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41번과 42번 문제는 인간의 유전체 복제 과정에서 발생하는 돌연변이와 그 결과를 설명하는 글입니다. 지문은 유전체 복제 시 발생하는 오류와 그 누적적 특성을 중세 책의 필사 과정에 비유하며, 돌연변이가 어떻게 세포에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지문을 통해 유전체 복제의 한계와 돌연변이의 축적 과정, 그리고 세포 분화와의 연관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번 유형의 문제 해결 Tip은 “위에서 아래로” 독해를 하면서 글의 핵심 주장이나 내용을 찾고 그 내용에서 벗어나는 어휘를 찾음과 동시에 핵심 주장이나 내용을 통해 글에 가장 어울리는 제목을 찾는 것입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적 차이와 수식 구조의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 설명 및 어법 설명과 함께 제공되는 문제를 푸는 Tip은 구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독해력에 기반을 둔 단서 찾기가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접근법을 제공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41~4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In each round of genome copying in our body, there is still about a 70 percent chance that at least one pair of chromosomes will have an error. With each round of genome copying, errors (a) accumulate. This is similar to alterations in medieval books. Each time a copy was made by hand, some changes were introduced accidentally; as changes stacked up, the copies may have acquired meanings at (b) variance with the original. Similarly, genomes that have undergone more copying processes will have gathered more mistakes. To make things worse, mutations may damage genes responsible for error checking and repair of genomes, further (c) accelerating the introduction of mutations. 

 Most genome mutations do not have any noticeable effects. It is just like changing the i for a y in “kingdom” would not (d) guarantee the word’s readability. But sometimes a mutation to a human gene results in, for example, an eye whose iris is of two different colors. Similarly, almost everyone has birthmarks, which are due to mutations that occurred as our body’s cells multiplied to form skin. If mutations are changes to the genome of one particular cell, how can a patch of cells in an iris or a whole patch of skin, consisting of many individual cells, be affected simultaneously? The answer lies in the cell lineage, the developmental history of a tissue from particular cells through to their fully differentiated state. If the mutation occurred early on in the lineage of the developing iris, then all cells in that patch have (e) inherited that change.

* chromosome: 염색체 ** iris: 홍채

41.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The Later Mutations Are Introduced, the More Radical Changes Occur

② Why It Is Impossible for Our Body to Copy Genomes Perfectly

③ Survival of Wrong Cells: The Cause of Irresolvable Diseases

④ Our Genes, Surprisingly Incompetent at Self-Correction

⑤ What Happens When Genomic Mutations Pile Up?

42. 밑줄 친 (a)~(e) 중에서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3점]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문장별 분석

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In each round of genome copying in our body, there is still about a 70 percent chance that at least one pair of chromosomes will have an error.

주요 단어 정리

  • round: 한 번의 과정, 회차 (동의어: cycle, session / 반의어: pause, break)
  • genome copying: 유전체 복제
  • ~% percent chance: ~%의 확률
  • chromosome: 염색체 (동의어: genetic material / 반의어: 없음)
  • error: 오류 (동의어: mistake, fault / 반의어: accuracy, precisio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each round/ <of genome copying/ in our body>],/
  • [각 과정에서/ <유전체 복제의/ 우리 몸 내에서의],/
  • there is still/ [about a 70 percent chance/ that <at least one pair/ of chromosomes>/ will have/ an error].
  • 여전히 있다/ [약 70%의 확률이/ <적어도 한 쌍의/ 염색체가>/ 가질 것이라는/ 오류를].

어법 설명

  • 동격절[명사절]의 that 절
  • "[about a 70 percent chance/ that <at least one pairof chromosomes>/ will have/ an error]"에서 "that"는 "about a 70 percent chance"를 설명하는 동격절이며, “~라는"의미를 전달합니다.

문장 2

With each round of genome copying, errors (a) accumulate.

주요 단어 정리

  • accumulate: 축적되다, 쌓이다 (동의어: gather, collect / 반의어: disperse, dissipat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ith each round/ of genome copying>,/
  • <각각의 과정과 함께(과정이 진행될 때마다)/ 각각의 각 유전체 복제의>,/
  • errors accumulate.
  • 오류가 축적됩니다.

어법 설명

  • 특별히 언급할 어법 내용이 없습니다.
  • 어휘의 적절성 확인 (a)
  • "accumulate"는 "오류가 쌓인다"는 의미를 전달하고 있어 문맥상 적절한 표현입니다.
  • 여기까지의 내용 종합
  • "유전체 복제 과정에서 에러가 누적된다는 것"

문장 3

This is similar to alterations in medieval books.

