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40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40번 지문은 Álvaro Bilbao라는 신경심리학자가 언급한 'trick-punishments'(교묘한 처벌)의 개념을 설명하며, 전통적인 처벌이 오히려 아이의 원하지 않는 행동을 강화할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지문은 아이가 관심을 얻기 위해 행동을 반복할 수 있는 경우를 예로 들며, 부정적 행동을 지적하는 대신 긍정적인 행동을 보상하는 방식을 권장합니다.

요약문 문제 해결 Tip은 요약문을 먼저 읽어 독해한 후 지문을 "위에서 아래로" 읽어 내려 가면서 빈칸에 들어갈 단서를 찾아야 합니다. 어떤 경우는 요약문만으로도 정답을 선택할 수 있는 경우가 존재하기도 합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적 차이와 수식 구조의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 설명 및 어법 설명과 함께 제공되는 문제를 푸는 Tip은 구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독해력에 기반을 둔 단서 찾기가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접근법을 제공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40.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 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Punishing a child may not be effective due to what Álvaro Bilbao, a neuropsychologist, calls ‘trick­punishments.’ A trick­punishment is a scolding, a moment of anger or a punishment in the most classic sense of the word. Instead of discouraging the child from doing something, it encourages them to do it. For example, Hugh learns that when he hits his little brother, his mother scolds him. For a child who feels lonely, being scolded is much better than feeling invisible, so he will continue to hit his brother. In this case, his mother would be better adopting a different strategy. For instance, she could congratulate Hugh when he has not hit his brother for a certain length of time. The mother clearly cannot allow the child to hit his little brother, but instead of constantly pointing out the negatives, she can choose to reward the positives. In this way, any parent can avoid trick­punishments.

A trick­punishment ___(A)___ the unwanted behavior of a child, which implies that parents should focus on ___(B)___ the attention to negatives while rewarding positive behaviors.


     (A)             (B) 

① reinforces  …… reducing 

② reinforces  …… maximizing

③ discourages …… attracting 

④ discourages …… lowering

⑤ controls    …… increasing

문장별 분석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40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요약문

A trick-punishment ___(A)___ the unwanted behavior of a child, which implies that parents should focus on ___(B)___ the attention to negatives while rewarding positive behaviors.

주요 단어 정리

  • unwanted: 원치 않는
  • behavior: 행동
  • imply: 내포하다/함축하다
  • focus on~: ~에 집중하다/~에 초점을 맞추다
  • attention: 관심, 주의, 주목
  • while ~ing: ~하면서
  • reward: 보상하다
  • positive: 긍정적인 점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 trick-punishment ___(A)___/ <the unwanted behavior/ of a child>/
  • 교묘한 처벌이 A한다/ <원치 않는 행동을/ 아이의>/
  • , which implies/ [that parents should focus on/ [___(B)___/ <the attention/ to negatives>]]/
  • 그리고 그것이 내포한다/ [부모가 집중해야 한다는 것을/ [B하는 것에/ <관심을/ 부정적인 것들로의>]]/
  • [while rewarding/ positive behaviors].
  • [보상하면서/ 긍정적인 행동들을].

어법 설명

  • 빈칸의 추론 (A)
  • "교묘한 처벌(trick punishment)가 "아이의 원치 않는 행동"을 "어떻게 하는지"를 지문을 읽어 내려가면서 찾아야 합니다. 이후 지문에서 단서를 찾을 때 사용할 "key words"는 "trick punishment"와 "the unwanted behavior of a child"가 됩니다. 
  • 관게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 , which implies[that parents should focus on/~]”에서 ", which"는 계속적용법으로 that을 사용할 수 없으며 앞 문장 전체를 선행사로 받는다.
  • 빈칸의 추론 (B)
  • "부모들이 "(아이의) 부정적인 것들에 대한 주의"를 "어떻게 하는 것"에 집중해야 하는지를 찾야합니다. 단서를 찾을 때 사용할 key word는 "the attention to the negatives"입니다.
  • 분사구문
  • [while rewarding/ positive behaviors]”는 "[while they reward/ positive behaviors]"의 종속절에서 주어(they=parents)를 생략하고 동사 "reward"를 "rewarding"으로 바꾼 분사구문이다.

문장 1

Punishing a child may not be effective due to what Álvaro Bilbao, a neuropsychologist, calls ‘trick­punishments.’

