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38번 지문 분석 및 해설
목차
서론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38번 지문은 심리학이 인간의 본성에 대해 일반적으로 퍼져 있는 상식이나 신념과 달리, 과학적 증거에 기반해 인간 행동과 사고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임을 강조합니다. 지문은 심리학이 단순한 의견이나 사회적 통념에 의존하지 않고, 증거 기반 접근법을 통해 인간의 행동과 사고를 탐구하는 방식을 설명합니다. 문장별 주요 단어와 구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삽입 문장의 적절한 위치를 추론하며 독해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접근법을 제공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8.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Instead, they look for evidence, to make sure that psychological ideas are firmly based, and not just derived from generally held beliefs or assumptions.
The common accounts of human nature that float around in society are generally a mixture of assumptions, tales and sometimes plain silliness. However, psychology is different. ( ① ) It is the branch of science that is devoted to understanding people: how and why we act as we do; why we see things as we do; and how we interact with one another. ( ② ) The key word here is ‘science.’ ( ③ ) Psychologists don’t depend on opinions and hearsay, or the generally accepted views of society at the time, or even the considered opinions of deep thinkers. ( ④ ) In addition to this evidencebased approach, psychology deals with fundamental processes and principles that generate our rich cultural and social diversity, as well as those shared by all human beings. ( ⑤ ) These are what modern psychology is all about.
문장별 분석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38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주어진 문장
Instead, they look for evidence, to make sure that psychological ideas are firmly based, and not just derived from generally held beliefs or assumptions.
주요 단어 정리
- instead: 대신에
- evidence: 증거
- psychological idea: 심리학적 개념
- be firmly based: (여기서는) 확고히 기반을 두다(→are firmly grounded, has a firm foundation)
- derived: 유래된, 비롯된
- be derived from~: ~에서 유래[비롯]되다
- generally held beliefs or assumptions: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가지고 있는] 신념이나 가정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stead,/
- 대신에,/
- they look for/ evidence/
- 그들은 찾는다/ 증거를/
- to make sure/
- 분명히 하기 위해서/
- [that psychological ideas/ [<are firmly based>,/ and/ <(are) not just derived/ from generally held beliefs or assumptions>]].
- [심리학적 개념이/ [<확고하게 기반을 두고 있다는 것을>,/ 그리고 <단지 비롯되지 않는다는 것을/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신념이나 가정으로부터>]].
어법 분석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make sure/~“에서 사용된 어법.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to make sure/ [that psychological ideas/~]"에서 "that"은 to 부정사구, "to make sure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어색한 표현
- ‘are firmly based’는 여기서 ‘확고히 기반을 두다‘의 의미로 사용되었고 ”are firmly grounded“ 또는 ”has a firm foundation“로 표현되어야 적절합니다. 일반적으로 ”be (frimly) based on~: ’~에 (확고히) 기반을 두다“는 표현으로는 적절하지 못합니다.
- 병렬 구조 – and로 두 개의 동사구 병치
- <are firmly based>와 <(are) not just derived/ from generally held beliefs or assumptions>를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
- 삽입 위치 추론 1
- ”Instead“의 의미와 이후에 이어지는 내용으로 미루어 볼 때, 심리학적 개념에 대한 다른 입장이 진술되어 있음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문장 1
The common accounts of human nature that float around in society are generally a mixture of assumptions, tales and sometimes plain silliness. However, psychology is different.
주요 단어 정리
- common accounts: 일반적인 설명(해석)
- float around: 퍼지다, 돌아다니다
- mixture: 혼합물
- assumptions: 가정, 추정
- tales: 이야기, 소문
- plain silliness: 순전히 어리석은 것들
- psychology: 심리학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common accounts/ of human nature>/ that float around/ in society]/
- [<일반적인 설명(들)은/ 인간 본성에 대한>/ 떠도는/ 사회에서]/
- are generally [a mixture/ <of assumptions, tales and sometimes plain silliness>].
- 일반적으로 [혼합물이다/ <가정, 이야기, 그리고 때로는 순전히 어리석은 것들의>].
- However,/ psychology is different.
- 하지만,/ 심리학은 다르다.
어법 분석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The common accounts/ of human nature>/ that float around/ in society”에서 “that”은 선행사, “<The common accounts/ of human nature>”을 수식하여, “사회에서 떠도는 인간 본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들)”의 의미를 전달.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첫 번째 문장의 주어는 ”The common accounts”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의 형태로, ”are“.
