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34번 지문은 기후 변화가 대중 매체와 이야기 속에서 어떻게 다루어지는지를 다룹니다. 기후 변화가 심화됨에 따라 사람들이 더 이상 이를 단순한 이야기나 영화적 소재로만 받아들이지 않고, 실제 생활에서 느끼게 될 만큼 심각해질 것이라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는 기후 소설(Climate Fiction) 장르가 변화할 가능성과 이야기를 구성하는 데 한계를 가질 수 있음을 설명합니다.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장 구조와 맥락을 명확히 파악하며, 정답을 논리적으로 도출합니다. 이 글은 빈칸 추론 문제 해결 전략과 영어 독해 능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은 100% 다 그렇지는 않지만, 빈칸이 있는 문장부터 읽고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추론하라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눌러 반드시 원문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4.
Onscreen, climate disaster is everywhere you look, but the scope of the world’s climate transformation may just as quickly eliminate the climatefiction genre ― indeed eliminate any effort to tell the story of warming, which could grow too large and too obvious even for Hollywood. You can tell stories ‘about’ climate change while it still seems a marginal feature of human life. But when the temperature rises by three or four more degrees, hardly anyone will be able to feel isolated from its impacts. And so as climate change expands across the horizon, ________________________. Why watch or read climate fiction about the world you can see plainly out your own window? At the moment, stories illustrating global warming can still offer an escapist pleasure, even if that pleasure often comes in the form of horror. But when we can no longer pretend that climate suffering is distant — in time or in place ― we will stop pretending about it and start pretending within it. [3점]
① it may resolve on its own ② it may cease to be a story
③ a forgotten genre will be reborn ④ its impact will be overestimated
⑤ the story’s plot will become complex
문장별 분석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34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On-screen, climate disaster is everywhere you look, but the scope of the world’s climate transformation may just as quickly eliminate the climate-fiction genre ― indeed eliminate any effort to tell the story of warming, which could grow too large and too obvious even for Hollywood.
주요 단어 정리
- on-screen: 화면에서는, 영화에서는
- climate disaster: 기후 재앙
- scope: 범위, 규모
- climate transformation: 기후 변화(climate change)
- eliminate: 제거하다, 없애다, 사라지게 하다 (synonyms: remove, wipe out)
- climate-fiction: 기후 변화와 관련된 허구(소설, 영화) 장르
- too large and too obvious: 너무 크고 명백한
- even for Hollywood: 심지어 할리우드에게조차도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n-screen,/
- 화면에서는(영화에서는),/
- climate disaster is/ [everywhere you look],/
- 기후 재앙은 존재한다/ [어디서나/ 당신이 바라보는],/
- but/
- 그러나/
- <the scope/ of the world’s climate transformation>/
- <규모가/ 세계 기후 변화의>/
- may just as quickly eliminate/
- 그만큼 빠르게 없앨지도 모른다/
- the climate-fiction genre/
- 기후 허구(소설, 영화) 장르를/
- ―/ indeed (may) eliminate/ [any effort/ [to tell/ <the story/ of warming>]]/, which could grow too large and too obvious/ even for Hollywood.
- 다시 말해/ 실제로 없애버릴 수 있다/ [어떠한 노력도/ [말하려는/ <이야기를/ 온난화에 대한>]]/, 그리고 이것이 너무 크고 명백해질 수 있다/ 심지어 할리우드에게조차도.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 "any effort/ [to tell/ <the story/ of warming>]"에서 사용된 어법. "~할/~하는/~하기 위한"의 의미로 해석되는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은 앞에 위치한 명사인 any effort를 수식합니다.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comma(,) which"
- ", which could grow too large and too obvious/ even for Hollywood“에서 사용되 어법. ", whichh”는 앞 문장 전체(기후 변화의 범위가 (현재 너무 현실적으로 커서) 온난화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는 어떠한(모든) 노력을 제거하는데, 이것이 헐리우드에서 조차도 더 크고 명백하다는 의미입니다.)를 선행사로 받으며 접속사+대명사로 해석합니다. 법정에서 출제 기관이 3번의 패소한 후 수능에서는 더 이상 출제되지 않습니다.
문장 2
You can tell stories ‘about’ climate change while it still seems a marginal feature of human life.