주요 단어 정리

  • similar to~: ~와 유사한 (동의어: alike, comparable / 반의어: different, distinct)
  • alteration: 변화, 수정 (동의어: modification, change / 반의어: preservation, consistency)
  • medieval: 중세의 (동의어: Middle Ages / 반의어: moder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is similar/ <to alterations/ in medieval books>.
  • 이것은 유사합니다/ <수정(들)과/ 중세 책들 내에서의>.

어법 설명

  • 특별히 언급할 어법 내용이 없습니다.

문장 4

Each time a copy was made by hand, some changes were introduced accidentally; as changes stacked up, the copies may have acquired meanings at (b) variance with the original.

주요 단어 정리

  • each time (when)~: 매번 ~할 때마다 (동의어: whenever / 반의어: 없음)
  • by hand: 사람 손으로
  • introduce: 도입하다, 발생시키다 (동의어: initiate, bring in / 반의어: eliminate, remove)
  • accidentally: 우연히, 의도치 않게 (동의어: by chance, inadvertently / 반의어: deliberately, intentionally)
  • stack up: 쌓이다 (동의어: accumulate, pile up / 반의어: scatter, disperse)
  • acquire: 얻다, 획득하다 (동의어: gain, obtain / 반의어: lose, give away)
  • variance: 차이, 불일치 (동의어: discrepancy, difference / 반의어: consistency, agreement)
  • at variance with~: ~와 불일치 하는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ach time/ (when) a copy was made/ by hand],/
  • 매번/ 필사본이 만들어질 때마다/ (사람) 손에 의해,/
  • some changes were introduced/ accidentally/
  • 몇몇 변화가 도입되었습니다/ 의도치 않게/
  • ;/ [as changes stacked up],/
  • 즉/ [변화가 쌓임에 따라서],/
  • the copies may have acquired/ [meanings/ <at (b) variance/ with the original>].
  • 필사본들은 획득할 수도 있었습니다/ [의미들을/ <불일치 하는/ 원본과>].

어법 설명

  • 관계부사 when의 생략
  • "[Each time/ (when) a copy was madeby hand]"에서 생략된 ""는 시간의 선행사, "Each time"을 수식하여 "사람 손에 의해 필사본이 만들어질 때마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관계부사는 생략이 가능하며, ”관계부사+완전한 문장“의 관계를 기억해야 합니다.
  • 수동태[be + pp]
  • "was made"와 "were introduced"는 각각 "만들어졌던"와 "도입되었다"의 의미를 전달하는 수동태입니다.
  • 점진적 변화의 의미를 전달하는 시간의 부사절[as+주어+동사]
  • "[as changes stacked up]"는 시간에 따른 점진적 변화를 나타내는 부사절로 "~함에 따라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가정법 과거완료적 표현 may have+pp
  • “~이었을지도 모른다”는 의미를 전달하는 표현입니다.
  • 어휘의 적절성 확인 (b)
  • "variance"는 "원본과의 불일치"를 표현하고 있어 문맥상 적절합니다.
  • 여기까지의 내용 종합
  • "유전체 복제 과정에서 에러가 누적되는 것"과 "중세 책에서 수기로 필사본을 만드는 과정에서 일어났던 오류가 원본과 불일치하는 새로운 의미를 획득한 것"을 비교합니다.

문장 5

Similarly, genomes that have undergone more copying processes will have gathered more mistakes.

주요 단어 정리

  • similarly: 마찬가지로 (동의어: likewise, in the same way / 반의어: differently)
  • undergo: 겪다, 경험하다 (동의어: experience, endure / 반의어: avoid)
  • gather: 모으다, 축적하다 (동의어: collect, accumulate / 반의어: disperse, scatter)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imilarly,/
  • 마찬가지로,/ 
  • [genomes/ that have undergone/ more copying processes]/
  • [유전체들은/ 겪었던/ 더 많은 복제 과정을]/
  • will have gathered/ more mistakes.
  • 축적하게 될 것입니다/ 더 많은 오류를.

어법 설명

  • 접속부사 Similarly
  • "마찬가지로 / 유사하게"의 의미를 전달하며, 현재는 내신에서만 출제되지만,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될 수 있음에 유의하세요.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genomesthat have undergone/ more copying processes]"에서 “that”은 선행사인 “genomes”를 수식하여 "더 많은 복제 과정을 겪었던 유전체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관계대명사+불완전한 문장”의 관계를 기억하세요.
  • 현재완료 시제[have +pp]
  • "have undergone"은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결과를 나타냅니다.

