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10월 고1 모으고사 37번 지문은 우울증의 원인을 기존의 신경 전달 물질 불균형 이론에서 벗어나 의식(consciousness)의 문제로 재해석하는 관점을 다룹니다. 기존의 원인-결과 관계를 재구성하면서, 우울증을 단순한 생리적 문제 이상으로 바라보고, 의식 상태의 왜곡과 관련된 문제로 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순서 배열 문제에 대한 Tip을 드리자면, 각 단락 간의 논리적 관계뿐만 아니라 각 단락 내에 사용된 접속부사, 대명사, 지시 형용사, 지시 대명사, 어휘를 바꿔서 표현하지만, 반복되는 표현에 유의하면서 순서를 파악해 나가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와 구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문장 배열 순서를 논리적으로 찾아내어 독해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접근법을 제공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가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6~37]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7.
Conventional medicine has long believed that depression is caused by an imbalance of neurotransmitters in the brain.
(A) However, there is a major problem with this explanation. This is because the imbalance of substances in the brain is a consequence of depression, not its cause. In other words, depression causes a decrease in brain substances such as serotonin and noradrenaline, not a decrease in brain substances causes depression.
(B) If it is not consciousness itself, then the root cause of depression is also a distortion of our state of consciousness: a consciousness that has lost its sense of self and the meaning of life. Such a disease of consciousness may manifest itself in the form of depression.
(C) In this revised causeandeffect, the key is to reframe depression as a problem of consciousness. Our consciousness is a more fundamental entity that goes beyond the functioning of the brain. The brain is no more than an organ of consciousness.
* neurotransmitter: 신경 전달 물질 ** manifest: (명백히) 나타내다
① (A)-(C)-(B) ② (B)-(A)-(C) ③ (B)-(C)-(A)
④ (C)-(A)-(B) ⑤ (C)-(B)-(A)
문장별 분석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36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제시문
Conventional medicine has long believed that depression is caused by an imbalance of neurotransmitters in the brain.
주요 단어 정리
- conventional medicine: 전통 의학
- depression: 우울증
- be caused: 유발되다
- imbalance: 불균형
- neurotransmitter: 신경 전달 물질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Conventional medicine has long believed/
- 전통 의학은 오랫동안 믿어 왔다/
- [that depression is caused/ [by an imbalance/ <of neurotransmitters/ in the brain>]].
- [우울증이 유발된다고/ [불균형에 의해/ <신경 전달 물질의/ 뇌 속에 있는>]].
어법 설명
- 현재완료 시제[have[has] + pp]
- "has long believed"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해왔다’로 해석되며 현재완료 용법 중 계속적 용법에 해당됩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has long believed/ [that depression is caused/~]"에서 "that"은 동사구, "has long believed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수동태 [be + pp] "is caused"
- "유발된다"의 의미로 수동태.
- 순서 배열 문제 풀이 팁
- 순서 배열 문제(문장 삽입 포함)는 접속부사(구), 접속사, 대명사, 지시 형용사와 지시 대명사, 반복되는 의미 등에 특히 유의하여 문장의 흐름을 파악해야 합니다. 제시문은 “우울증의 유발 원인에 대한 전통 의학의 믿음”에 대한 내용을 전달합니다.
단락 (A)
However, there is a major problem with this explanation. This is because the imbalance of substances in the brain is a consequence of depression, not its cause. In other words, depression causes a decrease in brain substances such as serotonin and noradrenaline, not a decrease in brain substances causes depression.
주요 단어 정리
- explanation: 설명
- major problem: (문맥상) 중대한 문제(critical problem, significant problem), 주요(한) 문제
- this is because~: 이는 ~때문이다
- consequence: 결과
- decrease: 감소
- serotonin and noradrenaline: 세로토닌과 노르아드레날린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owever,/ there is a major(→critical or significant) problem/ with this explanation/
- 그러나,/ 중대한 문제가 있다/ 이 설명이 가진(‘이 설명에는’으로 의역)/
- This is [because <the imbalance/ of substances/ in the brain>/ is <a consequence/ of depression>,/ not its cause]
- 이는 [<불균형이/ 물질의/ 뇌 속에 있는>/ <결과이기 때문이다/ 우울증의>,/ 그것의 원인이 아니라].
- In other words,/
- 다시 말해서,/
- depression causes/
- 우울증이 유발한다/
- [a decrease/ [in brain substances/ <such as serotonin and noradrenaline>]]/
- [감소를/ [뇌 내 물질에서의/ <세로토닌과 노르아드레날린과 같은>]]/
- not <a decrease/ in brain substances> causes/ depression.
- <감소가/ 뇌 물질의> 유발하는 것이 아니다/ 우울증을.
