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영어 32번 지문 분석과 문제 풀이

목차

서론

"고통의 프레임"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32번 지문은 고통을 경험하는 방식이 단순히 신체적 요인뿐 아니라 심리적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논리적으로 설명합니다.스포츠 선수, 마라톤 주자, 그리고 물리치료 환자의 사례를 통해 고통을 심리적으로 어떻게 받아들이느냐가 고통의 강도를 좌우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장 구조와 맥락을 명확히 파악하며, 정답을 논리적으로 도출합니다. 이 글은 빈칸 추론 문제 해결 전략과 영어 독해 능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은 빈칸이 있는 문장부터 읽고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추론하라는 것입니다. 이 지문은 빈칸이 지문의 초입에 있는 경우로, 차분히 읽어 내려가면서 단서를 찾아 시간을 줄여야 하는 유형인데 결정적 단서가 마지막 문장에 있어 시간을 줄일 수 없었던 유형에 해당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2.

How much we suffer relates to ___________. When 1500m runners push themselves into extreme pain to win a race ― their muscles screaming and their lungs exploding with oxygen deficit, they don’t psychologically suffer much. In fact, ultra­marathon runners―those people who are crazy enough to push themselves beyond the normal boundaries of human endurance, covering distances of 50-100km or more over many hours, talk about making friends with their pain. When a patient has paid for some form of passive back pain therapy and the practitioner pushes deeply into a painful part of a patient’s back to mobilise it, the patient calls that good pain if he or she believes this type of deep pressure treatment will be of value, even though the practitioner is pushing right into the patient’s sore tissues.

① how long we have been in pain

② how we frame the pain in our mind

③ how fast we can recover from past pain

④ what part of our body we train regularly

⑤ what treatment we receive from experts

문장별 분석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3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How much we suffer relates to ___________.

주요 단어 정리

  • suffer: 고통받다 (동의어: endure, experience / 반의어: enjoy)
  • relate to~: ~와 관련이 있다 (동의어: be connected to, concern / 반의어 없음)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ow much we suffer]/
  • 우리가 얼마나 고통받는지는/
  • relates/ to ___________.
  • 관련이 있다/ ___________와.

어법 설명

  • 간접 의문문[의문사+주어+동사]
  • 문장의 주어로 사용된 "[How much we suffer]" 구문은 간접 의문문입니다. 간접 의문문은 의문사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사용될 때 취하는 어순으로 “의문사+주어+동사”의 어순입니다.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How much we suffer]”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의 형태로, ”relates“.
  • 빈칸의 추론
  • 현재로선 지문 초입에 빈칸이 있으므로 읽어 가면서 단서를 찾아야 합니다.

문장 2

When 1500m runners push themselves into extreme pain to win a race ― their muscles screaming and their lungs exploding with oxygen deficit, they don’t psychologically suffer much.

주요 단어 정리

  • runner: 달리기 선수 (동의어: racer / 반의어 없음)
  • push oneself: 스스로를 밀어붙이다 (동의어: drive oneself, exert oneself / 반의어: rest)
  • extreme: 극심한 (동의어: severe, intense / 반의어: mild)
  • extreme pain: 극심한 통증
  • win a race: 경주에서 우승하다
  • muscle: 근육
  • scream: 비명을 지르다
  • lung: 폐
  • explode: 폭발하다
  • oxygen deficit: 산소부족
  • psychologically: 심리적으로 (동의어: mentally / 반의어: physicall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1500m runners push/ themselves/ into extreme pain/ <to win/ a race>]/
  • [1500미터 경주 선수들이 스스로를 밀어붙일 때/ 극심한 고통 속으로/ <우승하기 위해/ 경주에서>]/
  • ―/ [their muscles/ screaming]/ and/ [their lungs/ exploding/ with oxygen deficit]/
  • 다시 말해/ [그들의 근육이/ 비명을 지르면서]/ 그리고/ [그들의 폐가/ 폭발하면서/ 산소부족으로]/
  • they don’t psychologically suffer/ much.
  • 그들은 심리적으로 고통받지 않는다/ 크게.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재귀 대명사 ”themselves“
  • ”문장의 주어 =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인 관계인 경우.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는 반드시 재귀 대명사를 사용해야 함.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win/ a race>”에서 사용된 용법.
  • 분사구문
  • [their musclesscreaming]/ and/ [their lungsexplodingwith oxygen deficit]은  [while their muscles scream/ ~and/ their lungs explode/]의 종속절에서 주절의 주어인 they(=1500 runners)와 종속절의 주어가 달라서 접속사 while을 생략하고 주어는 그대로 남긴 후 각각의 동사 screamexplodescreamingexplod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문장 3