- 접속부사 "however"
- 문장 내에서 "그러나 / 하지만"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삽입 위치 추론 2
- “심리학(psychology)“이라는 단어가 처음으로 등장했습니다. ”심리학에 대한 일반적인 관점”을 진술하고 있습니다. 과연 예측대로 진행되는지 계속 읽어 나갑니다.
문장 2
( ① ) It is the branch of science that is devoted to understanding people: how and why we act as we do; why we see things as we do; and how we interact with one another.
주요 단어 정리
- branch of science: 과학의 한 분야
- devoted to~: ~에 헌신된, ~에 전념하는
- interact with~: ~와 상호작용하다
- with one another: (주로 셋 이상 사이) 서로(와)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t is [<the branch/ of science>/ that is devoted/ <to understanding/ people>]/
- 그것은 [<한 분야이다/ 과학의>/ 전념하는/ <이해하는 것에/ 사람들을>]/
- :/ [how and why we act/ [as we(→others or most people) do]]/; [why we see/ things/ [as we(→others or most people) do]]/; and/ [how we interact/ with one another].
- 즉,/ [왜 우리가 행동하는지/ [우리가(→다른 사람들이 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하는 것처럼]]/; [왜 우리가 사물을 보는지/ [우리가(→다른 사람들이 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하는 것처럼]]/, 그리고/ [어떻게 우리가 상호작용하는지를 (이해하는 것)/ 서로].
어법 분석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the branch/ of science>/ that is devoted/ <to understanding/ people>”에서 “that”은 선행사, “<the branch/ of science>”를 수식하여, “사람들을 이해하는 것이 전념하는(헌신된/바쳐진) 과학의 분야”의 의미를 전달.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to understanding/ people>“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여러 의미를 내포하는 단어처럼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how and why we act”, “why we see/ things”와 “how we interact/ with one another”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 비교의 부사절 “as + 주어 + 동사”
- “[as we(→others or most people) do]”와 “[as we(→others or most people) do]”에서 사용된 어법. “~처럼/~같이/~만큼”의 의미를 전달.
- 어색한 표현
- 간접 의문문 표현에서 “as 절은 왜 우리의 행동이나 사물을 바라보는 시각이 대부분의 사람들과 비슷한지를 표현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따라서 “we라는 주어보다는 others(다른 사람들)이나 most people(대부분의 사람들)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삽입 위치 추론 2
- 문장 1에서 “심리학(psychology)“이라는 단어가 처음으로 등장한 이후로 계속 그에 대한 진술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심리학은 과학의 한 분야“라는 것입니다. 아직 예측한 내용이 나오지 않았으므로 계속 읽어 나갑니다.
문장 3
( ② ) The key word here is ‘science.’
주요 단어 정리
- key word: 핵심 단어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key word/ here/ is ‘science.’
- 핵심 단어는/ 여기서/ ‘과학’이다.
어법 분석
- 삽입 위치 추론 3
- 문장 1에서 “심리학(psychology)“이라는 단어가 처음으로 등장한 이후로 계속 그에 대한 이야기가 진행되고 있으며, 문장 3의 논조는 ”심리학은 과학이다“라는 것입니다. 논조로 보면 객관적인 사실에 기반들 둔다는 주어진 문장의 진술과 같습니다. 다만, 아직 예측한 내용이 나오지 않았으므로 계속 읽어 나갑니다.
문장 4
( ③ ) Psychologists don’t depend on opinions and hearsay, or the generally accepted views of society at the time, or even the considered opinions of deep thinkers.
주요 단어 정리
- depend on~: ~에 의존하다
- hearsay: 소문
- generally accepted views: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견해
- at the time: 그 당시에
- considered opinions: 심사숙고한 의견(들)
- deep thinker: ~깊이 있는 사상가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Psychologists don’t depend/ [on [<opinions and hearsay>/ or/ <the generally accepted views/ of society/ at the time>]/ or/ [even the considered opinions/ of deep thinkers]].
- 심리학자들은 의존하지 않는다/ [[<의견이나 소문에>/ 또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견해에/ 사회의/ 그 당시에>]/ 혹은/ [심사숙고한 의견에도/ 깊이 있는 사상가들의]].
