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이 지문은 인간이 사물과 사건에 목적을 부여하고 의도를 추정하는 경향이 진화적 생존 메커니즘에서 비롯되었음을 설명합니다. 특히, 인간이 모호한 상황에서 의도나 에이전시를 탐지하려는 경향이 생존과 밀접하게 연관된 이유에 대해 다룹니다.

이번 유형의 문제 해결 Tip은 “위에서 아래로” 독해를 하면서 글의 핵심 주장이나 내용을 찾고 그 내용에서 벗어나는 어휘를 찾음과 동시에 핵심 주장이나 내용을 통해 글에 가장 어울리는 제목을 찾는 것입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의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 설명 및 어법 설명과 함께 제공되는 문제를 푸는 상세 Tip은 구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독해력에 기반을 둔 단서 찾기가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접근법을 제공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41~4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From an early age, we assign purpose to objects and events, preferring this reasoning to random chance. Children assume, for instance, that pointy rocks are that way because they don’t want you to sit on them. When we encounter something, we first need to (a) determine what sort of thing it is. Inanimate objects and plants generally do not move and can be evaluated from physics alone. However, by attributing intention to animals and even objects, we are able to make fast decisions about the (b) likely behaviour of that being. This was essential in our hunter­gatherer days to avoid being eaten by predators.

 The anthropologist Stewart Guthrie made the point that survival in our evolutionary past meant that we interpret ambiguous objects as agents with human mental characteristics, as those are the mental processes which we understand. Ambiguous events are caused by such agents. This results in a perceptual system strongly (c)resistant towards anthropomorphism. Therefore, we tend to assume intention even where there is none. This would have arisen as a survival mechanism. If a lion is about to attack you, you need to react (d) quickly, given its probable intention to kill you. By the time you have realized that the design of its teeth and claws could kill you, you are dead. So, assuming intent, without detailed design analysis or understanding of the physics, has (e) saved your life.

* ambiguous: 모호한 ** anthropomorphism: 의인화

41.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① Agency Detection: Inherited from Survival Mechanism

② How Humans’ Perceptual System Is Operated for Hunting

③ Hiding Intentions: The Unique Trait of Human Mentality

④ Our Ambiguous Intention Makes Understanding Confusing

⑤ How We Interpret Animate and Inanimate Objects Differently

42 밑줄 친 (a)~(e) 중에서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문장별 분석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From an early age, we assign purpose to objects and events, preferring this reasoning to random chance.

주요 단어 정리

  • from an early age: 어린 시절부터 (동의어: attribute, designate / 반의어: remove)
  • assign: 부여하다 (동의어: attribute, designate / 반의어: remove)
  • purpose: 목적 (동의어: intent, goal / 반의어: randomness)
  • prefer: 선호하다 (동의어: favor, choose / 반의어: reject)
  • prefer A to B: B보다 A를 선호하다
  • reasoning: 추론 (동의어: logic, thought process / 반의어: irrationality)
  • random chance: 무작위적인 우연

청크 분석

  • From an early age/
  • 어린 시절부터/
  • we assign/ purpose/ <to objects and events>/
  • 우리는 부여한다/ 목적을/ <사물과 사건에>/
  • <preferring/ this reasoning/ to random chance>.
  • <선호하면서/ 이런 추론을/ 무작위적인 우연보다>.

어법 설명

  • 특별히 설명이 필요한 어법 내용이 없습니다.

문장 2

Children assume, for instance, that pointy rocks are that way because they don’t want you to sit on them.

주요 단어 정리

  • assume: 추정하다 (동의어: presume, suppose / 반의어: doubt)
  • pointy: 뾰족한 (동의어: sharp / 반의어: rounded)
  • for instance: 예를 들어 (동의어: for example)
  • be that way: ~한 상태이다 (동의어: appear so)

청크 분석

  • Children assume,/ for instance,/ [that pointy rocks are that way]/
  • 아이들은 추정한다/ 예를 들어/ [뾰족한 바위들이 그런 식으로 있다고]/
  • [because they don’t want/ you/ <to sit/ on them>].
  • [왜냐하면 그것들이 원치 않기 때문에/ 당신에사/ <앉기를/ 그것을 위에>].

