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36번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36번 지문은 인간의 생존과 사회적 관계, 그리고 자신에 대한 인식이 공동체에서의 가치와 위치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다룹니다. 인간이 사회적 압력에 반응하는 심리적 기제를 설명하면서, 이러한 기제가 자존감, 자부심, 수치심 등의 감정을 통해 어떻게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논의하고 있습니다.
순서 배열 문제에 대한 Tip을 드리자면, 각 단락 간의 논리적 관계뿐만 아니라 각 단락 내에 사용된 접속부사, 대명사, 지시 형용사, 지시 대명사, 어휘를 바꿔서 표현하지만, 반복되는 표현에 유의하면서 순서를 파악해 나가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와 구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문장 배열 순서를 논리적으로 찾아내어 독해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접근법을 제공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가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6~37]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6.
As individuals, our ability to thrive depended on how well we navigated relationships in a group. If the group valued us, we could count on support, resources, and probably a mate.
(A) And, crucially, they are meant to make that motivation feel like it is coming from within. If we realized, on a conscious level, that we were responding to social pressure, our performance might come off as grudging or cynical, making it less persuasive.
(B) If it didn’t, we might get none of these merits. It was a matter of survival, physically and genetically. Over millions of years, the pressure selected for people who are sensitive to and skilled at maximizing their standing.
(C) The result was the development of a tendency to unconsciously monitor how other people in our community perceive us. We process that information in the form of selfesteem and such related emotions as pride, shame, or insecurity. These emotions compel us to do more of what makes our community value us and less of what doesn’t. [3점]
* grudging: 투덜대는
① (A)-(C)-(B) ② (B)-(A)-(C) ③ (B)-(C)-(A)
④ (C)-(A)-(B) ⑤ (C)-(B)-(A)
문장별 분석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36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제시문
As individuals, our ability to thrive depended on how well we navigated relationships in a group. If the group valued us, we could count on support, resources, and probably a mate.
주요 단어 정리
- individual: 개인
- ability: 능력
- thrive: 번성하다, 성공하다 (synonyms: flourish, prosper / antonym: fail)
- depend on~: ~에 달려있다, ~에 의존하다
- navigate: 다루다, 항해하다 (synonyms: handle, steer)
- relationship: 관계 (synonyms: connection, bond)
- value: 가치를 두다 (synonyms: appreciate, respect / antonym: devalue)
- count on: 기대하다, 의지하다 (synonyms: rely on, trust)
- support: 지원,지지
- resource: 자원
- mate: 짝 (synonyms: partner, spous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s individuals/
- 개인으로서/
- <our ability/ to thrive> depended/
- <우리의 능력은/ 번성하는(성공하는)> 달려 있었다/
- on [how well/ we navigated/ <relationships/ in a group>]/
- [얼마나 잘/ 우리가 다루는지에/ <관계를/ 집단 내에서>]/
- [If the group valued/ us],/
- [만약 집단이 중요하게 여겼다면/ 우리를],/
- we could count on/ <support, resources, and probably a mate>.
- 우리는 기대할 수 있었다/ <지원과, 자원, 그리고 아마도 짝을>.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 “<our ability/ to thrive>에서 “to thrive”는 “our ability”를 수식하며 “~할/~하는/하기 위한‘으로 해석합니다.
- 간접 의문문[의문사 + 주어 + 동사]
- ”[how well/ we navigated/ <relationships/ in a group>]“는 간접 의문문입니다. 간접 의문문은 문장 내에서 의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사용될 때 취하는 어순으로 의문사+주어+동사”의 어순입니다.
- 가정법 과거
- “[If the group valued/ us],/ we could count on/ <support, resources, and probably a mate>.”는 가정법 과거 표현입니다. 표준 문형은 “[if+주어+과거형 동사(be 동사는 인칭에 상관없이 were)~, 주어+would/should/could/might+동사원형+~]” 현재 사실의 반대나 현재의 이루어질 수 없는 소망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사실 집단이 소중하게 여기지는 않으나 소중하게 여긴다면‘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 순서 배열 문제 풀이 팁
- 순서 배열 문제(문장 삽입 포함)는 접속부사(구), 접속사, 대명사, 지시 형용사와 지시 대명사, 반복되는 의미 등에 특히 유의하여 문장의 흐름을 파악해야 합니다. 제시문의 경우, 집단 내에서의 관계가 생존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내용을 전달합니다.