문장 6

To make things worse, mutations may damage genes responsible for error checking and repair of genomes, further (c) accelerating the introduction of mutations.

주요 단어 정리

  • make things worse: 상황을 더 악화시키다 (동의어: worsen the situation / 반의어: improve the situation)
  • to make things worse: 설상가상으로[독립 부정사]
  • mutation: 돌연변이
  • damage: 손상시키다 (동의어: harm, impair / 반의어: repair, restore)
  • responsible for~: ~에 책임이 있는 (동의어: in charge of, accountable for / 반의어: unaccountable for)
  • further: 더더욱, 더욱이, 더군다나
  • accelerate: 가속하다 (동의어: hasten, speed up / 반의어: slow down, decelerat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o make things worse,/
  • 설상가상으로,/
  • mutations may damage/
  • 돌연변이는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 [genes/ (which or that are) responsible/ [<for error checking and repair>/ of genomes]],/
  • [유전자들을/ 담당하는/ [<오류 검사와 복구를>/ 유전체의]],/
  • [further (c) accelerating/ <the introduction/ of mutations>].
  • [더더욱 가속하면서/ <도입을/ 돌연변이의>].

어법 설명

  • 독립 부정사
  • "To make things worse"는 독립 부정사로 “설상가상으로, 엎친 데 덮친 겪으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의 생략
  • "[genes/ (which or that are) responsible/ [<for error checking and repair>/ of genomes]]"에서 "gene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인 "(which or that are)"가 생략된 구문과 동일합니다. 문장 내에서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는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분사 구문
  • "[further (c) accelerating/ <the introduction/ of mutations>]"는 "[while they further accelerate/~]"의 종속절에서 접속사(while)와 주어(they=genes)가 생략되고 동사인 "accelerate"가 "accelerating"으로 변경된 분사 구문입니다. 
  • 어휘의 적절성 확인 (c)
  • "accelerating"은 "가속하는" 의미를 전달하고 있어 문맥상 적절합니다.

문장 7

Most genome mutations do not have any noticeable effects.

주요 단어 정리

  • most: 대부분의 (동의어: majority of, almost all / 반의어: few, minority of)
  • genome mutation: 유전체 돌연변이
  • noticeable: 눈에 띄는, 두드러지는 (동의어: apparent, evident / 반의어: subtle, unnoticeable)
  • effect: 효과, 영향 (동의어: impact, result / 반의어: cause, origi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ost genome mutations do not have/
  • 대부분의 유전체 돌연변이들은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 any noticeable effects.
  • 어떠한 눈에 띄는 영향들도.

어법 설명

  • 특별히 언급할 어법 내용이 없습니다.
  • 현재까지의 내용 종합
  • "게놈도 변화가 누적될수록 오류가 누적된다는 것"과 "돌연변이의 경우 게놈의 오류 검사와 복구를 담당하는 유전자를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것", 하지만, "게놈 돌연변이는 눈에 띄는 영향이 없다는 것"입니다.

문장 8

It is just like changing the i for a y in “kingdom” would not (d) guarantee the word’s readability.

주요 단어 정리

  • just like~: 마치 ~와 같은/비슷한 (동의어: similar to, comparable to / 반의어: unlike)
  • it is just like (that)~: 마치 ~하는 거와 같다[비슷하다]
  • guarantee: 보장하다 (동의어: assure, ensure / 반의어: deny, invalidate)
  • readability: 가독성, 읽기 쉬움 (동의어: legibility, clarity / 반의어: illegibility, obscurit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t is just like/
  • 그것은 마치 비슷합니다/
  • [(that) <changing/ the i/ for a y/ in “kingdom”>/ would not (d) guarantee/ the word’s readability].
  • [<바꾸는 것이/ i를/ y로/ “kingdom”에서>/ 보장하지 못할 거라는 것과/ 그 단어의 가독성을].

어법 설명

  • It(가주어) ~ that 절(진주어)
  • "It is just like[(that) <changing/ the i/ for a y/ in “kingdom”>/ would not (d) guarantee/ the word’s readability]"에서 "It"는 가주어로, "(that) 절"은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 가정법 과거적 표현
  • "would not (d) guarantee"는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상황을 설명하며, 돌연변이가 반드시 지각 가능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비유적으로 보여줍니다.
  • 어휘의 적절성 확인 (d)
  • "guarantee"는 문맥상 적절하지 않습니다. 의미적으로는 "보장한다"의 의미가 와야하는데, not이 있으므로 대체 표현이 필요합니다. 적절한 반대 표현은 deny나 invalidate, 또는 distort(왜곡하다) 정도가 적절해 보입니다.

