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22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22번 지문은 인간의 감정이 진화 과정에서 생존을 돕는 기능을 수행해왔다는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글은 두려움, 분노, 긍정적인 감정 등 각각의 감정이 어떻게 인간의 생존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해왔는지에 대해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다루고 있으며, 이러한 감정들이 진화론적 관점에서 인간에게 유익했기 때문에 존재하게 되었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글의 주제, 요지, 제목 찾기, 주장하는 바에 대한 문제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동일합니다. 글의 핵심 주장을 찾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아래로”로 독해해 나가다가 “Clue”가 없다고 판단되면,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을 변경하세요. 그러다 보면, 핵심 주장을 찾을 것이고 이때 예문을 확인하여 답을 선택하는 풀이 방법이 택하세요.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문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2.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Our emotions are thought to exist because they have contributed to our survival as a species. Fear has helped us avoid dangers, expressing anger helps us scare off threats, and expressing positive emotions helps us bond with others. From an evolutionary perspective, an emotion is a kind of “program” that, when triggered, directs many of our activities (including attention, perception, memory, movement, expressions, etc.). For example, fear makes us very attentive, narrows our perceptual focus to threatening stimuli, will cause us either to face a situation (fight) or avoid it (flight), and may cause us to remember an experience more acutely (so that we avoid the threat in the future). Regardless of the specific ways in which they activate our systems, the specific emotions we possess are thought to exist because they have helped us (as a species) survive challenges within our environment long ago. If they had not helped us adapt and survive, they would not have evolved with us.

① 과거의 경험이 현재의 감정에 영향을 미친다. 

② 문명의 발달에 따라 인간의 감정은 다양화되어 왔다. 

③ 감정은 인간이 생존하도록 도와왔기 때문에 존재한다. 

④ 부정적인 감정은 긍정적인 감정보다 더 오래 기억된다. 

⑤ 두려움의 원인을 파악함으로써 두려움을 없앨 수 있다.

문장별 분석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2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Our emotions are thought to exist because they have contributed to our survival as a species.

주요 단어 정리

  • emotions: 감정 (동의어: feelings, sentiments / 반의어: indifference)
  • contribute to~: ~에 기여하다 (동의어: help, aid / 반의어: detract from)
  • survival: 생존 (동의어: existence, endurance / 반의어: extinction)
  • species: 종(種) (동의어: type, kin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ur emotions/ are thought/ to exist/
  • 우리의 감정은 여겨집니다/ 존재하는 것으로/
  • [because they have contributed/ to our survival/ as a species].
  • [왜냐하면 그것들이 기여했기 때문입니/ 우리의 생존에/ 종으로서].

어법 설명

  • 5형식 문형의 수동태 "are thought“
  • "여겨진다"는 수동적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5형식 문형 “People think our emotion to exist.“를 수동태로 변경된 후 ”by people“이 생략된 것입니다. 수동태[be+pp]는 일반적으로 문장 내에서 ”~되어지다/~당하다“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 이유의 부사절[because+주어+동사]
  • "(왜냐하면)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요지 찾기 문제 해결을 위한 Tip
  • “위에서 아래로 독해” → 문장별 핵심 주장 도출 → 지문의 핵심 주장인지 판단 → 두 개의 문장을 읽었으나 “지문의 핵심 주장”이 모호한 경우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 변경 → 문장별 핵심 주장 도출 → 지문의 핵심 주장인지 판단 → 보기를 확인하고 정답 도출
  • 문장 1의 핵심 내용『감정의 존재의 이유: 생존에의 기여』입니다. 이 문장에는 주장하는 바가 있으므로 보기를 살펴보도록 합니다. “③ 감정은 인간이 생존하도록 도와왔기 때문에 존재한다.”이 정확하게 일치합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③번으로 정답을 선택하고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문장 2

Fear has helped us avoid dangers, expressing anger helps us scare off threats, and expressing positive emotions helps us bond with others.