주요 단어 정리
- marginal: 주변의, 중요하지 않은 (synonyms: insignificant, minor)
- feature: 특징, 특성, 특집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You can tell/
- 당신은 말할 수 있다/
- <stories/ ‘about’ climate change/
- <이야기들을/ 기후 변화에 관한>
- [while it still seems <a marginal feature/ of human life>]
- [그것이 여전히 <주변적인 특징(막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부분)처럼/ 인간 삶의>/ 보이는 동안은]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while+주어+동사]
- “~하는 동안”의 의미를 전달하며 특정 조건이나 상황을 나타냅니다. 여기서는 기후 변화가 여전히 인간의 삶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때 이야기로 다룰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했으나 모호하다고 분석자는 생각합니다. “<a marginal feature/ of human life>”을 “인간의 삶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부분(a part/ that does not have/ an enormous impact/ on human life) 정도로 표현했다면 모호성이 사라질 것입니다.
문장 3
But when the temperature rises by three or four more degrees, hardly anyone will be able to feel isolated from its impacts.
주요 단어 정리
- temperature: 기온
- rise: 상승하다, 오르다
- hardly anyone: 거의 아무도
- isolated from~: ~로부터 동떨어진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 하지만/
- [when the temperature rises/ by three or four more degrees],/
- [기온이 오르면/ 3~4도까지 더],/
- hardly anyone will be able to feel isolated/ from its impacts.
- 거의 아무도 동떨어져 있다고 느낄 수 없을 것이다/ 그 영향에서.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when+주어+동사]
- ”~할 때“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부정어 강조 시 도치
- "hardly anyone~"은 거의 아무도 ~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부정적 강조를 나타냅니다. 부정어의 강조가 있는 경우 주어와 동사가 도치되는 구문을 쓰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다시 말해, ”hardly will anyone be able to feel isolated/ from its impact.“로 표현하는 적절합니다.
문장 4
And so as climate change expands across the horizon, ________________________.
주요 단어 정리
- and so: 그래서
- expand: 확장되다
- across the horizon: 지평선을 가로질러, (여기서는) 지평선 너머로(beyond the horizo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nd so/
- 그래서/
- [as climate change expands/ across the horizon(→beyond the horizon)]
- [기후 변화가 확장될 때/ 지평선 너머로]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as+주어+동사]
- ‘주어가 동사할 때’의 의미를 전달하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화를 나타냅니다. ”as+주어+동사‘는 이 이외에도 많은 의미를 전달하므로 문장에서 서로 다른 의미로 사용될 때매다 각각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적절한 표현으로 변경 필요
- 이 문장에서 "across the horizon"는 "beyond the horizon"로 변경하여 기후 변화의 확장이 점점 커지고 있다는 의미를 전달하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 빈칸의 추론
- 문맥상 문장 2에서 "기후 변화가 인간의 삶의 중요하지 않은 특성처럼 보이는 동안 기후 변화에 대한 소재가 의미가 있다"는 내용을 유추할 수 있고, 문장 3에서 "온도가 3~4도만 올라가도, 기후 변화가 더 이상 동떨어진 문제가 될 수 없음을(현실 문제가 되는 것을)"을 유추할 수 있으므로 "기후 변화가 지평선 너머로 확장될 때(현실의 당면한 문제가 될 때)" "더 이상 Fantastic Genres의 소재가 될 수 없다"는 말이 됩니다. 이와 가장 잘 부합되는 보기는 "② it may cease to be a story(그것이(기후변화가) 소재거리가 되는 것을 멈출 수도 있다)"뿐입니다.
문장 5
Why watch or read climate fiction about the world you can see plainly out your own window?
주요 단어 정리
- plainly: 분명히
- out your own window: 당신의 창밖에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y watch or read/
- 왜 보거나 읽나요/
- climate fiction/
- 기후 허구를(기후 소설이나 영화를)/
- [about the world/ (which or that) you can see/ plainly/ out your own window].
- [세상에 대한/ 당신이 볼 수 있는/ 분명히/ 당신 자신의 창밖으로].
어법 설명
- 의문문 구조, "Why watch or read~?“
- “왜 ~하나요?”로 오히려 ’~하지 말라‘는 반대의 의미를 전달한다. 한국 교과서에서는 잘 상용되지 않는 표현이나 "Why not~?(왜 ~하지 않나요?)"처럼 일반적인 표현으로 TOEIC에서는 그 의미를 물어보는 문제로도 출제됩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the world/ (which or that) you can see/~”에서 “선행사, “the world”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이 생략된 구조. “당신이 당신 자신의 창문 밖으로 볼 수 있는 세상”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문장 6
At the moment, stories illustrating global warming can still offer an escapist pleasure, even if that pleasure often comes in the form of horror.