문장 9

But sometimes a mutation to a human gene results in, for example, an eye whose iris is of two different colors.

주요 단어 정리

  • result in~: ~을 초래하다 (동의어: lead to, cause / 반의어: prevent, avoid)
  • iris: 홍채
  • be of~: ~로 (구성) 되다
  • different: 다른 (동의어: distinct, dissimilar / 반의어: similar, identical)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sometimes/
  • 그러나/ 때로는/
  • <a mutation/ to a human gene>/ results in,/
  • <돌연변이가/ 인간 유전자에 대한>/ 초래합니다,/
  • for example,/ [an eye/ whose iris is of two different colors].
  • 예를 들어,/ [눈을/ 그것의 홍채가 두 가지 서로 다른 색으로 된].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문장의 주어는 "a mutation"은 단수이며, 따라서, 동사구도 단수 형태인, "results in".
  • 접속부사 구 for example
  • "예를 들어"의 의미를 전달하며 현재는 내신에서만 출제되지만,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될 수 있음에 유의하세요.
  • 소유격 관계대명사 whose
  • "[an eye/ whose iris is of two different colors]"에서 "whose"는 선행사인 "iris"를 수식하며 "그것의 홍채가"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장 10

Similarly, almost everyone has birthmarks, which are due to mutations that occurred as our body’s cells multiplied to form skin.

주요 단어 정리

  • similarly: 마찬가지로 (동의어: likewise, in the same way / 반의어: differently)
  • be due to~: ~ 때문이다
  • occur: 발생하다, 일어나다
  • birthmark: 출생반, 점
  • multiply: 증식하다 (동의어: reproduce, proliferate / 반의어: decrease, diminish)
  • form: 형성하다 (동의어: create, develop / 반의어: dissolve, break dow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imilarly,/
  • 마찬가지로,/
  • almost everyone has/ birthmarks/
  • 거의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습니다/ 출생반을/
  • , which [are due to mutations/ that occurred/ [as our body’s cells multiplied/ <to form/ skin>]].
  • 그리고 그것은 [돌연변이 때문입니다/ 발생했던/ [우리 몸의 세포들이 증식했을 때/ <형성하기 위해서/ 피부를>]].

어법 설명

  • 접속부사 Similarly
  • "마찬가지로 / 유사하게"의 의미를 전달하며, 현재는 내신에서만 출제되지만,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될 수 있음에 유의하세요.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comma(,) which
  • 앞의 선행사 "birthmarks"를 수식하며, “접속사+대명사”로 해석하며 출생반이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했음을 설명합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의 that
  • mutations/ that occurred[as our body’s cells multiplied/ <to form/ skin>]”에서 "that"은 주격 관계대명사로 선행사인 "mutations"를 수식하여 "피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우리 몸의 세포들이 증식했을 때 발생했던 돌연변이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시간의 부사절[as+주어+동사]
  • "[as our body’s cells multiplied/ <to form/ skin>]"는 ‘~할 때’를 의미하는 시간의 부사절입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form/ skin>"에서 "to form"은 ‘형성하기 위해서’로 해석됩니다.
  • 현재까지의 내용 종합
  • "때때로 인간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변화를 초래할 수도 있다".

문장 11

If mutations are changes to the genome of one particular cell, how can a patch of cells in an iris or a whole patch of skin, consisting of many individual cells, be affected simultaneously?

주요 단어 정리

  • patch: 부분, 작은 영역 (동의어: area, section / 반의어: 전체)
  • consist of~: ~으로 구성되다 (동의어: be composed of, include / 반의어: exclude)
  • simultaneously: 동시에 (동의어: at the same time, concurrently / 반의어: sequentially, separatel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mutations are [changes/ <to the genome/ of one particular cell>]],/
  • [만약 돌연변이가 [변화라면/ <유전체의/ 특정 세포의>]],/
  • how/ can [[a patch of cells/ in an iris]/ or/ [a whole patch of skin,/ (which or that is) <consisting/ of many individual cells>]],/ be affected/ simultaneously?
  • 어떻게/ [[일부 부위의 세포들이나/ 홍채 속의]/혹은/ [전체 부위의 피부가,/ <구성되어 있는/ 다수의 개별 세포들로>]],/ 영향을 반을 수 있습니까/ 동시에?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if+주어+동사]
  • [If mutations are [changes/ <to the genome/ of one particular cell>]]”는 조건의 부사절로 ‘~한다면’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현재분사구 consisting of~
  • [a whole patch of skin,/ (which or that is) <consistingof many individual cells>]”에서 “consisting of~“는 ‘~로 구성되어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현재분사구입니다. “a whole patch of skin“을 선행사로 받는(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 "which is"나 "that is"가 생략된 형태와 의미상 동일입니다.
  • 두 개의 명사구의 병렬 구조
  • "[a patch of cellsin an iris]"와 "[a whole patch of skin,/ (which or that is) <consistingof many individual cells>]"를 or로 병렬 연결한 구조.
  • 수동태[조동사 + be +pp]
  • "can be effected"는 "영향을 받을 수 있다"의 의미를 전달하는 수동태.

