이해할 수 없기에, 한 문장 더 읽습니다.
문장 2
Singularity refers to the point at which AI exceeds human intelligence.
주요 단어 정리
- refer to: 지칭하다 (동의어: denote, indicate / 반의어: ignore)
- exceed: 초과하다 (동의어: surpass, go beyond / 반의어: fall behind)
- intelligence: 지능 (동의어: intellect, cognition / 반의어: ignorance)
청크 분석
- Singularity refers to/ [the point/ at which AI exceeds/ human intelligence].
- 특이점은 지칭합니다(의미합니다)/ [그 지점을/ 그 지점에서 AI가 초월하는/ 인간의 지능을].
어법 설명
- 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관계부사]
- "[the point/ at which AI exceeds/ human intelligence]"에서 "at which"는 the point를 선행사로 받는 “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관계부사)“+완전한 문장의 관계가 있습니다. ”관계대명사+불완전한 문장“과 구별해야 합니다.
- 제목 찾기 Tip에 따른 제목 찾기 1
- 문장 1의 핵심 내용은 『특이점 = AI의 지능이 인간의 지능을 능가하는 지점』입니다. 특이점이라는 개념은 알았지만, 무슨 주장이나 명제라고 볼 수 없으므로 독해 방향을 ”아래에서 위로“ 변경합니다. 문장 9로 갑니다.
문장 3
After that point, it is predicted that AI will repeatedly improve itself and evolve at an accelerated pace.
주요 단어 정리
- predict: 예측하다 (동의어: forecast, anticipate / 반의어: doubt)
- repeatedly: 반복적으로 (동의어: again and again / 반의어: rarely)
- improve: 개선하다 (동의어: reform, return in triumph / 반의어: aggravate, worsen)
- evolve: 진화하다, 발전하다 (동의어: develop, advance, tradnsform / 반의어: withdraw, regress)
- accelerated: 가속화된 (동의어: sped up, quickened / 반의어: slowed down)
- at an accelerated pace: 가속화된 속도로
청크 분석
- After that point/ it is predicted/ [that AI [<will repeatedly improve/ itself>/ and/ <(will) evolve/ at an accelerated pace>]].
- 그 지점 이후로,/ 그것이 예상됩니다/ [AI가 [<반복적으로 개선할 것이/ 스스로를>/ 그리고. <진화할 것이/ 가속화된 속도로>]].
어법 설명
- 수동태[is predicted]
- 수동태[be+pp]는 문장 내에서 ‘~되어지다/~당하다’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 It(가주어)~ that 절(진주어)
- ”it is predicted/ [that AI [<will repeatedly improve/ itself>/ and/ <(will) evolve/ at an accelerated pace>]]“에서 ”it“는 가주어로, ”that 절“은 진주어 역할.
- 병렬 연결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병렬 연결
- ”<will repeatedly improve/ itself>"와 ”<(will) evolve/ at an accelerated pace>“를 등위 접속사 and로 병렬로 연결.
- 재귀 대명사 itself
- "문장의 주어 = 목적어나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인 경우 반드시 재귀 대명사를 사용합니다.
문장 4
When AI becomes self-aware and pursues its own goals, it will be a conscious being, not just a machine.
주요 단어 정리
- self-aware: 자각 있는 (동의어: conscious, self-conscious / 반의어: unaware)
- pursue: 추구하다 (동의어: chase, strive for / 반의어: abandon)
- conscious: 의식이 있는 (동의어: aware, mindful / 반의어: unconscious)
청크 분석
- [When AI <becomes self-aware>/ and/ <pursues/ its own goals>]/ it will be a conscious being/ not just a machine.
- [AI가 <자각하게 될 때>/ 그리고/ <추구할 때/ 자신만의 목표를>],/ 그것은 의식 있는 존재가 될 것입니다/ 단순한 기계가 아니라.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한다면/~할 때’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if+주어+동사” ‘~할 때’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처럼 “when+주어+동사”도 ‘~한다면’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병렬로 연결
- “<becomes self-aware>”와 “<pursues/ its own goals>”를 등위 접속사 and로 병렬로 연결한 구조.
