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23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23번 지문은 “AI(인공지능)”가 노동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있는 근로자들을 지원하여 직장 내 포용성을 증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글은 시각, 언어, 청각 장애를 돕는 AI 보조 기기와 같은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AI가 이러한 근로자들의 직업 접근성과 작업 품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시하며, AI가 비숙련 근로자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직업적 가능성을 개선하는 데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를 설명합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글의 주제, 요지, 제목 찾기, 주장하는 바에 대한 문제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동일합니다. 글의 핵심 주장을 찾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아래로”로 독해해 나가다가 “Clue”가 없다고 판단되면,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을 변경하세요. 그러다 보면, 핵심 주장을 찾을 것이고 이때 예문을 확인하여 답을 선택하는 풀이 방법을 택하세요.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가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3.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By improving accessibility of the workplace for workers that are typically at a disadvantage in the labour market, AI can improve inclusiveness in the workplace. AI­powered assistive devices to aid workers with visual, speech or hearing difficulties are becoming more widespread, improving the access to, and the quality of work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example, speech recognition solutions for people with dysarthric voices, or live captioning systems for deaf and hard of hearing people can facilitate communication with colleagues and access to jobs wher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s necessary. AI can also enhance the capabilities of low­skilled workers, with potentially positive effects on their wages and career prospects. For example, AI’s capacity to translate written and spoken word in real­time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non­native speakers in the workplace. Moreover, recent developments in AI­powered text generators can instantly improve the performance of lower­skilled individuals in domains such as writing, coding or customer service. * dysarthric: (신경 장애로 인한) 구음(構音) 장애의

① jobs replaced by AI in the labour market

② ethical issues caused by using AI in the workplace

③ necessity of using AI technology for language learning

④ impacts of AI on supporting workers with disadvantages

⑤ new designs of AI technology to cure people with disabilities

문장별 분석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23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By improving accessibility of the workplace for workers that are typically at a disadvantage in the labour market, AI can improve inclusiveness in the workplace.

주요 단어 정리

  • improve: 향상시키다 (동의어: enhance, boost / 반의어: worsen)
  • accessibility: 접근성 (동의어: availability, ease of access)
  • at a disadvantage: 불리한 위치에 있는
  • inclusiveness: 포용성 (동의어: inclusion, acceptanc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y improving/ <accessibility/ of the workplace>]/
  • [향상시킴으로써/ <접근성을/ 직장의>]/
  • [for workers/ that are typically at a disadvantage/ in the labour market],/
  • [근로자들을 위해/ 일반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있는/ 노동 시장에서],/
  • AI can improve/ <inclusiveness/ in the workplace>.
  • AI는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포용성을/ 직장 내에서의>.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workers/ that are typically at a disadvantage/ in the labour market”에서 "that"은 선행사인 "worker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노동 시장에서 불리한 근로자를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관계대명사+불완전한 문장”의 관계를 기억하세요.
  • 논리적 연결성과 구체적 진술의 일관성 부족
  • 이 문장은 AI가 직장의 접근성을 향상시켜 포용성을 높이는 역할을 언급합니다. 그러나 이후에 제시된 사례들은 직장 환경 자체의 구조적 접근성 개선보다는 개별 근로자의 역량 강화와 AI 기술을 통한 작업 효율성 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초기 진술과 이후 설명 간의 연결성이 부족하여 논리적 일관성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초기 진술을 보다 구체적인 내용과 일치시키거나, 사례들이 직장 환경의 구조적 접근성 개선과 직접 연계되도록 설명될 필요가 있습니다.
  • 주제 찾기 Tip
  • “위에서 아래로 독해” → 문장별 핵심 주장 도출 → 지문의 핵심 주장인지 판단 → 두 개의 문장을 읽었으나 “지문의 핵심 주장”이 모호한 경우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 변경 → 문장별 핵심 주장 도출 → 지문의 핵심 주장인지 판단 → 보기를 확인하고 정답 도출
  • 문장 1의 핵심 내용『노동 시장에서의 약자를 위해 AI가 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입니다. 이 문장은 주장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바로, 보기를 확인하도록 합니다. 이와 관련된 보기는 “④ impacts of AI on supporting workers with disadvantages(불리한 점을 가진 노동자를 지원하는 것에 대한 AI의 영향)”뿐입니다. 혹시나 반의 접속사나 접속부사가 있는지만 확인하니 없습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④번을 정답으로 선택한 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다음 문제로 넘어갑니다.