어법 설명

  • 접속부사 for instance
  • "예를 들어"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장 내에서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된 경우, 내신에서는 여전히 출제 대상입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라고 / ~라는 것을"
  • "assume,/ for instance,/ [that pointy rocks are that way]"에서 "that"은 동사 "assume"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입니다.
  • 이유/원인 부사절[because+주어+동사]
  • ‘(왜냐하면) ~하기[~이기] 때문에’로 해석되는 이유/원인의 부자절입니다.
  • 5형식 "5형식 동사(want) + 목적어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want/ you/ <to siton them>"에서 사용된 어법. "want"는 "to 부정사(대부분 미래적 의미)"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대부분 시험은 목적격 보어를 다른 형태로 변형하여 어법적 적절성 여부를 묻는 문제로 줄제합니다.

문장 3

When we encounter something, we first need to (a) determine what sort of thing it is.

주요 단어 정리

  • encounter: 마주치다 (동의어: meet, come across / 반의어: avoid)
  • need to 부정사: ~해야 하다, ~할 필요가 있다
  • determine: 결정하다, 알아내다 (동의어: identify, establish / 반의어: overlook)
  • what sort of~:  무슨[어떤] 종류의~

청크 분석

  • [When we encounter/ something],/
  • [우리가 마주칠 때/ 무언가를]
  • we first need to determine/
  • 우리는 먼저 결정해야 한다/
  • [what sort of thing it is].
  • [그것이 어떤 종류의 것인지를].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when+주어+동사]
  • "~할 때"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간접 의문문[의문사+주어+동사]
  • "[what sort of thing it is]"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사용될 때 취하는 어순으로 “의문사+주어+동사“의 어순입니다. 여기서는 동사 "determine"의 목적어 역할을 합니다.
  • 어휘의 적절성 판단 (a)
  • (a) ”determine“은 ”적절하다“의 의미로 문맥상 적절합니다.

문장 4

Inanimate objects and plants generally do not move and can be evaluated from physics alone.

주요 단어 정리

  • inanimate: 무생물의 (동의어: lifeless / 반의어: animate)
  • inanimate object: 무생물
  • generally: 일반적으로
  • move: 움직이다
  • evaluate: 평가하다 (동의어: assess, judge / 반의어: ignore)
  • physics: 물리학/(여기서는) 물리적 현상(→physical phenomena)
  • ~ alone: ~만으로

청크 분석

  • <Inanimate objects and plants>/
  • <무생물과 식물은>/
  • <generally do not move>/ and/ <can be evaluated/ from physics alone>.
  • <일반적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그리고/ <평가될 수 있다/ 물리적 현상만으로도>.

어법 설명

  • 두 개의 동사구의 병렬 연결
  • 두 개의 동사구, "<generally do not move>"와 "<can be evaluatedfrom physics alone>"를 등위 접속사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주어 "<Inanimate objects and plants>"의 행위와 상태를 나타냅니다.
  • 수동태[be+pp]
  • ‘"can be evaluated"는 "평가될 수 있다"의 의미를 전달하는 수동태.
  • 부적절한 어휘의 사용
  • 문맥상 "physics(물리학)"를 "물리적 현상(physical phenomena)"의 의미로 사용했습니다. 문맥에 맞게 "physics(물리학)"는 "물리적 현상(physical phenomena)"으로 변경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문장 5

However, by attributing intention to animals and even objects, we are able to make fast decisions about the (b) likely behaviour of that being.

주요 단어 정리

  • by ~ing: ~함으로써, ~하는 것에 의해
  • attribute: 부여하다 (동의어: ascribe, assign / 반의어: disregard)
  • attribute A to B: A를 B에게 할당하다 (동의어: assign A to B, give A to B)
  • intention: 의도 (동의어: purpose, goal)
  • be able to 부정사: ~할 수 있다
  • fast decisions: 빠른 결정
  • make fast decisions: 빠른 결정을 내리다
  • likely: 가능성이 높은 (동의어: probable / 반의어: unlikely)
  • behaviour: 행동 (동의어: action, conduct)
  • being: 존재

청크 분석

  • However,/
  • 그러나,/
  • [by attributing/ intention/ <to animals and even objects>],/
  • [할당(부여)함으로써/ 의도를/ <동물들과 심지어 사물들에게>,/
  • 동물들과 심지어 사물들에게
  • we are able to make/ [fast decisions/ <about the likely behaviour/ of that being>]. 
  • 우리는 내릴 수 있다/ [빠른 의사결정을/ <그 가능성 높은 행동에 관한/ 그 존재의>].