주요 단어 정리

  • avoid: 피하다
  • danger: 위험
  • express: 표현하다
  • anger: 분노 (동의어: rage, fury / 반의어: calmness)
  • scare off~: ~을 물리치다
  • threat: 위협
  • positive emotions: 긍정적인 감정(들)
  • fear: 두려움 (동의어: anxiety, dread / 반의어: courage)
  • bond: 유대감을 형성하다 (동의어: connect, relate / 반의어: detach)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ear has helped/ us/ <avoid/ dangers>,/
  • 두려움은 도와주어 왔습니다/ 우리를/ <피하도록/ 위험을>,/
  • <expressing/ anger>/ helps/ us/ <scare off/ threats>,/
  • <표현하는 것은/ 분노를>/ 도와줍니다/ 우리를/ <물리치도록/ 위협들을>,/
  • and/
  • 그리고/
  • <expressing/ positive emotions>/ helps/ us/ <bond/ with others>.
  • <표현하는 것은/  긍정적인 감정들을>/ 도와줍니다/ 우리를./ <유대감을 형성하도록/ 다른 사람들과>.

어법 설명

  • 병렬구조 - and로 세 개의 문장 연결
  • "Fear has helped/ us/ <avoid/ dangers>", "<expressing/ anger>/ helps/ us/ <scare off/ threats>" 및 "<expressing/ positive emotions>/ helps/ us/ <bondwith others>"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 5형식 사역동사 "help + 목적어 + 목적격 보어(동사원형 / to 부정사)" 구조
  • helped/ us/ <avoid/ dangers>“, ” helps/ us/ <scare off/ threats>“, ”helps/ us/ <bondwith others>“와 같이 "help"의 목적격 보어로 동사원형이 사용되었습니다. 사역동사 중, ”help“의 경우, 목적격 보어를 to 부정사로 대체가 가능합니다

문장 3

From an evolutionary perspective, an emotion is a kind of “program” that, when triggered, directs many of our activities (including attention, perception, memory, movement, expressions, etc.).

주요 단어 정리

  • evolutionary: 진화론적인perspective: 관점 (동의어: viewpoint, angle)
  • a kind of~: 일종의~trigger: 촉발[유발]하다 (동의어: activate, provoke / 반의어: suppress)
  • many of~: 많은 (수의) ~, ~의 많은 수
  • direct: 지시[지휘]하다, 총괄하다
  • activity: 활동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rom an evolutionary perspective,/
  • 진화론적 관점에서,/
  • an emotion is a kind of “program”/
  • 감정은 일종의 "프로그램"입니다/
  • [that,/ [when triggered],/ directs/ [many of our activities/ (including attention, perception, memory, movement, expressions, etc.)]].
  • [[(감정이) 유발될 때]/ 지시하는/ [많은 우리의 활동들을/ (주의, 지각, 기억, 움직임, 표현 등을 포함하여)]].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that"과 삽입절 "when triggered“
  • "a kind of “program”/ [that,/ [when triggered],/ directs[many of our activities/ (including attention, perception, memory, movement, expressions, etc.)]]"에서 "that"은 선행사, ”a kind of program“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that"과 관계절의 동사 "directs" 사이에 "when triggered"는 삽입되어 감정이 활성화될 때의 상태를 나타냅니다.
  • 분사 구문, "when triggered“
  • ”[when triggered]“는 ”[when it is triggered]“의 종속절에서 주어 it(=an emotion)이 생략되고 isbeing으로 바뀐 후 역시 생략된 분사 구문입니다.

문장 4

For example, fear makes us very attentive, narrows our perceptual focus to threatening stimuli, will cause us either to face a situation (fight) or avoid it (flight), and may cause us to remember an experience more acutely (so that we avoid the threat in the future).