주요 단어 정리
- at the moment: 그 순간에, (여기서는) 지금 당장은(right now, at this moment)
- illustrate: 보여주다, 설명하다
- offer: 제공하다
- escapist: 현실 도피적인
- pleasure: 즐거움
- come in the form of~: ~의 형태로 다가오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t the moment(→Right now or At this moment)/
- 지금 당장은
- [stories/ (which or that are) illustrating/ global warming]
- [이야기들은/ <보여주는/ 지구 온난화를>]
- can still offer/ an escapist pleasure/
- 여전히 제공할 수 있다/ 현실 도피적인 즐거움을/
- [even if that pleasure often comes/ <in the form/ of horror>]
- [비록 그 즐거움이 종종 다가올지라도/ <형태로/ 공포의>]
어법 설명
- 표현의 변경 필요
- 여기서 “at the moment”는 문맥상, “지금 당장은(right now, at this moment)”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따라서 변경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하고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현재분사]”
- "[stories/ (which or that are) illustrating/ global warming]“에서 사용된 용법. 선행사, ”a sustainable diet“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양보의 부사절[even if+주어+동사]
- “비록 ~일지라도”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비슷한 접속사로 though, although, even though 등이 있습니다.
문장 7
But when we can no longer pretend that climate suffering is distant — in time or in place ― we will stop pretending about it and start pretending within it.
주요 단어 정리
- pretend: ~인 척하다, ~인 듯 가장하다
- climate suffering: 기후의 고통
- distant: 먼, 떨어진
- in time or in place: 시간적으로든 공간적으로든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 그러나/
- [when we can no longer pretend/ [that climate suffering is distant/ <in time or in place>]]/
- [우리가 더 이상 가장할 수 없을 때/ [기후의 고통이 멀리 있다고/ 시간적으로든 공간적으로든]]/
- we will stop pretending/ about it(→will begin preparing/ for it/ aggressively)/
- 우리는 가장하는 것을 멈출 것이다/ 그것에 대해/
- and/
- 그리고
- start pretending/ within it(→begin adapting/ to it).
- 가장하기 시작할 것이다/ 그 안에서.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when+주어+동사]
- “~할 때”의 의미입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pretend/ [that climate suffering is distant/~]"에서 "that"은 동사, "pretend"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명확한 표현 사용으로 모호성 제거 필요
- 이 문장에서 “pretend”라는 동사를 마치 만병통치약처럼 사용했지만, 문맥상 “will stop pretending/ about it”는 “적극적으로 대비하기 시작할 것이다(will begin preparing/ for it/ aggressively)”로, 또한, “start pretending/ within it”는 “적응하기 시작할 것이다(begin adapting/ to it)” 정도로 표현하는 것이 더 바람직했습니다.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기후 변화가 점차 모든 사람의 삶에 영향을 미치면서, 기후 허구는 더 이상 별개의 이야기로 여겨지지 않고, 일상의 일부로 스며들게 되어 "기후 허구"라는 장르 자체가 소멸할 가능성이 높다.
핵심 문장
- You can tell stories ‘about’ climate change while it still seems a marginal feature of human life.
- But when the temperature rises by three or four more degrees, hardly anyone will be able to feel isolated from its impacts.
문제 풀이
- 지문은 기후 변화가 일상에서 더 이상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해지면, 기후 소설과 같은 장르가 점차 필요 없어질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사람들이 더 이상 '기후 소설'이라는 허구적 이야기에 몰입할 이유가 없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장 적절한 정답은 ② it may cease to be a story (이야기거리가 되는 것을 중단할 것이다)입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정답은 ②번입니다.
결론
"현실로 다가온 기후 변화, 더 이상 상상의 영역에 머무르지 않는다"
2024년 고1 모의고사 34번 지문은 기후 변화가 상상의 산물에서 현실의 중심으로 이동함에 따라 기후 허구가 현실과의 경계를 잃고 사라질 가능성을 제기합니다. 지문은 기후 변화의 가속화가 인간의 감각과 상상력을 압도하여, 픽션의 형태로 이를 다룰 여지를 점점 잃어버릴 것이라고 경고합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학생들은 기후 변화가 문화적, 심리적으로 어떤 파장을 일으키는지, 그리고 변화의 속도와 심각성이 예술적 접근법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본 분석 내용을 통해 학생들은 빈칸 추론 문제에 대한 해설을 통해 논리적이고 효과적으로 답을 추론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