어법 설명

  • 접속부사 "however"
  • 문장 내에서 "그러나 / 하지만"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by attributing/ intention“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는 "부어혐으로써"로 의역됩니다.
  • likely behaviour
  • "가능성이 높은 행동"을 의미하며, 문맥상 생존과 관련된 빠른 판단을 내리기 위한 요소로 설명됩니다.
  • 어휘의 적절성 판단 (b)
  • (a) ”likely“은 ”가능성 높은“의 의미로 문맥상 적절합니다.

문장 6

This was essential in our hunter­gatherer days to avoid being eaten by predators.

주요 단어 정리

  • essential: 필연적인, 필수적인 (동의어: crucial, necessary / 반의어: nonessential)
  • hunter-gatherer: 수렵 채집인
  • predator: 포식자 (동의어: hunter / 반의어: prey)
  • avoid:  피하다 (동의어: evade, escape / 반의어: confront)

청크 분석

  • This was essential/ in our hunter-gatherer days/
  • 이것은 필연적이었다/ 우리의 수렵 채집 시절에는/
  • [to avoid/ <being eaten/ by predators>].
  • [피하기 위해서/ <잡아먹히는 것을/ 포식자에 의해>].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중 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avoid/ <being eatenby predators>]"에서 사용된 어법. "피하기 위해서"의 의미를 전달.
  • being eaten[수동형 동명사]
  • 수동형 동명사로, "잡아 먹히는 것"을 의미합니다.
  • 주제 추론
  • "모든 사물에 의도(intention)를 부여하는 것이 생존의 본능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이 글의 주장이자 주제에 해당합니다. 보기 중 이에 가장 부합하는 내용은 ”① Agency Detection: Inherited from Survival Mechanism(생존 메커니즘으로부터 물려받은 Agency(의도) 감지)“ 여기서, 문맥상, 출제자는 "Agency(기능, 작용, 행동, 매개(자) 등)"를 "의도(Intention)"으로 사용하였으나 지문에 사용되었거나 동의어에 해당하는 "intention", "intent", "purpose" 등으로 변경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문장 7

The anthropologist Stewart Guthrie made the point that survival in our evolutionary past meant that we interpret ambiguous objects as agents with human mental characteristics, as those are the mental processes which we understand.

주요 단어 정리

  • anthropologist: 인류학자
  • make the point that~: ~라고 주장하다/~라고 강조하다
  • survival: 생존 (동의어: endurance / 반의어: extinction)
  • evolutionary past: 진화적 과거
  • interpret: 해석하다 (동의어: perceive, understand / 반의어: misunderstand)
  • ambiguous: 모호한 (동의어: unclear / 반의어: clear)
  • agent: 행위자 (동의어: actor, entity)
  • characteristic: 특징 (동의어: trait, feature)
  • mental process: 정신적 과정

청크 분석

  • <The anthropologist/ Stewart Guthrie>/ made the point/
  • <인류학자인/ 스튜어트 거스리는>/ 주장했다/
  • [that <survival/ in our evolutionary past>/ meant[that we interpret/ ambiguous objects/ <as agents/ with human mental characteristics>]]/
  • [<생존이/ 우리의 진화적 과거에서의>/ 의미했다고/ [우리가 해석한다는 것을/ 모호한 사물들을/ <행위자로/ 인간의 정신적 특징을 지닌>]]/
  • [as those are [the mental processes/ which we understand]].
  • [왜냐하면 그것들이 [정신적 과정들이기 때문에/ 우리가 이해하는]].

어법 설명

  • 제 1 목적절[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
  • "made the point[that <survivalin our evolutionary past>/ meant/~]"에서 "that"은 타동사구 "made the point"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고/~라는 것을’로 해석됩니다.
  • 제 2 목적절[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
  • "meant[that we interpret/ ambiguous objects/ <as agents/ with human mental characteristics>]"에서 "that"도 타동사 "meant"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 이유 원인의 접속사 as+주어+동사
  • 이 문장에서는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as+주어+동사“는 문장 내에서 여러 의미를 전달합니다. 여기서는 ‘왜냐하면 ~하기 때문에’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 "[the mental processes/ which we understand]"에서 "which"는 선행사인, "the mental processes"를 수식하여 "우리가 이해하는 정신적 과정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that"으로 대치가 가능합니다. 또한 언제든 생략 가능합니다.

문장 8

Ambiguous events are caused by such agents.