In fact, ultra­marathon runners―those people who are crazy enough to push themselves beyond the normal boundaries of human endurance, covering distances of 50-100km or more over many hours, talk about making friends with their pain.

주요 단어 정리

  • in fact: 사실
  • ultra-marathon: 울트라 마라톤
  • push oneself beyond~: 스스로를 ~이상으로 밀어붙이다
  • normal: 정상적인
  • boundary: 한계, 경계 (동의어: limit, border / 반의어: center)
  • cover: 커버하다 여기서는 ‘이동하다(→travel)’의 의미
  • distance: 거리
  • endurance: 인내력 (동의어: stamina, perseverance / 반의어: weakness)
  • make friends with~: ~와 친구가 되다 (동의어: accept, embrace / 반의어: resis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fact,/
  • 사실,/
  • ultra­marathon runners/
  • 울트라 마라톤 선수들은/
  • ―/ [those people/ who are crazy enough/ [to push/ themselves/ <beyond the normal boundaries/ of human endurance>]]/
  • 즉,/ [그러한 사람들인/ 충분히 열정적인/ [밀어붙일 만큼/ 스스로를/ <그 한계 이상으로/ 정상적인 인간 인내력의]]/
  • [covering/ <distances/ of 50-100km or more>/ over many hours]/
  • [커버하면서(이동하면서)/ <거리를/ 50~100킬로미터 혹은 그 이상의>/ 수 시간에 걸쳐서]/
  • talk/
  • 이야기한다/
  • <about making friends/ with their pain>.<친구가 되는 것에 대해/ 그들의 고통과>.

어법 설명

  • 동격 표현
  • "ultra­marathon runners"는 "[those peoplewho are crazy enough/~]"와 동격입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those peoplewho are crazy enough/~]”에서 “who”는 선행사, “those people”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입니다. that으로도 바꿔쓸 수 있습니다. 수능에서 가장 중요한 기억 포인트는 ”관계대명사+불완전한 문장”입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 "[to pushthemselves/ <beyond the normal boundaries/ of human endurance>]"에서 사용된 어법. ‘~할 정도로/~할 만큼’의 의미를 전달하는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입니다.
  • 분사구문
  • "[covering/ <distances/ of 50-100km or more>/ over many hours]"는 “while they cover~”의 종속절에서 “주절의 주어 (ultra-marathon runners)”와 종속절의 주어(they)가 같아 접속사, 주어가 생략되고 동사 covercover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전치사의 목적어로 사용된 동명사구
  • making friends/ with their pain“에서 ”making~“은 전치사, ”about“의 목적어로 사용된 동명사구입니다. ‘~하는 것/~하기’로 해석됩니다.

문장 4

When a patient has paid for some form of passive back pain therapy and the practitioner pushes deeply into a painful part of a patient’s back to mobilise it, the patient calls that good pain if he or she believes this type of deep pressure treatment will be of value, even though the practitioner is pushing right into the patient’s sore tissues.