어법 분석
- 삽입 위치 추론 4
- 예측한 대로 ”심리학적 개념에 대한 다른 입장“에 해당하는 내용이 ”[<opinions and hearsay>/ or/ <the generally accepted views/ of society/ at the time>]/ or/ [even the considered opinions/ of deep thinkers]“으로 진술되어 있습니다. 아울러, 문장 5의 내용도 주어진 문장에서 언급된, ”evidence“가, ”In addition to this evidence-based approach“와 자연스럽게 이어지기 때문에, ( ④ )에 와야 논리적 및 의미적으로 적절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④로 체크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 문제로 넘어갑니다.
문장 5
( ④ ) In addition to this evidence-based approach, psychology deals with fundamental processes and principles that generate our rich cultural and social diversity, as well as those shared by all human beings.
주요 단어 정리
- in addition to~: ~에 더하여
- evidence-based approach: 증거 기반 접근법
- psychology: 심리학
- deal with~: ~을 취급하다/다루다/처리하다
- fundamental processes: 근본적인 과정들
- principle: 원리/원칙
- generate: 생성하다
- rich: 풍부한
- cultural and social diversity: 사회 문화적 다양성
- as well as~: ~뿐만 아니라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addition to this evidence-based approach,/
- 이러한 증거 기반 접근법에 더하여,/
- psychology deals/ with [<fundamental processes and principles>/ that generate/ <our rich cultural and social diversity],/
- 심리학은 다룬다/ [<근본적인 과정들과 원칙들을>/ 생성하는/ <우리의 풍부한 문화적, 사회적 다양성을>],/
- <as well as those/ (which or that are) shared/ by all human beings>
- <것들뿐만 아니라/ 공유되는/ 모든 인간(들)에 의해>.
어법 분석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fundamental processes and principles>/ that generate/ <our rich cultural and social diversity]”에서 “that”은 선행사, “<fundamental processes and principles>”을 수식하여, “우리의 풍부한 사회 문화적 다양성을 생성하는 근본적인 과정들과 원칙들”의 의미를 전달.
- “~된/~되는/~되어진”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those/ (which or that are) shared/ by all human beings“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된/~되는/~되어진“의 의미를 전달. 선행사, ”those“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가 생략된 구조와 동일합니다.
문장 6
( ⑤ ) These are what modern psychology is all about.
주요 단어 정리
- be all about: 전부다, 최고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se are [what modern psychology is all about](→These show/ [what modern psychology is]).
- 이것들이 [현대 심리학이 전부 무엇에 대한 것인지]이다(→이것들이 보여준다/ 현대 심리학이 무엇인지를).
어법 분석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 표현의 변경 필요
- 이 글의 저자는 마지막 문장의 의미를 “이것들이 현대 심리학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의 의미로 썼으나 현재의 문장이 그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한다고 볼 수 없기에 “These show/ [what modern psychology is]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지문은 심리학이 단순 가정이나 소문에 의존하지 않고 과학적 증거를 기반으로 인간 행동을 탐구하는 학문임을 강조합니다.
추론 과정
- 주어진 문장은 "Instead"를 통해 대조를 나타내며, 심리학이 "evidence"에 의존하는 과학적 특성을 설명합니다.
- 문장 (③)의 "Psychologists don’t depend on opinions and hearsay..."와 자연스럽게 연결되며, 이어지는 문장 (④)의 "evidence-based approach"와도 맥락이 맞습니다.
정답 제시
정답: ( ④ )
주어진 문장은 "evidence"를 중심으로 심리학의 과학적 접근 방식을 설명하며, ( ④ )에 배치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결론
"심리학의 본질: 과학적 접근을 통한 인간 행동 이해"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38번 지문은 심리학이 단순한 가정이나 소문이 아닌, 과학적이고 증거 기반의 접근법을 통해 인간 행동과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정답인 ④번은 심리학의 "evidence-based approach"를 중심으로, 기존의 신념이나 의견과의 차별성을 명확히 보여줍니다.문제는 학생들에게 논리적 흐름을 파악하고, 문장의 대조적 의미와 연계성을 이해하는 능력을 요구합니다.
결론적으로, 심리학은 단순히 가설에 머무르지 않고, 과학적 증거를 바탕으로 인간 행동의 근본적 과정을 탐구하는 현대적 학문임을 다시금 강조합니다.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와 청크 분석은 독해의 세부적 이해를 도왔고, 어법 설명은 문장의 구조와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했습니다. 이를 통해 지문의 논리적 흐름과 핵심 내용을 완벽히 파악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