어법 설명
접속부사(구) "however" & "in other words"
문장 내에서 "그러나 / 하지만" & "다시 말해서"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어색한 표현 1
이 단락에서 “a major problem”은 ‘주요(한) 문제’로 해석되며 의미를 확장한다 해도 ‘큰 문제(a big problem)’정도이다. 문맥상 ‘중대한 문제(a critical problem이나 a significant problem)’으로 표현하는 것이 적합니다. 그러나 문제를 푸는 것과는 무관합니다.
어색한 표현 2
“not <a decrease/ in brain substances> causes/ depression”은 문장 앞에 not이 놓여 부분부정으로 착각할 수 있다. ‘~가 아니라’의 의미를 전달할 때 단어나 구에 한정해야 어법상 적절합니다. 글의 문맥으로 볼 때 이 문장은 not A but B 용법을 사용해서, “This is [because [the imbalance <of substances/ in the brain>] is not <the cause/ of depression>,/ <but the result/ of it>].”로 표현해야 적절합니다.
순서 배열 문제 풀이 팁에 따른 과정 1
제시문 어법 설명에서 말한 바와 같이 단락, (A)에서 사용된 “this explanation”라는 표현이 문맥상 제시문에서 언급한 “우울증이 원인에 대한 믿음”임을 알 수 있습니다. 아울러, 단락 (A) 나머지 부분은 “신경전달물질 발생의 진짜 원인”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제시문 - (A)의 어순입니다.
단락 (B)
If it is not consciousness itself, then the root cause of depression is also a distortion of our state of consciousness: a consciousness that has lost its sense of self and the meaning of life. Such a disease of consciousness may manifest itself in the form of depression.
주요 단어 정리
- consciousness: 의식
- root cause: 근본 원인
- distortion: 왜곡
- state of consciousness: 의식 상태
- sense of self: 자아 의식[감각]
- meaning of life: 삶의 의미
- manifest oneself: 나타나다, 드러나다
- in the form of~: ~의 형태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it is not <consciousness/ itself>],/
- [만약 그것이 <의식/ 그 자체가> 아니라면],/
- then/ <the root cause/ of depression> is also [a distortion/ <of our <state/ of consciousness>>]/
- 그러면/ <근본 원인은/ 우울증의>/ 또한 [왜곡이다/ <우리의 <의식 상태의>>]/
- :/ [a consciousness/ that has lost/ [its <sense of self> and <the meaning of life>]].
- 즉/ [의식( 상태)인/ 상실한/ [그것의 <자아의식>과 <삶의 의미를>]].
- <Such a disease/ of consciousness>/ may manifest itself/ <in the form/ of depression>.
- 그러한 <질병이/ 의식의>/ 나타날 수 있다/ <형태로/ 우울증의>.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만약)~한다면/~하는 경우”의 의미를 전달.
- 모호한 동격 표현
- “our state of consciousness: a conscious~”에서 colon(:)은 동격을 표시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a consciousness"는 "a state of consciousness"로 표현되어야 어법상 적절합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a consciousness/ that has lost//~]”에서 “that”은 a consciousness를 선행사로 받는(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입니다. 수능에서 중요한 건, ”관계대명사+불완전한 문장“의 관계입니다.
- 현재완료 시제 "has lost“
- (과거부터 현재사이에) ~했다’로 해석되며 현재완료 용법 중 결과적 용법에 해당됩니다.
- 순서 배열 문제 풀이 팁에 따른 과정 2
- 단락 (B)의 시작 부분인 ”[If it is not <consciousness/ itself>]“에서 제시문이나 단락 (A)에서 전혀 언급되지 않은, ”consciousness“가 등장합니다. 따라서, (C)에서 이에 대한 언급이 있다고 판단하고 제시문- (A) - (C) - (B)의 순서로 선택하고 실전에서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단락 (C)
In this revised causeandeffect, the key is to reframe depression as a problem of consciousness. Our consciousness is a more fundamental entity that goes beyond the functioning of the brain. The brain is no more than an organ of consciousness.
주요 단어 정리
- revised: 수정된
- cause-and-effect: 인과 관계의, 여기서는 인과 관계(causal relationship, cause-and-effect relationship)
- reframe: 재구성하다, 다시 정의하다
- fundamental: 근본적인
- entity: 존재[객체/실체]
- go beyond~: ~을 넘어서다
- functioning: 기능
- no more than~: ~에 지나지 않는/~에 불과한
- organ of consciousness: 의식의 기관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this revised causeandeffect,/
- 이 수정된 인과 관계에서,/
- the key is to reframe/ depression/ <as a problem/ of consciousness>/
- 핵심은 다시 정의하는 것이다/ 우울증을/ <문제로/ 의식의>/
- Our consciousness is [a more fundamental entity/ that goes beyond/ <the functioning/ of the brain>].
- 우리의 의식은 [더 근본적인 존재이다/ 넘어서는/ <기능을/ 뇌의>].
- The brain is no more than an organ/ of consciousness.
- 뇌는 기관에 지나지 않는다/ 의식의.