주요 단어 정리

  • punish: 처벌하다 (동의어: discipline / 반의어: reward)
  • effective: 효과적인 (동의어: efficient, successful / 반의어: ineffective)
  • neuropsychologist; 신경심리학자
  • trick-punishment: 교묘한 처벌(특정 행동을 억제하기보다는 오히려 강화하는 부적절한 처벌 방식)

청크 분석

  • <Punishing/ a child> may not be effective/
  • <처벌하는 것은/ 아이를>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 [due to what <Álvaro Bilbao,/ a neuropsychologist>,/ calls/ ‘trick­punishments.’]
  • [<Álvaro Bilbao라는/ 신경심리학자가>/ 부르는 것 때문에/ '교묘한 처벌'이라고].

어법 설명

  • 어로 사용된 동명사 V-ing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
  • "<Punishing/ a child>"에서 "Punishing"은 동명사 주어로 의 의미로 수의 일치 문제로 자주 출제됩니다. 현재는 조동사구가 동사로 사용되어 출제될 가능성은 낮습니다.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하는 것"
  •  "what <Álvaro Bilbao,/ a neuropsychologist>,/ calls/ ‘trick­punishments.’"에서 "what"은 "신경심리학자 알바로 빌라오가 '교묘한 처벌'이라고 부르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빈칸의 단서 1
  • 이미 (A)에 들어갈 key words로 "trick punishments"가 출현했고, 그 의미도 기술되었으며 효과적이지 않다고도 기술되어 있습니다. "원치 않는 아이의 행동"을 못하게 유도하는 것이 아닌 오히려 "장려한다(encourage)"는 의미이므로, 이를 대체하는 단어, "reinforce(강화하다)"뿐입니다. 따라서, ①번과 ②번으로 압축됩니다, 논리적 관계로 볼 때 "부정적인 것들에 대한 관심"을 부모들은 "줄이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므로 답은 ①번뿐입니다. 실전에서는 더 읽지 않고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문장 2

A trick­punishment is a scolding, a moment of anger or a punishment in the most classic sense of the word.

주요 단어 정리

  • scolding: 꾸짖음 (동의어: rebuke / 반의어: praise)
  • a moment of~: 한순간의~
  • punishment: 처벌
  • classic: 고전적인, 전형적인 (동의어: typical / 반의어: modern)
  • sense: 의미, 느낌, 감각
  • the most classic sense of~: 가장 전형적인 의미에서의

청크 분석

  • A trick­punishment is [[a scolding], [a moment of anger] or [a punishment/ <in the most classic sense/ of the word>]].
  • 교묘한 처벌은 [[꾸짖음이나], [한순간의 분노] 혹은 [처벌입니다/ <가장 전형적인 의미에서의/ 처단어의>]].

어법 설명

  • 세 개의 명사구의 병렬 연결
  • "[a scolding]", "[a moment of anger]" 및 "[a punishment/ <in the most classic sense/ of the word>]"를 "or"로 병렬 연결한 구조.

문장 3

Instead of discouraging the child from doing something, it encourages them to do it.

주요 단어 정리

  • instead of~: ~대신에
  • discourage: 낙담시키다, 억제하다 (동의어: dissuade, deter / 반의어: encourage)
  • discourage A from ~ing: A가 ~하지 못하도록 억제하다
  • encourage: 격려하다 (동의어: inspire, motivate / 반의어: discourage)

청크 분석

  • Instead of discouraging/ the child/ <from doing/ something>,/
  • 억제하는 대신에/ 그 아이로 하여금/ <하지 못하도록/ 무언가를>,/
  • it encourages/ them/ <to do/ it>.
  •  그것이 장려한다/ 그들로 하여금/ <하도록/ 그것을>.

어법 설명

  • Instead of~ 구문
  • "~하는 대신에"로,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 전치사의 목적어로 사용된 ~ing[동명사] "~하는 것 / ~하기"
  • "Instead of discouraging/ the child/ <from doing/ something>"에서 전치사구 instead of~의 목적어로 "discouraging"이 사용되었고 "억제하는 것 대신에(억제하는 대신에)"의 의미를 전달.
  • 5형식 구문 "5형식동사 + 목적어+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encourages/ them/ <to do/ it>”에서 "encourage"는 to 부정사(미래적 의미)를 목적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문장 4

For example, Hugh learns that when he hits his little brother, his mother scolds him.