문장 2

AI-powered assistive devices to aid workers with visual, speech or hearing difficulties are becoming more widespread, improving the access to, and the quality of work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주요 단어 정리

  • AI-powered: AI로 구동되는, AI 기반의
  • assistive device: (장애인을 돕기 위한) 보조 기기
  • visual difficulties: 시각 장애
  • widespread: 널리 퍼진 (동의어: common, prevalent / 반의어: rare)
  • disability: 장애 (동의어: impairment, limitatio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I-powered assistive devices/ [to aid/ [workers/ <with visual, speech or hearing difficulties>]]]/
  • [AI 기반의 보조 기기들이/ [돕기 위한/ [근로자들을/ <시각, 언어, 청각 장애가 있는>]]]/
  • are becoming more widespread,/
  • 더 널리 퍼지고(보급되고) 있습니다,/
  • [improving/ [<the access/ to (work)>,/ and/ <the quality/ of work>]/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향상시키면서/ [<접근성을/ 직장으로의>/ 그리고/ <질을/ 작업의>]/ <사람들을 위해/ 장애를 가진>].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문장의 주어는 “AI-powered assistive devices”로 복수이며, 따라서, 동사구도 복수 형태인 “are becoming more widespread”가 사용되었음에 유의하세요.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AI-powered assistive devices[to aid[workers/ <with visual, speech or hearing difficulties>]]]”에서 “to aid”는 “돕기 위한”의 의미로 앞에 “AI-powered assistive devices”를 수식합니다.
  • 분사 구문
  • "[improving[<the access/ to (work)>,/ and/ <the quality/ of work>]/ <for people/ with disabilities>]"는 “[while they improve/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AI-powered assistive devices)가 생략되고 동사 "improve"가 "improving"으로 변경된 분사 구문입니다.
  • 명사의 생략으로 인한 의미의 명확성 훼손
  • "[improving[<the access/ to (work)>,/ and/ <the quality/ of work>]/ <for people/ with disabilities>]"에서 "work"라는 명사가 앞뒤로 사용되었지만, 의미가 다릅니다. 문맥상 앞의 "access to work"는 직장(고용) 접근성을 의미하고, 뒤의 "quality of work"는 작업(일의 질)을 나타냅니다. 영어에서는 같은 명사를 반복할 때, 동일한 의미로 이해될 경우, 생략이 가능하지만, 다른 의미로 사용될 때 생략하면 문맥의 명확성이 훼손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독자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명사를 명확히 반복하여 사용함으로써 의미의 일관성과 명확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장 3

For example, speech recognition solutions for people with dysarthric voices, or live captioning systems for deaf and hard of hearing people can facilitate communication with colleagues and access to jobs wher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s necessary.

주요 단어 정리

  • speech recognition: 음성 인식
  • dysarthric voice: 구음 장애가 있는 목소리
  • live captioning system: 실시간 자막 시스템
  • deaf: 청각 장애가 있는, 귀가 먹은
  • hard of hearing: 귀가 잘 안들리는, 난청의
  • facilitate: 촉진하다, 용이하게 하다 (동의어: ease, assist / 반의어: hinder)
  • inter-personal communication: 대인 간 의사소통
  • necessary: 필요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r example,/
  • 예를 들어,/
  • [speech recognition solutions/ <for people/ with dysarthric voices>],/ or/ [live captioning systems/ <for deaf and hard of hearing people>]/
  • [음성 인식 솔루션이나/ <사람들을 위한/ 구음 장애가 있는>]/ 혹은/ [실시간 자막 시스템은/ <청각 장애인을 위한>]/
  • can facilitate/
  • 용이하게 할 수 있습니다./
  • [[communication/ with colleagues]/ and/ [access/ [to jobs/ wher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s necessary]]].
  • [[의사소통을/ 동료들과의]/ 그리고/ [접근을/ [직업들로의/ 대인 간 의사소통이 필요한]]].