단락 (A)
And, crucially, they are meant to make that motivation feel like it is coming from within.
주요 단어 정리
- crucially: 결정적으로 (synonyms: vitally, essentially)
- be meant: 의도되다
- motivation: 동기 (synonyms: incentive, drive)
- feel like (that)~: ~처럼 느껴지다
- come from~: ~에서 나오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nd,/ crucially,/
- 그리고/ 결정적으로,/
- they are meant/
- 그것들은 의도된다/
- [to make/ that motivation/ feel/ [like (that) it is coming/ from within]].
- [만들기 위해서/ 그 동기를/ 느껴지도록/ [그것이 나오고 있는 것처럼/ 내부로부터]].
어법 설명
- 수동태[be+pp] “are meant”
- “의도된다”의 의미로 수동태입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make/ that motivation/ feel/~]”에서 “사용된 어법. to 부정사의 용법은 해석되는 의미를 가지고 나눈 것에 불과합니다.
- 5형식 사역동사 용법
- “to make/ that motivation/ feel”은 5형식 사역동사[make / have / let / help]+목적어+목적보어(원형 부정사=동사원형)의 용법이며, 원형 부정사는 목적어와 목적보어가 능동 관계일 때, 수동 관계일 때는 과거분사(동사+ed)가 사용되며, help는 to 부정사(미래적 의미)도 목적격 보어로 취합니다.
- 명사절[목적절]의 접속사 that의 생략
- “feel/ [like (that) it is coming/ from within]”에서 생략된, “(that)”는 동사 “feel”의 목적어인 절(주어+동사+~)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고/~라는 것(을)”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언제 든 생략이 가능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 / whether”나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과 비교 출제됩니다.
- 순서 배열 문제 풀이 팁에 따른 과정 1
- 제시문 어법 설명에서 말한 바와 같이 단락, (A)에서, 인칭 대명사 “they”가 등장합니다. 이 “they”가 지시하는 내용을 찾아야 합니다.
단락 (B)
If it didn’t, we might get none of these merits. It was a matter of survival, physically and genetically. Over millions of years, the pressure selected for people who are sensitive to and skilled at maximizing their standing.
주요 단어 정리
- merit: 장점, 이점 (synonyms: benefit, advantage), 여기서는 혜택(benefit)
- survival: 생존 (synonyms: endurance, staying alive)
- matter of survival: 생존의 문제
- physically: 신체적으로(든)
- genetically: 유전적으로(든)
- over millions of years: 수백 만년에 걸쳐서
- pressure: 압력, 압박
- select for~: (특정 목적을 위해) 선택하다, ~을 선별하다[선출하다]
- be sensitive to~: ~에 민감하다
- be skilled at~: ~에 능숙하다
- maximize: 극대화하다 (synonyms: enhance, increase)
- standing: 지위, 위치 (synonyms: status, rank)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it didn’t (value/ us)],/
- [만약 그것이(사회가) 그렇지 않다면(우리를 귀중하게 여기지 않는다면)],/
- we might get/ <none/ of these merits(→benefits)>.
- 우리는 얻지 못할 것이다/ <어떤 것도/ 이러한 혜택들 중>.
- It was <a matter/ of survival>,/ <physically and genetically>
- 그것은 <생존의 문제였다>,/ <신체적으로든, 유전적으로든>.