주요 단어 정리

  • for example: 예를 들어
  • attentive: 주의 깊은 (동의어: alert, focused / 반의어: distracted)
  • stimuli: 자극 (단수형: stimulus)
  • either A or B: A 혹은 B
  • face: 직면하다
  • situation: 상황
  • cause: 유발하다
  • remember: 기억하다
  • experience: 경험acutely: 예리하게, 심하게 (동의어: intensely, sharply)
  • in the future: 미래에, 장래에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r example,/
  • 예를 들어,/
  • fear[makes/ us/ very attentive],/ [narrows/ our perceptual focus/ to threatening stimuli],/ [will cause/ us/ [either <to face/ a situation (fight)>/ or/ <avoid/ it (flight)>]],/ and[may cause/ us/ <to remember/ an experience/ more acutely>]/
  • 두려움은/ 만듭니다/ 우리를/ 매우 주의 깊게,//좁혀줍니다/ 우리의 지각 초점을/ 위협적인 자극으로,/유발할 겁니다/ 우리를/ [<맞서도록/ 상황에(싸움에)>/ 혹은/ <피하도록/ 그것을(싸움을)>],/ 그리고/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를/ <기억하도록/ 경험을/ 더 예리하게>]/
  • (so that we avoid/ the threat/ in the future).
  • (우리가 피하도록/ 위협을/ 미래에).

어법 설명

  • 병렬 구조 - 네 개의 동사구를 and로 병렬 연결
  • "[makes/ us/ very attentive]", "[narrows/ our perceptual focus/ to threatening stimuli]", "[will cause/ us/ [either <to face/ a situation (fight)>/ or/ <avoid/ it (flight)>]]", 및 " [may cause/ us/ <to remember/ an experience/ more acutely>]"를 and로 병렬 연결.
  • 5형식 기본 문형[5형식 동사(make) + 목적어 + 목적격 보어(형용사)]
  • "[makes/ us/ very attentive]"에서 사용된 어법.
  • 5형식 to 부정사 구문
  • cause/ us/ [either <to face/ a situation (fight)>/ or/ <avoid/ it (flight)>]“와 ”cause/ us/ <to remember/ an experience/ more acutely>“는 “cause”는 to 부정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
  • so that~ 용법
  • "so that we avoid/ the threat/ in the future"에서 사용된 용법. “~하도록 (하기 위해서)”의 의미를 전달.

문장 5

Regardless of the specific ways in which they activate our systems, the specific emotions we possess are thought to exist because they have helped us (as a species) survive challenges within our environment long ago.

주요 단어 정리

  • regardless of~: ~와 상관없이 (동의어: irrespective of)
  • specific: 특정한, 구체적인
  • activate: 활성화하다 (반의어: deactivate)possess: 소유하다 (동의어: have, own)
  • survive: ~에서 생존하다, ~에서 살아남다
  • challenge: 도전, 어려움 (동의어: difficulty, obstacle)
  • environment: 환경
  • long ago: 오래 전에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Regardless of the specific ways/ in which/ they activate/ our systems],/
  • [특정 방식과 상관없이/ 그 안에서/ 그들이 활성화하는/ 우리의 (감정) 시스템들을],/
  • [the specific emotions/ (which or that) we possess]/ are thought/ to exist/
  • [그 특정한 감정들은/ 우리가 소유하는]/ 여겨집니다/ 존재하는 것으로/
  • [because they have helped/ <us/ (as a species)> / [survive/ <challenges/ within our environment]/ long ago].
  • [왜냐하면 그것들이 도와왔기 때문에/ <우리를/ (종으로서의)>/ [살아남도록/ <도전들에서/ 우리의 환경 내의]/ 오래전에].