주요 단어 정리

  • for example: 예를 들어
  • learn: (우연히) 알게 되다, 배우다
  • hit: 때리다 (동의어: strike / 반의어: comfort)
  • scold: 꾸짖다 (동의어: reprimand / 반의어: praise)

청크 분석

  • For example,/

  • Hugh learns/ [that/ [when he hits/ his little brother],/ his mother scolds/ him].
  • 예를 들어,/ 휴는 알게 된다/ [[그가 때릴 때/ 그의 어린 동생을],/ 그의 엄마가 꾸짖는다는 것을/ 그를].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라는 것을 / ~라고"
  • "learns[that[when he hits/ his little brother],/ his mother scolds/ him]"에서, "that"은 목적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의 의미로 해석되며 언제나 생략 가능합니다.
  • [when+주어+동사]의 삽입 시 사소한 오류
  • 목적절의 접속사 "that"과 that절의 주어 "his mother" 사이에 "[when he hits/ his little brother]"이 삽입된 구조. 이는 "[that his mother scolds/ him [when he hits/ his little brother]]"와 동일합니다. 이렇게 삽입을 하는 경우는 앞뒤로 comma(,)를 사용하는 것이 어법입니다. 따라서, "[that, [when~],/ his mother~]"로 표현했어야 적절합니다.

문장 5

For a child who feels lonely, being scolded is much better than feeling invisible, so he will continue to hit his brother.

주요 단어 정리

  • feel lonely: 외로움을 느끼다
  • scold: 꾸짖다
  • being scold: 꾸중을 듣는 것
  • invisible: 보이지 않는, 존재감이 없는
  • continue: 계속하다
  • continue to 부정사: 계속해서 ~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r a child/ who feels lonely]
  • [아이에게는/ 외로움을 느끼는]
  • being scolded is much better/ than feeling invisible,
  • 꾸중을 듣는 것이 훨씬 낫습니다/ 존재감이 없다고 느끼기보다
  • so/ he will continue to hit/ his brother
  • 그래서/ 그는 계속해서 때릴 것입니다/ 그의 동생을.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a child/ who feels lonely"에서 "who"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that으로 대체가 가능하며, 선행사인 a child를 수식하여 ‘외로움을 느끼는 아이’로 해석합니다. 
  • 교급 강조 부사 "much / even / far / still / a lot"
  • "much better"에서 "much"는 비교급 강조 부사입니다. very, so, too 등과 같은 다른 부사는 사용하지 못하는 것에 유의하세요.
  • "~하기 / ~하는 것"의 의미로 사용된 V-ing(동명사)
  • "than feeling invisible"에서 "feeling"는 "전치사 "than"의 목적어로 사용된 동명사로, "(전재감 없다고) 느끼기"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문장 6

In this case, his mother would be better adopting a different strategy.

주요 단어 정리

  • in this case: 이러한 경우에
  • adopt: 채택하다, 선택하다
  • be better ~ing: ~하는 것이 낫다(비공식적 표현)
  • strategy: 전략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this case,/
  • 이러한 경우에,/
  • his mother would be better adopting/ a different strategy.
  • 그의 어머니는 채택하는 것이 더 낫다/ 다른 전략을

어법 설명

  • "be better ~ing" 표현의 사용과 그 문제점
  • 1. 표현의 비정형성 및 비공식적 성격
  • "be better ~ing" 구문은 문법적으로 다소 비공식적이며, 구어체에서 사용될 수 있으나, 공식적이고 표준화된 문서에서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표준적 표현은 "It would be better to [동사원형]" 형태로, 보다 명확하고 문법적으로 정확하게 사용됩니다.
  • 예시: "His mother would be better adopting a different strategy."는 "It would be better for his mother to adopt a different strategy."로 고쳐서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합니다.
  • 2. 공적인 문서와 시험에서의 사용 규칙
  • 공식 문서(예: 모의고사, 수능, SAT 등)에서는 문법적으로 정확한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러한 문서에서는 학생들의 영어 문법과 사용 능력을 평가하는 데 있어 표준화된 문법을 요구하며, 비공식적이거나 규칙에서 벗어난 표현을 피합니다.
  • SAT나 수능과 같은 표준화된 시험은 특히 문법적 정확성에 높은 비중을 두므로, **"be better ~ing"**와 같은 표현은 출제되지 않으며, **"be better off ~ing"**과 같은 특정 구문이 아닌 한 문법적 오류로 간주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3. 학생들이 주의할 점
  • 학생들은 공식적인 시험이나 글쓰기에서 비어법적이거나 비정형적인 표현을 지양하고, 표준적인 표현을 사용해야 합니다.
  • 이와 같은 경우, "It would be better to [동사원형]" 형태를 선택하는 것이 문법적으로나 의미 전달 측면에서 더욱 적절하며, 시험이나 에세이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더 정확하게 표현하면 “it would be better for his mother to adopt a different strategy“가 적절한 표현입니다.
  • 4. 결론
  • "be better ~ing"와 같은 구문은 구어체에서 사용될 수 있으나, 모의고사와 같은 공식 문서에서는 문법적으로 정확하지 않으므로 지적하고 대체 표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문장 7

For instance, she could congratulate Hugh when he has not hit his brother for a certain length of time.