주요 단어 정리

  • patient: 환자 (동의어: client, sufferer / 반의어 없음)
  • pay for~: ~에 비용을 지불하다
  • some from of~: 어떤 형태의
  • passive back pain therapy: 수동적 등 통증 치료
  • practitioner: 치료사 (동의어: professional, specialist / 반의어 없음)
  • painful part: 아픈 부위
  • mobilise: 움직이다 (동의어: activate / 반의어: immobilize) 여기서는 ‘완화시키다(relieve)’의 의미
  • deep pressure treatmment: 깊은 압박 치료
  • be of value: 가치가 있다 (동의어: be worth / (반의어) be useless, be valueless)
  • sore: 아픈 (동의어: painful, aching / 반의어: painless)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a patient has paid/ for <some form of passive back pain therapy>]/ and/ [the practitioner pushes/ deeply/ <into a painful part/ of a patient’s back>/ <to mobilise(→to relieve)/ it>]],/
  • [[한 환자가 비용을 지불했을 때/ <어떤 형태의 수동적 등 통증 치료>에]/ 그리고/ [치료사가 누를 때/ 깊숙이/ <아픈 부위를/ 환자의 등의>/ <움직이기 위해서(완화하기 위하여)/ 그것을>]],/
  • the patient calls/ that/ good pain/
  • 그 환자는 부른다/ 그것을/ 좋은 통증이라고/
  • [if he or she believes/ [(that) <this type of deep pressure treatment>/ will be of value]],/
  • [만약 그 사람이 믿는다면/ [<이러한 종류의 깊은 압박 치료가>/ 가치가 있을 것이라고]]./
  • [even though the practitioner is pushing/ right/ into the patient’s sore tissues].
  • [비록 치료사가 누르고 있다 하더라도/ 바로/ 그 환자의 아픈 조직을].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병렬 구조 – and로 두 개의 문장을 병치
  • [a patient has paidfor <some form of passive back pain therapy>]와 [the practitioner pushes/ deeply/ <into a painful part/ of a patient’s back>/ <to mobilise(→to relieve)/ it>]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mobilise(→to relieve)/ it>”에서 사용된 용법.
  • 문맥상 어휘의 변결 필요
  • <to mobilise(→to relieve)/ it>”에서 문맥상 “mobilise”는 “완화하다(relieve)”의 의미. 따라서 “to mobilise”는 “to relieve”로 변경이 필요합니다.
  • 5형식 기본 문형 "call + 목적어(that) + 목적격 보어(명사; good pain)"
  • 목적격 보어로 명사가 사용된 구조로 “목적어 = 목적격 보어”인 관계입니다.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의 생략
  • "believes[(that) <this type of deep pressure treatment>/ will be of value]"에서 생략된, "(that)"은 동사, "believes"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양보의 부사절 “even though[ though / although / even if ] + 주어 + 동사”
  • “비록 ~일지라도[~이긴 하지만]”의 의미를 전달.
  • 빈칸의 추론의 단서
  • “환자가 통증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고통을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진다는 내용이므로 보기 중 이에 가장 가까운 것은 “② how we frame the pain in our mind(우리가 마음속에 어떻게 통증을 형성하는지)”입니다. 다만, 독자의 이해도를 고려한다면, 문맥상 동사 “frame”보다는 "define"이나 "think of"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이 글은 고통을 경험하는 방식이 단순히 신체적 요인에 국한되지 않고, 심리적 프레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설명합니다.

단락 간 연결성

  • 심리적 프레임과 고통의 연관성
  • 1500m 선수와 울트라 마라톤 선수는 극심한 육체적 고통 속에서도 심리적으로 큰 고통을 느끼지 않습니다. 이는 고통을 받아들이는 방식(framework)이 심리적 고통의 정도를 좌우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 적용 사례
  • 치료사가 깊은 압박을 가하는 상황에서도, 환자가 이 치료가 유용하다고 믿으면 "좋은 고통(good pain)"으로 받아들입니다.

정답 도출

  • 문맥에 따르면, 고통의 정도는 "how we frame the pain in our mind(고통을 우리 마음속에서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따라서, 정답은 ② how we frame the pain in our mind입니다.

결론

"고통의 심리적 프레임과 그 영향"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32번 지문은 고통이 단순히 육체적 반응이 아니라 심리적 프레임에 따라 변화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빈칸 문제의 정답인 ② how we frame the pain in our mind은 고통의 심리적 프레임이 고통의 강도와 성격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을 잘 반영합니다. 이 글을 통해 영어 독해의 논리적 흐름을 파악하고 심리와 언어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얻으시길 바랍니다.

본 분석 내용을 통해 학생들은 빈칸 추론 문제에 대한 해설을 통해 논리적이고 효과적으로 답을 추론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자부합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