주요 단어 정리

  • ambiguous: 모호한 (동의어: unclear / 반의어: definite)
  • event: 사건 (동의어: occurrence / 반의어 없음)
  • cause: 야기하다 (동의어: bring about, generate / 반의어: prevent)
  • agent: 행위자

청크 분석

  • Ambiguous events are caused/ by such agents.
  • 모호한 사건들은 야기된다/ 그러한 행위자들에 의해.

어법 설명

  • 수동태[be+pp+by 행위자]
  • "are caused"에서 사용된 어법. "유발된다"의 의미를 전달.

문장 9

This results in a perceptual system strongly (c)resistant towards anthropomorphism.

주요 단어 정리

  • result in~: ~을 초래하다
  • perceptual system: 지각 체계
  • strongly: 강하게
  • resistant towards~: ~에 저항하는
  • anthropomorphism: 의인화(비인간적 존재나 사물을 인간처럼 보는 것)

청크 분석

  • This results in/
  • 이것은 초래한다/
  • <a perceptual system/ (which or that are) strongly resistant/ towards anthropomorphism>.
  • <지각 체계를/ 강하게 저항하는/ 의인화에>.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의 생략
  • "<a perceptual system/ (which or that are) strongly resistant/ towards anthropomorphism>"는 "a perceptual system"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가 생략된 구조로도 볼 수 있습니다.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는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어휘의 적절성 판단 (c)
  • 이 이전까지 생존을 위해 모든 생물과 무생물에게 의도가 있다고 추정하는 것이 생존과 직결되는 것임을 일관되게 진술했습니다. 따라서, "resistant(저항하는)"는 "inclined(기울어진)"나 "biased(편향된)"의 의미로 변경되어야 적절합니다.

문장 10

Therefore, we tend to assume intention even where there is none.

주요 단어 정리

  • therefore: 따라서, 그러므로
  • tend to 부정사: ~하는 경향이 있다
  • assume: 추정하다 (동의어: suppose / 반의어: doubt)
  • intention: 의도 (동의어: purpose / 반의어: accident)
  • none: 없음

청크 분석

  • Therefore,/
  • 따라서,/
  • we tend to assume/ intention/
  • 우리는 추정하는 경향이 있다/ 의도를
  • [even where there is none].
  • [심지어 (아무런 의도가) 없는 곳에서 조차도].

어법 설명

  • 접속부사 "therefore"
  • 문장 내에서 "따라서 / 그러므로"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선행사가 생략된 관계부사절
  • "even (the place)/ where there is none (of intention)"의 경우 선행사인 the place가 생략된 관계부사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또한 문맥상 none 뒤에는 (of intention)이 생략된 것으로 보아도 무방합니다.

문장 11

This would have arisen as a survival mechanism.

주요 단어 정리

  • arise: 발생하다 (동의어: emerge, come up / 반의어: disappear)
  • survival mechanism: 생존 메커니즘

청크 분석

  • This would have arisen/ as a survival mechanism.
  • 이것은 발생했을 것이다/ 생존 메커니즘으로서

어법 설명

  • 가정법 과거완료
  • "would have arisen"은 과거의 가능성, 과거 사실의 반대, 과거의 소망을 나타내는 가정법입니다.

문장 12

If a lion is about to attack you, you need to react (d) quickly, given its probable intention to kill you.

주요 단어 정리

  • be about to~: 막 ~하려 하다
  • attack: 공격하다 (동의어: assault / 반의어: defend)
  • react: 반응하다 (동의어: respond / 반의어: ignore)
  • quickly: 빠르게 (동의어: swiftly / 반의어: slowly)
  • given~: ~을 고려하여 (동의어: considering)
  • probable: 가능성이 높은 (동의어: likely / 반의어: improbable)

청크 분석

  • [If a lion is about to attack/ you]
  • [만약 사자가 막 공격하려 한다면/ 당신을]
  • you need to react/ quickly
  • 당신은 반응해야 한다/ 빠르게
  • [given its probable intention/ <to kill/ you>].
  • [그것의 가능성 높은 의도를 고려하여/ <죽일/ 당신을>].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if+주어+동사]
  • ‘~한다면’의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be about to~"는 곧 발생할 동작을 나타냅니다.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하기 위한”
  • its probable intention/ <to kill/ you>”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 “its probable intention”를 수식하여 "당신을 죽일 그것의 가능성 높은 의도"의 의미를 전달.

문장 13

By the time you have realized that the design of its teeth and claws could kill you, you are dead.