문장 12

The answer lies in the cell lineage, the developmental history of a tissue from particular cells through to their fully differentiated state.

주요 단어 정리

  • lie in~: ~에 있다 (동의어: be found in, reside in / 반의어: be absent from)
  • cell lineage: 세포 계보
  • developmental history: 발달 역사
  • differentiated: 분화된 (동의어: specialized / 반의어: undifferentiate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answer lies/
  • 그 답은 있습니다/
  • [in [the cell lineage],/ [<the developmental history/ of a tissue>/ <from particular cells/ through to their fully differentiated state>]].
  • [[세포 계보] 속에,/ [<발달 역사인/ 조직의>/ <특정 세포에서/ 완전히 분화된 상태에 이르기까지의>]].

어법 설명

  • 동격 구
  • [the cell lineage]“와 ”[<the developmental history/ of a tissue>/ <from particular cells/ through to their fully differentiated state>]”는 동격 구입니다.

문장 13

If the mutation occurred early on in the lineage of the developing iris, then all cells in that patch have (e) inherited that change.

주요 단어 정리

  • occur: 발생하다 (동의어: happen, take place / 반의어: cease, stop)
  • early on: 초기에
  • inherit: 물려받다, 유전적으로 이어지다 (동의어: receive, derive / 반의어: lose)
  • lineage: 계통, 혈통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the mutation occurred/ early on/ <in the lineage/ of the developing iris>],/
  • [만약 돌연변이가 발생했다면/ 초기에/ <계보에서/ 홍채 발달의>],/
  • then/ <all cells/ in that patch>/ have (e) inherited/ that change.
  • 그렇다면/ <모든 세포가/ 그 영역 내의>/ 상속받은 것입니다/ 그 변화를.

어법 설명

  • 직설법 과거 시제의 조건절[if+주어+과거형 동사]
  • "[If the mutation occurredearly on/~]"에서 사용된 어법. ”~했다면“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현재완료 시제 have inherited
  • 과거에 발생한 변화가 현재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어휘의 적절성 확인 (e)
  • "inherited"는 "(변화를) 물려받았다"는 의미를 전달하므로 문맥상 적절합니다.
  • 제목의 추론
  • 지문의 전체적인 내용”유전체 복제 과정에서의 돌연변이 누적과 그로 인한 변화“이므로 보기 중 이를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것은 ”⑤ What Happens When Genomic Mutations Pile Up?(게놈 돌연변이가 쌓이면 어떻게 되는가?)“입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41번 문제

  1. 적절한 제목을 찾기 위해 지문의 핵심 주제를 요약해 보면, 유전체 복제 과정에서의 돌연변이 누적과 그로 인한 변화가 강조됩니다.
  2. 정답: ⑤ What Happens When Genomic Mutations Pile Up?

42번 문제

  1. 밑줄 단어의 의미와 문맥상 적절성을 살펴보면, (d) "guarantee"가 문맥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보장하다"보다는 오히려 돌연변이가 특정 효과를 보장하지 않는다는 맥락을 전달해야 하므로, 부적절합니다.
  2. 정답: ④ (d)

결론

2024년 10월 고2 모의고사 41번과 42번 문제는 유전체 복제에서 발생하는 돌연변이의 누적과 그 영향에 대해 설명합니다. 지문은 돌연변이의 축적이 세포 계통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그리고 특정 돌연변이가 전체 조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유전체 복제의 복잡성을 강조합니다.

이 문제 유형의 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글의 제목과 어휘의 적절성 여부에 대한 판단을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찾는 훈련을 하게 될 것이고 전체적인 지문의 내용 및 구조도 이해하는 시간을 갖게 될 것입니다.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이 독자의 영어 독해력 향상을 지원하여 문장의 구조적 이해를 강화하는데 항상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