- Over millions of years/
- 수백만 년에 걸쳐/
- the pressure selected for/ [people/ who are sensitive to and skilled at/ <maximizing/ their standing>]
- 그 압력은 선택했다/ [사람들을/ 민감하고 능숙한/ <극대화하는 데/ 자신의 지위를>]
어법 설명
- 가정법 과거
- 표준 문형은 “[if+주어+과거형 동사(be 동사는 인칭에 상관없이 were)~, 주어+would/should/could/might+동사원형+~]”입니다. 현재 사실의 반대나 현재의 이우어질 수 없는 소망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사실 집단이 소중하게 여기지않는다면‘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 어색한 표현
- “merit”는 일반적으로 내적인 장점이나 가치를 의미하는 반면, "benefit"은 외부로부터 주어지거나 얻을 수 있는 혜택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benefit”으로 변경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전치사를 포함한 동사구의 목적어로 사용된 동명사
- “are sensitive to and skilled at/ <maximizing/ their standing>”에서 “maximizing”은 “are sensitive to”와 “(are) skilled at”의 목적어로 사용되었고 ‘~하는 것/~하기’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 순서 배열 문제 풀이 팁에 따른 과정 2
- 제시문에서 표현된 “[If the group valued/ us],/ we could count on/ <support, resources, and probably a mate>” 내용이 단락, (B)의<none/ of these merits(→benefits)>”로 대체되어 표현되고 있어 제시문에서 자연스럽게 이어지므로 제시문 뒤에 (B)가 와야 합니다.
단락 (C)
The result was the development of a tendency to unconsciously monitor how other people in our community perceive us. We process that information in the form of self-esteem and such related emotions as pride, shame, or insecurity. These emotions compel us to do more of what makes our community value us and less of what doesn’t.
주요 단어 정리
- result: 결과
- development: 발달, 성장, 개발, 발현
- tendency: 성향, 경향 (synonyms: inclination, predisposition)
- monitor: 관찰하다, 감시하다 (synonyms: observe, oversee)
- perceive: 인지[인식]하다
- process: 처리하다
- in the form of~: ~의 형태로
- self-esteem: 자존감
- such A as B: B와 같은 그러한 A
- such related emotions: 그러한 관련된 감정
- pride: 자부심
- shame: 수치심
- insecurity: 불안감
- compel: 강요하다, 억지로 하게 하다 (synonyms: force, drive)
- compel+대상+to 부정사: 대상을 ~하도록 강요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result was [the development/ [of a tendency/ [to unconsciously monitor/ [how <other people/ in our community> perceive/ us]]]].
- 그 결과가 [발달이었다/ [성향의/ [무의식적으로 관찰하는/ [어떻게 <다른 사람들이/ 공동체 내의> 보는지를/ 우리를]]]].
- We process/ that information/
- 우리는 처리한다/ 그 정보를
- [in the form/ [of [self-esteem] and [such related emotions/ <as pride, shame, or insecurity>]]].
- [형태로/ [[자존감]과 [그러한 관련된 감정의/ <자부심, 수치심, 불안감과 같은>]]].
- These emotions compel/ us/ to do/ [more/ of [what makes/ our community/ <value/ us>]]/ and/ [less/ of [what doesn’t (make/ our community/ <value/ us>)]].
- 이러한 감정이 강요한다/ 우리로 하여금/ 하도록/ [더 많은 일을/ [우리의 공동체로 하여금/ <우리를/ 중요하게 여기도록> 만드는 것에 대해서는]]/ 그리고/ [더 적은 일을/ [그렇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a tendency/ [to unconsciously monitor/~]”에서 상용된 용법.
- 간접 의문문[의문사 + 주어 + 동사]
- “[how <other people/ in our community> perceive/ us]”에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아에 올 때 취하는 어순.
- 5형식 문형 “compel + 목적어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compel/ us/ to do”에서 사용된 어법. “compel”은 목적격 보어로 “to 부정사”를 취하는 대표 동사.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 “[what makes/ our community/ <value/ us>]”와 “[what doesn’t (make/ our community/ <value/ us>)]”에서 “what”은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이며 ‘~하는 것’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what doesn’t 뒤에 생략된 내용도 확인하세요.
- 5형식 구문 “make + 목적어 + 목적격 보어[동사원형]”
- 5형식 사역동사[make/have/let/help]+목적어+목적보어(원형 부정사=동사원형)의 용법이며, 원형 부정사는 목적어와 목적보어가 능동 관계일 때, 수동 관계일 때는 과거분사(동사+ed)가 사용되며, help는 to 부정사(미래적 의미)도 목적격 보어로 취합니다.