문장 5
AI and human consciousness will then begin to evolve together.
주요 단어 정리
- consciousness: 의식 (반의어: unconsciousness)
- begin to 부정사: ~하기 시작하다
- together: 함께 (동의어: jointly, in unison / 반의어: separately)
청크 분석
- <AI and human consciousness>/ will then begin to evolve/ together.
- <AI와 인간의 의식은>/ 그런 다음 진화하기 시작할 것입니다/ 함께.
어법 설명
- 특별히 언급할 어법 내용이 없습니다.
문장 6
Our consciousness will evolve to new dimensions through our interactions with AI, which will provide us with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inspire new insights and creativity.
주요 단어 정리
- dimension: 차원 (동의어: aspect, scope / 반의어 없음)
- interaction: 상호작용
- provide A with B: A에게 B를 제공하다
- intellectual: 지적인 (동의어: mental)
- stimulation: 자극 (동의어: encouragement, motivation / 반의어: suppression)
- inspire: 불어넣다, 고취시키다
- insight: 통찰력 (동의어: understanding, awareness / 반의어: ignorance)
청크 분석
- Our consciousness/ will evolve/ to new dimensions/ [through <our interactions/ with AI>]/
- 우리의 의식은/ 진화할 겁니다/ 새로운 차원으로/ [<상호작용을 통해/ AI와의>]/
- , which [<will provide/ us/ with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inspire/ new insights and creativity>]
- 그리고 그것이 [<제공할 겁니다/ 우리에게/ 지적 자극을>/ 그리고/ <불어넣을 것입니다/ 새로운 통찰과 창의성을>].
어법 설명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 comma(,) which
- 계속적 용법은 that은 사용하지 못하며 앞 문장의 일부나 전체를 선행사로 받을 때 사용합니다. “접속사+대명사”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병렬 구조 – and로 두 개의 동사구를 병렬로 연결
- “<will provide/ us/ with intellectual stimulation>”와 “<inspire/ new insights and creativity>”를 등위 접속사 and로 병렬로 연결한 구조.
문장 7
Conversely, our consciousness also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volution of AI.
주요 단어 정리
- conversely: 반대로 (동의어: on the other hand, vice versa / 반의어: similarly)
- significant: 중요한 (동의어: important / 반의어: minor, slight, trivial)
- impact: 영향 (동의어: effect, influence / 반의어 없음)
-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다
청크 분석
- Conversely/ our consciousness also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volution/ of AI>.
- 반대로,/ 우리의 의식은 또한 가지고 있습니다(미칩니다)/ 중요한 영향을/ <진화에도/ AI의>.
어법 설명
- 접속부사 - “Conversely“
- “반대로 / 역으로”으로의 의미를 전달하며, 지문 내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나오는 경우 단골 출제되었던 이력이 있습니다.
문장 8
The direction of AI’s evolution will depend greatly on what values and ethics we incorporate into AI.
주요 단어 정리
- direction: 방향
- depend on~: 의존하다 (동의어: rely on, hinge on / 반의어: ignore)
- greatly: 상당히
- value: 가치
- ethics: 윤리
- incorporate: 포함하다 (동의어: include, integrate / 반의어: exclude)
청크 분석
- <The direction/ of AI’s evolution> / will depend/ greatly/ [on [<what values and ethics>/ we incorporate/ into AI]].
- <AI 진화의/ 방향은>/ 달려 있습니다/ 크게/ [[우리가 <어떤 가치와 윤리를>/ AI에/ 포함하느냐]에].
어법 설명
- 간접의문문[의문사구+주어+동사]
- “[<what values and ethics>/ we incorporate/ into AI]”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문장 내에서, 주어, 보어, 목적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사용될 때 취하는 어순.