어법 설명
- 어색한 표현
- ‘cause-and-effect’는 ‘인과 관계의’라는 형용사입니다. 이 문장에서는 ‘인과 관계(casual relationship / cause-and-effect relationship)으로 표현하는 것이 어법상 적절합니다.
- be + to 부정사 용법
- 대부분 ‘~하는 것이다’로 해석되나 이 해석이 자연스럽지 않으면 “~할 예정이다/~할 수 있다/~해야 한다/~하려고 한다/~할 운명이다‘ 중 자연스러운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reframe"의 사용
- 기존의 사고방식을 변화시키고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a more fundamental entity/ that goes beyond/ <the functioning/ of the brain>]“에서 ”that“은 ”a more fundamental entity“를 선행사로 받는(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입니다. 수능 어법에서 중요한 것은, ”관계대명사+불완전한 문장“의 관계입니다.
- 순서 배열 문제 풀이 팁에 따른 과정 3
- 실전에서는 이미 단락, (B)에서 답을 선택하고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다음 문제로 넘어 갔지만 조금 더 해설을 하자면, 단락, (A)에서 언급한 “신경전달물질 발생의 진짜 원인”을 단락, (C)에서 “this revised cause-and-effect”로 표현하고 있고, 단락 (B)에서 정답을 추론할 때 (C)에서 언급된 것으로 추측한 “consciousness”가 역시 설명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미 선택한 제시문 - (A) - (C) - (B)가 옳은 선택임을 다시 한번 입증합니다.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문장 순서 판단
- (A)는 "However"라는 접속사를 통해 기존 전통 의학적 설명(신경 전달 물질 불균형에 의한 우울증)을 반박하며, 뇌 내 물질 불균형이 결과일 뿐이며, 원인이 아님을 강조합니다. "In other words"로 내용을 보충하여, 우울증이 뇌 내 물질 감소를 일으킨다는 점을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이로써 새로운 원인-결과 관계로의 전환을 위한 서두를 제공합니다.
- (C)는 "In this revised cause-and-effect"라는 표현으로 (A)에서 언급된 새로운 관점을 이어받아, 우울증을 의식의 문제로 재구성할 필요성을 제시합니다. 여기서 "consciousness"가 중심 개념으로 도입되며, 뇌는 단순히 의식의 도구에 불과하다는 설명을 통해 기존의 뇌 중심적 관점을 확장합니다.
- (B)는 "If it is not consciousness itself"로 시작하며 (C)에서 언급된 "consciousness"를 다시 상기시키고, 의식의 왜곡이 우울증의 근본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Such a disease of consciousness"라는 표현은 (C)에서 도입된 개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우울증이 자아와 삶의 의미를 상실한 의식 상태로 나타날 수 있음을 설명합니다.
핵심 연결 요소와 키워드
- 접속사 및 연결 표현: (A)의 "However"는 기존 관점에 대한 반박을 나타내며, "In other words"는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C)의 "In this revised cause-and-effect"와 (B)의 "If it is not consciousness itself"는 새로운 관점과 이를 통한 구체적 설명을 연결합니다.
- 반복되는 단어 및 개념: "depression"과 "consciousness"는 모든 문장에서 반복적으로 언급되며, 문장 간 논리적 흐름을 유지합니다. (B)의 "Such a disease of consciousness"는 (C)의 "consciousness"와 논리적으로 연결됩니다.
정답제시
- 문장들의 올바른 순서는 ① (A)-(C)-(B)입니다. (A)는 기존 관점에 대한 문제 제기와 새로운 원인-결과 관계를 도입하고, (C)는 우울증을 의식의 문제로 재구성하며 뇌와 의식의 관계를 재정의합니다. (B)는 이러한 의식의 왜곡이 우울증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설명하며, 새로운 관점을 더욱 구체화합니다. 접속사, 반복되는 개념, 지시 표현 등이 논리적 흐름을 강화하며 일관성을 제공합니다.
결론
"우울증의 근본 원인: 신경전달물질에서 의식으로의 전환"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37번 문제는 우울증의 원인을 전통적 관점과 새로운 관점에서 비교하며, 의식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정답인 *④번 (A)-(C)-(B)는 "신경전달물질 불균형"이라는 기존 이론의 한계를 제시하며, 이를 "의식의 문제"로 재구성한 후, 의식 왜곡이 우울증의 근본 원인이라는 새로운 설명을 제시합니다.이 문제는 학생들에게 논리적 연결성을 파악하고 새로운 개념을 기존의 틀에서 재구성하는 사고력을 키울 기회를 제공합니다.
결론적으로, 우울증의 이해를 단순 생리적 관점에서 벗어나 의식과 삶의 의미를 탐구하는 심리적 관점으로 확장하는 데 기여합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은 글의 구조를 명확히 이해하도록 돕고, 문장 순서 배열 문제의 해법을 논리적으로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독해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동시에 향상시키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