어법 설명

  • 접속 부사 For example 
  • 현재는 내신에서만 출제되지만,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 부사가 사용된 경우,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된 이력이 있습니다.
  • 관계부사 where
  • jobs/ wher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s necessary”에서 “where”는 선행사인 jobs를 수식하며 “대인간 의사소통이 필요한 직업들”임을 설명합니다. “관계부사+완전한 문장”의 관계를 기억하세요.
  • 표현의 현대적 수용성과 간결성 유지
  • 'deaf and hard of hearing people‘이라는 표현은 청각 장애의 다양한 상태를 포괄하기 위한 용도로 여전히 사용되고 있지만, 다소 진부하거나 구식으로 느껴질 수 있는 측면이 있습니다. '청각 장애인(deaf people)' 또는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s'와 같은 표현은 더 간결하고 현대적인 방식으로 청각 장애를 포괄적으로 표현할 수 있어 독자의 이해를 돕고, 보다 포괄적인 의미를 전달하는 데 적합할 수 있습니다. 또, 이러한 표현의 선택은 의미의 명확성과 수용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문장 4

AI can also enhance the capabilities of low-skilled workers, with potentially positive effects on their wages and career prospects.

주요 단어 정리

  • enhance: 향상시키다 (동의어: improve, boost / 반의어: diminish)
  • capability: 능력, 역량
  • low-skilled worker: 비숙련 근로자
  • potentially: 잠재적으로
  • positive effect: 긍정적인 효과
  • wages: 임금
  • career prospects: 직업적 전망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I can also enhance/ <the capabilities/ of low-skilled workers>,/
  • AI는 또한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능력을/ 비숙련 근로자들의>,/
  • with potentially positive effects/ <on their wages and career prospects>.
  • 긍정적인 영향을 가지고/ <그들의 임금과 직업적 전망에>.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문장 5

For example, AI’s capacity to translate written and spoken word in real-time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non-native speakers in the workplace.

주요 단어 정리

  • capacity: 능력 (동의어: ability, capability)
  • translate: 번역하다 (동의어: interpret, render)
  • real-time: 실시간의
  • non-native speaker: 비원어민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r example,/
  • 예를 들어,/
  • [AI’s capacity/ <to translate/ written and spoken word/ in real-time>]/
  • [AI의 능력은/ <번역하는/ 글과 음성을/ 실시간으로>]/
  •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non-native speakers>/ in the workplace.
  •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업무 성과를/ 비원어민들의>/ 직장에서.

어법 설명

  • 접속 부사 For example 
  • 현재는 내신에서만 출제되지만,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 부사가 사용된 경우,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된 이력이 있습니다.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AI’s capacity/ <to translate/ written and spoken word/ in real-time>]”에서 “to translate”는 “번역하는”의 의미로 앞에 “AI‘s capacity”를 수식합니다.

문장 6

Moreover, recent developments in AI-powered text generators can instantly improve the performance of lower-skilled individuals in domains such as writing, coding or customer service.

주요 단어 정리

  • moreover: 게다가
  • recent: 최근의
  • development: 발전, 개발 (동의어: advancement, progress)
  • text generator: 텍스트 생성기domain: 영역, 분야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oreover,/
  • 게다가,/
  • <recent developments/ in AI-powered text generators>/
  • <최근의 발전은/ AI 기반 텍스트 생성기 분야의>/
  • can instantly improve/ <the performance/ of lower-skilled individuals>/
  •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성과를/ 비숙련 근로자들의>/
  • [in domains/ <such as writing, coding or customer service>].
  • [영역(분야)에서/ <글쓰기, 코딩 또는 고객 서비스와 같은>].

어법 설명

  • 접속 부사 Moreover 
  • 현재는 내신에서만 출제되지만,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 부사가 사용된 경우,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된 이력이 있습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AI를 통한 직장 내 약자를 돕기 위한 방법

근거 문장 제시

  • "By improving accessibility of the workplace for workers that are typically at a disadvantage in the labour market, AI can improve inclusiveness in the workplace.“
  • AI가 직장 내 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 "AI-powered assistive devices to aid workers with visual, speech or hearing difficulties are becoming more widespread, improving the access to, and the quality of work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AI 보조 기기의 예시를 통해 장애인을 지원하는 방식을 설명합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가장 적절한 답은 ④ "impacts of AI on supporting workers with disadvantages"입니다.

결론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23번 지문은 AI 기술이 노동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있는 근로자들을 지원하여, 직장 내 포용성과 접근성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장애인 근로자를 돕는 보조 기기나 비원어민을 위한 실시간 번역 기술 등을 통해 직장 내에서의 업무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학생들은 주제 찾기 문제를 통해 논리적으로 주제를 찾는 방법 이외에도 실제 고사장에서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자연스럽게 체득하며 그 과정에서 사고력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