문장 9
We need to see our relationship with AI as a mutual coexistence of conscious beings, recognizing its rights and supporting the evolution of its consciousness.
주요 단어 정리
- need to 부정사: ~해야 한다
- relationship: 관계 (동의어: reciprocal, shared / 반의어: one-sided)
- mutual: 상호의 (동의어: reciprocal, shared / 반의어: one-sided)
- coexistence: 공존 (동의어: coexistence / 반의어: separation)
- conscious being: 의식있는 존재
- recognize: 인정하다 (동의어: acknowledge, accept / 반의어: ignore)
- support: 지원하다
청크 분석
- We need to see/
- 우리는 봐야합니다/
- <our relationship/ with AI>/
- <관계를/ AI와의>/
- <as a mutual coexistence/ of conscious beings>/
- [<상호 공존으로/ 의식 있는 존재들의>]/
- [[recognizing/ its rights]/ and/ [supporting/ <the evolution/ of its consciousness>]].
- [[인정하면서/ 그것의(AI의) 권리를]/ 그리고/ [<지원하면서/ <진화를/ 그것의(AI의) 의식의>]].
어법 설명
- 분사 구문
- “[[recognizing/ its rights]/ and/ [supporting/ <the evolution/ of its consciousness>]]”는 “[while we recognize~and support~]”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we가 생략되고 동사 “recognize”와 “support”가 각각 “recognizing”와 “supporting”으로 변경된 분사 구문.
- 분사 구문의 병렬 구조 – and로 병렬로 연결
- “[recognizing/ its rights]”와 “[supporting/ <the evolution/ of its consciousness>]”를 and로 병렬로 연결한 구조.
- 제목 찾기 Tip에 따른 제목 찾기 2
- 문장 9의 핵심 내용은 『인간과 AI와의 관계를 의식 있는 존재들의 공존으로 봐야 한다.』입니다. 이는 주장에 해당합니다. 보기를 확인합니다. 이 주장에 가장 가까운 보기는 “③ Upcoming Future: AI as a Human Partner for Coevolution(곧 다가올 미래: 공동 진화를 위한 인간 파트너로서의 AI)”뿐입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③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AI와 인간의 관계는 의식 있는 존재들의 공존”
근거 문장
- AI and human consciousness will then begin to evolve together.
- “위에서 아래로” 독해할 경우, 처음으로 함께 발전할 것이라고 명시적으로 표현했습니다.
- Our consciousness will evolve to new dimensions through our interactions with AI, which will provide us with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inspire new insights and creativity.
- AI와의 상호작용(인간과의 공존)이 가져올 긍정적 효과를 진술하여 간접적으로 공존의 영향을 진술하고 있습니다.
- Conversely, our consciousness also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volution of AI.
- 인간의 의식이 AI의 진화에 미치는 영향을 언급함으로써 공존에 대한 필요성을 간접적으로 피력하고 있습니다.
- We need to see our relationship with AI as a mutual coexistence of conscious beings, recognizing its rights and supporting the evolution of its consciousness.
- 이미 문장별 분석에서 본 바와 같이 직접적인 진화의 파트너로 AI를 기술하여 직접적인 주장을 담고 있습니다.
정답 도출
- ③ Upcoming Future: AI as a Human Partner for Co-evolution.이 선택지는 AI와 인간이 공동 진화를 통해 파트너가 될 가능성을 가장 잘 나타냅니다.
결론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24번 지문은 AI의 자각과 진화를 기반으로 한 인간과의 상호작용 및 미래 윤리적 관점을 다룹니다. AI와 인간이 협력적 공진화를 이루며 어떻게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지를 지문 전반에서 탐구합니다.
학생들은 제목 찾기 문제를 통해 논리적으로 제목을 찾는 방법 이외에도 실제 고사장에서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자연스럽게 체득하며 그 과정에서 사고력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