어법 설명

  • 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
  • "the specific ways/ in whichthey activate/ our systems"에서 "in which"는 선행사 "the specific ways"를 수식하는 "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로, 뒤에 완전한 문장이 옵니다. 이 문장에서도 "they activate/ our systems"처럼 목적어까지 갖춘 완전한 문장이 사용되었습니다. 
  • 구체화와 문맥 일치
  • 이 문장에서 'our systems'이라는 표현은 다소 일반적이고 모호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감정이 작용하는 시스템에 대한 구체적인 맥락을 고려할 때, “our emotional systems”와 같이 표현하는 것이 보다 명확하게 문맥의 흐름에 더 잘 맞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독자가 감정과 관련된 시스템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생략
  • "[the specific emotions(which or that) we possess]"에서 "(which or that)"는 선행사인, ”the specific emotions“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which or that)"이 생략된 구문입니다. 전치사가 관계대명사 앞에 온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든 생략이 가능합니다.
  • 5형식 문형의 수동태 "are thought“
  • "여겨진다"는 수동적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5형식 문형 “People think our pecific emotions we possess to exist.“에서 목적어인 ”our pecific emotions we possess“를 주어로 한 수동태로 변경된 후 ”by people“이 생략된 것입니다. 수동태[be+pp]는 일반적으로 문장 내에서 ”~되어지다/~당하다“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 이유의 부사절[because+주어+동사]
  • "[because they have helped/~]"는 ”(왜냐하면) ~이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시제 일치와 표현의 일관성
  • "[because they have helped/~]"에서 ''have helped'라는 현재완료 시제가 사용되었기 때문에, 과거부터 현재까지 지속되는 영향을 강조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long ago' 대신 'since long ago'나 ‘for a long time’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면 시제와 의미의 일관성이 더욱 명확하게 드러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수정은 문장의 의도를 보다 자연스럽게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5형식 사역동사 [help + 목적어 + 목적격 보어(동사원형 / to 부정사)]
  • "helped/ <us/ (as a species)> / [survive/ <challenges/ within our environment]"에서 "help"는 사역동사로 목적격 보어로 동사원형이나 to 부정사를 취합니다.

문장 6

If they had not helped us adapt and survive, they would not have evolved with us.

주요 단어 정리

  • adapt: 적응하다 (동의어: adjust, conform / 반의어: resist, reject)
  • evolve: 진화하다 (동의어: develop, progress / 반의어: regress)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they had not helped/ us/ <adapt and survive>],/
  • [만약 그것들이(감정들이) 도와주지 않았더라면/ 우리를/ <적응하고 생존하도록>],/
  • they would not have evolved/ with us.
  • 그것들은(감정들은) 진화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우리와 함께.

어법 설명

  • 가정법 과거완료
  • "[If they had not helped/ us/ <adapt and survive>],/ they would not have evolvedwith us"는 과거에 반대되는 가정을 나타내며, 실제로 감정이 우리를 도왔기에 지금까지 진화했다는 사실을 강조합니다. 표준 문형은 "[if+주어+had+pp+~, 주어+[would / should / could / might]+have+pp+~]"입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감정이 우리와 함께 진화한 이유: 우리가 적용하고 생존하도록 도와준 것"

근거 문장 제시

  • Our emotions are thought to exist because they have contributed to our survival as a species.
  • 위 문장은 감정이 생존한 이유를 짧막하게 기술합니다.
  • If they had not helped us adapt and survive, they would not have evolved with us.
  • 이 문장 역시 마찬가지고 우리가 적응하고 진화하도록 감정이 도와왔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가장 적절한 답은 "③ 감정은 인간이 생존하도록 도와왔기 때문에 존재한다."입니다.

결론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22번 지문은 감정이 인간이 생존하고 진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음을 강조합니다. 두려움, 분노, 긍정적인 감정 등은 위협을 피하거나 사회적 유대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며, 진화론적으로 인간이 환경의 도전에 적응하고 살아남을 수 있도록 작용해 왔습니다.

학생들은 요지 찾기 문제를 통해 논리적으로 요지를 찾는 방법을 자연스럽게 체득하며 그 과정에서 사고력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