주요 단어 정리

  • by the time (when)~: ~할 때쯤
  • realize: 깨닫다 (동의어: recognize, perceive / 반의어: ignore)
  • design: 구조 (동의어: structure)
  • teeth and claws: 이빨과 발톱
  • be dead: 죽다

청크 분석

  • [By the time/ (when) you have realized/ [that [the design/ <of its teeth and claws>]/ could kill/ you]],/
  • [그때쯤에/ 당신이 깨달았을/ [[구조가/ <그것의 이빨과 발톱의>]/ 죽일 수 있다는 것을/ 당신을]],/
  • you are dead.
  • 당신은 (이미) 죽어 있다.

어법 설명

  • 관계부사 when의 생략
  • "the time/ (when) you have realized/~"에서 생략된 관계부사 "(when)"은 선행사인, the time을 수식하여 "당신이 깨달았을 그때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관계부사+완전한 문장“이을 기억하세요.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have realized[that [the design/ <of its teeth and claws>]could kill/ you]"에서 "that"은 동사구, "have realized"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문장 14

So, assuming intent, without detailed design analysis or understanding of the physics, has (e) saved your life.

주요 단어 정리

  • assume: 추정하다 (동의어: suppose / 반의어: doubt)
  • intent: 의도
  • detailed: 상세한 (동의어: thorough / 반의어: general)
  • analysis: 분석
  • understanding: 이해 (동의어: comprehension / 반의어: misunderstanding)
  • save: 구하다 (동의어: rescue / 반의어: endanger)

청크 분석

  • So,/
  • 그래서,/
  • [assuming/ intent/ [without [<detailed design analysis> or <understanding/ of the physics>]]]/
  • [추정하는 것이/ 의도를/ [<세부적인 설계 분석>이나 <이해 없이/ 물리적 현상에 대한>] ]]/

  • has saved/ your life.
  • 구했다/ 당신의 생명을.

어법 설명

  • 주어로 사용된 동명사[수의 일치]
  • "[assuming/ intent/~]"에서 "assuming"은 주어로 사용되었고 ‘~하는 것/~하기’로 해석되며 단수 취급하기에 이 문장의 동사인 "has saved(단수)"로 수일치 되었음에 유의하세요.
  • 현재완료 시제[have(has)+pp]
  • ’과거부터 현재 사이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를 나타냅니다.
  • 시제의 오류 가능성- 직설법이 아닌 가정법
  • "[If a lion is about to attack you, you need to react (d) quickly, given its probable intention to kill you. By the time you have realized that the design of its teeth and claws could kill you, you are dead.]"까지의 문장은 직설법보다는 현실적으로 일어날 가능성이 없는 것을 예를 들었기에 엄밀하게는 가정법 과거로 표현야했어 적절합니다. 다만, 지문을 변경하는데 시간이 걸리기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만으로 갈무리하고자 합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모든 사물에게 의도를 부여하는 것이 생존 본능의 메커니즘에서 비롯되었다”

1. 제목 선택 문제

문제 분석

  • 지문은 인간이 의도와 에이전시를 추정하는 본능이 생존 메커니즘에서 비롯되었음을 설명합니다. 가장 적절한 제목은 ① Agency Detection: Inherited from Survival Mechanism으로, 인간의 생존 메커니즘에 기반한 에이전시 탐지에 대한 내용을 다룹니다.
  • 정답: ①

2. 낱말의 쓰임 문제

문제 분석

  • (a)~(e) 중에서 문맥상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단어를 찾습니다.
  • (c) resistant towards anthropomorphism는 문맥상 "강하게 저항하는"이 아니라 "의인화에 대한 경향이 강한"의 의미가 되어야 합니다.
  • 따라서 “resistant” 대신 "inclined(기울어진)"나 ”biased(편향된)“과 같은 표현이 적절합니다.
  • 정답: ③

결론

2024년 10월 고1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은 인간이 모든 생물과 무생물에 특정한 의도가 있다고 추정하는 본능이 생존 메커니즘에서 비롯되었음을 설명합니다. 글의 의도나 주제에 맞게 글의 제목도 또한 지문을 구성하는 어휘의 적절성 여부도 이를 통해 판단됩니다. 

이 문제 유형의 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글의 제목과 어휘의 적절성 여부에 대한 판단을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찾는 훈련을 하게 될 것이고 전체적인 지문의 내용 및 구조도 이해하는 시간을 갖게 될 것입니다.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이 독자의 영어 독해력 향상을 지원하여 문장의 구조적 이해를 강화하는데 항상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