주요 단어 정리

  • for instance: 예를 들어
  • congratulate: 축하하다, (여기서는) 칭찬하다 (praise)
  • for a certain length of time: 일정 시간 동안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r instance,/
  • 예를 들어,/
  • she could congratulate/ Hugh
  • 그녀는 칭찬할 수 있다/ 휴를
  • [when he has not hit/ his brother/ for a certain length of time:]
  • [그가 때리지 않았다면/ 그의 동생을/ 일정 (길이의) 시간 동안]

어법 설명

  • 조건절의 의미로 사용된 "when+주어+동사"
  • "when he has not hit/ his brother"는 조건절로, 특정 조건이 충족될 때의 상황을 설명합니다.
  • 부적절한 어휘의 사용
  • 문맥상 "congratulate"는 "칭찬하다(praise, compliment)"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폭 넓게는 사용 가능하다 할지라도, "칭찬하다(praise, compliment)"로 변경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문장 8

The mother clearly cannot allow the child to hit his little brother, but instead of constantly pointing out the negatives, she can choose to reward the positives.

주요 단어 정리

  • clearly: 명백하게, 분명하게
  • allow: 허용하다
  • constantly: 끊임없이
  • instead of~: ~대신에
  • point out~: ~을 지적하다
  • negative: 부정적인 점
  • reward: 보상하다
  • positive: 긍정적인 점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mother clearly cannot allow/ the child/ <to hit/ his little brother>,/
  • 어머니는 명백히 허용할 수는 없다/ 그 아이에게/ <때리도록/ 그의 어린 동생을>,/
  • but/ <instead of constantly pointing out/ the negatives>,/
  • 그러나/ <계속해서 지적하는 대신에/ 부정적인 점들을>,/
  • she can choose/ <to reward/ the positives>.
  • 그녀는 선택할 수 있다/ <보상하기로/ 긍정적인 점을>.

어법 설명

  • 5형식 구문 "5형식 동사 + 목적어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allow/ the child/ <to hit/ his little brother>”에서 "allow"는 to 부정사(미래적 의미)를 목적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 전치사구의 목적어로 사용된 동명사[V-ing]
  • <instead of constantly pointing out/ the negatives>”에서 "pointing out"은 전치사구 "instead of"의 목적어로 사용된 동명사로 ‘~하기/~하는 것’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 "can choose/ <to reward/ the positives>"에서 to 부정사구인 "<to reward/ the positives>"는 동사구 "can choose"의 목적어로 사용된 명사적 용법으로 ‘~하기/~하는 것/~할 것’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문장 9

In this way, any parent can avoid trick­punishments.

주요 단어 정리

  • in this way: 이러한 방식으로
  • avoid: 피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this way,/
  • 이러한 방식으로,/
  • any parent can avoid/ trick-punishments.
  • 어떤 부모는 피할 수 있다/ 교묘한 처벌을.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단어 추론

  • 1. (A) 빈칸 추론
  • 문맥상 trick-punishment이 "원하지 않는 행동을 강화"한다는 점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reinforces (강화하다)가 적절합니다.
  • 2. (B) 빈칸 추론
  • 긍정적인 행동을 보상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부정적인 행동을 줄이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에서 reducing (줄이는 것)이 적절합니다.
  • 정답: ① reinforces / reducing

문제 풀이

  •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40번 지문은 전통적인 처벌 방식이 때로는 역효과를 낼 수 있으며, 아이의 행동을 긍정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다른 전략이 필요함을 설명합니다. 빈칸에 들어갈 단어는 부정적인 행동을 강화하는 처벌의 문제점과 긍정적인 보상을 통한 행동 유도 방식의 필요성을 보여줍니다.

정답 제시

  • 정답은 ① reinforces / reducing입니다.

결론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40번 지문은 아이가 부정적인 주의를 얻기 위해 행동을 반복하는 상황에서, 전통적인 처벌 방식이 오히려 아이의 행동을 강화할 수 있음을 설명합니다. 대신,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하는 보상 방식을 통해 아이의 행동을 바람직하게 유도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이 문제 유형의 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요약문의 빈칸에 들어갈 어휘를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찾는 훈련을 하게 될 것이고 요약문의 구조도 이해하는 시간을 갖게 될 것입니다.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적 차이와 수식 구조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이 독자의 영어 독해력 향상을 지원하여 문장의 구조적 이해를 강화하는데 항상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