- 순서 배열 문제 풀이 팁에 따른 과정 2
- 단락, (B)의 마지막 부분인 “the pressure selected for/ [people/ who are sensitive to and skilled at/ <maximizing/ their standing>]”의 결과로 일어난 일이 단락, (C)의 첫부분인 “The result was [the development/ [of a tendency/ [to unconsciously monitor/ [how <other people/ in our community> perceive/ us]]]].”에 진술되어 있습니다. 또한 단락 (A)의 "they"가 의미하는 바가 "more/ of [what makes/ our community/ <value/ us>]"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시문 – 단락 (B) - 단락 (C) - 단락 (A)의 순서로 와야 합니다. 보기 중 이와 일치하는 것은 ③번입니다.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논리적 연결
- (B) 문장은 "If it didn’t, we might get none of these merits."라는 조건절로 시작하며, 앞 문장에서 언급된 "그룹이 우리를 가치 있게 여겼을 때의 장점"에 대한 반대 상황을 설명합니다. 여기서 "it"은 앞의 "그룹의 가치 평가"를 지칭하며, "If"가 조건을 설정해 문맥상 자연스러운 연결성을 제공합니다. 또한, "merits"라는 표현은 앞에서 언급된 "support, resources, and probably a mate"와 논리적으로 이어지며, "survival"과 관련된 주제를 이어갑니다.
- (C)는 "The result was the development of a tendency to unconsciously monitor~"라는 문장으로 시작되며, (B)에서 설명한 "집단 내에서 민감하고 능숙하게 위치를 극대화하는 경향"의 결과로서 사회적 감정의 발달을 언급합니다. "The result"라는 표현은 앞에서 언급된 압력과 생존 전략의 결과로 문맥적 연결성을 제공합니다. 이 문장에서 언급된 "self-esteem"과 같은 감정은 (A)에서 이어질 감정적 동기 부여를 암시합니다.
- (A)는 "And, crucially, they are meant to make that motivation feel like it is coming from within."라는 문장으로, 앞 문장에서 설명된 "emotions"를 "they"로 지칭하며, 이를 통해 감정적 동기 부여가 내면적으로 느껴지도록 설계되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And, crucially"의 표현으로 앞의 설명을 강화하며 연결성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흐름은 앞 문장에서 언급된 감정적 압력과 행동을 연결하면서 지문의 일관성을 유지합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문장들의 올바른 순서는 ③ (B)-(C)-(A)입니다. 이 순서는 집단 내에서 가치 평가에 따른 생존 전략의 진화를 설명하고, 이러한 전략이 자존감과 관련된 감정을 통해 행동을 조정하는 과정으로 이어지며, 마지막으로 이 감정적 동기 부여가 내면적으로 느껴지도록 설계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결론
"감정과 생존: 집단 내 인간 행동의 동기 부여 메커니즘"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36번 문제는 집단 내 인간 관계와 생존의 상호작용을 탐구하며, 감정과 행동이 어떻게 사회적 동기 부여를 형성하는지를 설명합니다.정답인 “③번 (B)-(C)-(A)“는 집단에서의 생존 압력이 감정적 반응으로 이어지고, 이 감정들이 내면적 동기로 작용하며 사회적 가치를 극대화하게 된다는 논리적 흐름을 가장 잘 반영합니다.이 문제를 통해 학생들은 복잡한 인간 행동의 심리적, 사회적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논리적 사고와 연결 구조를 파악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본 분석을 통해 논리적으로 단락과 단락 사이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파악하는 동시에 지문 내 사용된 접속부사, 대명사, 지시 형용사, 지시 대명사 및 반복되는 의미를 통해 정확한 글의 순서를 파악하는 훈련을 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은 글의 구조를 명확히 이해하도록 돕고, 문장 순서 배열 문제의 해법을 논리적으로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독해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동시에 향상시키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