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24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24번 지문은 고래가 탄소를 격리하는 데 있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다루고 있습니다. 고래의 죽음은 수십 톤의 이산화탄소를 대기에서 격리하여 수 세기 동안 격리하는 효과를 발휘합니다. 이와 더불어 고래가 배출하는 영양소가 식물성 플랑크톤을 증가시키고, 이는 추가적인 탄소 격리에 기여하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과학자들은 고래를 "해양 생태계의 엔지니어"로 부르고 있습니다. 또한 2019년 IMF 경제학자들은 고래가 제공하는 생태계 서비스의 가치를 추산했고, 기후 변화를 늦추기 위한 전 세계적인 고래 복원 프로그램을 제안했습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글의 제목 찾기, 주제, 요지, 주장하는 바에 대한 문제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동일합니다. 글의 핵심 주장을 찾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아래로”로 독해해 나가다가 “Clue”가 없다고 판단되면,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을 변경하세요. 그러다 보면, 핵심 주장이나 명제를 찾을 것이고 이때 예문을 확인하여 답을 선택하는 풀이 방법을 택하세요.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가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4.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Whales are highly efficient at carbon storage. When they die, each whale sequesters an average of 30 tons of carbon dioxide, taking that carbon out of the atmosphere for centuries. For comparison, the average tree absorbs only 48 pounds of CO2 a year. From a climate perspective, each whale is the marine equivalent of thousands of trees. Whales also help sequester carbon by fertilizing the ocean as they release nutrientrich waste, in turn increasing phytoplankton populations, which also sequester carbon ― leading some scientists to call them the “engineers of marine ecosystems.” In 2019, economists from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estimated the value of the ecosystem services provided by each whale at over $2 million USD. They called for a new global program of economic incentives to return whale populations to preindustrial whaling levels as one example of a “naturebased solution” to climate change. Calls are now being made for a global whale restoration program, to slow down climate change. * sequester: 격리하다 ** phytoplankton: 식물성 플랑크톤
① Saving Whales Saves the Earth and Us
② What Makes Whales Go Extinct in the Ocean
③ Why Is Overpopulation of Whales Dangerous?
④ Black Money: Lies about the Whaling Industry
⑤ Climate Change and Its Effect on Whale Habitats
문장별 분석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24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Whales are highly efficient at carbon storage.
주요 단어 정리
- whale: 고래
- efficient: 효율적인 (동의어: effective, productive / 반의어: inefficient, wasteful)
- carbon storage: 탄소 저장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ales are highly efficient/ at carbon storage.
- 고래는 매우 효율적입니다/ 탄소 저장에서.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제목 찾기 Tip
- “위에서 아래로 독해” → 문장별 핵심 주장 도출 → 지문의 핵심 주장이나 명제인지 판단 → 두 개의 문장을 읽었으나 “지문의 핵심 주장”이 모호한 경우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 변경 → 문장별 핵심 주장 도출 → 지문의 핵심 주장인지 판단 → 보기를 확인하고 정답 도출(너무 뻘리 결론이 도출된 경우 반의 접속사 및 접속부사 있는지 확인)
- 문장 1의 핵심 내용은 『고래는 탄소 저장에 상당히 효율적이다.』입니다. 일반인들이 잘 알지 못하는 사실에 해당하므로 혹시나 보기를 확인합니다. 보기를 봐도 “이거다.” 싶은 보기가 안보이므로 한 문장 더 읽습니다.
문장 2
When they die, each whale sequesters an average of 30 tons of carbon dioxide, taking that carbon out of the atmosphere for centuries.
주요 단어 정리
- sequester: 격리하다, 흡수하다 (동의어: isolate, absorb / 반의어: release)
- carbon dioxide: 이산화탄소
- atmosphere: 대기 (동의어: air, sky / 반의어: vacuum)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they die],/
- [그들이 죽을 때],/
- each whale sequesters/ <an average of 30 tons/ of carbon dioxide>,/
- 각 고래는/ 격리합니다/ <평균 30톤의/ 이산화탄소를>],/
- [taking/ that carbon/ out of the atmosphere/ for centuries].
- [가져가면서(제거하면서)/ 그 탄소를/ <대기에서>/ 수 세기 동안].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when+주어+동사]
- "~할 때"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간접 의문문[when+주어+동사], 관계부사[선행사+when+주어+동사]와는 문맥상 해석으로만 구별합니다.
- 분사구문
- "[taking/ that carbon/~]"은 “[while it takes/ that carbon~]“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it(=each whale)가 생략되고 동사 "takes"가 "tak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하면서”의 의미로 해석합니다.
- 제목 찾기 Tip에 따른 제목 찾기 1
- 문장 2의 핵심 내용은 『고래 사망 시 놀라운 이산화탄소 흡수능력 = 평균 30톤』입니다. 문장 1의 핵심 내용과 연계하면 “고래의 탄소 저감 능력이 대단하다.”는 내용입니다. 다시 보기를 보면, 이 내용에 부합되는 예문은 “① Saving Whales Saves the Earth and Us(고래를 구하는 것이 지구와 우리를 구한다.)”뿐입니다. ②번의 “고래의 멸종과 무관”하며, ③번의 “고래의 개체수 과잉”과도 무관하며, ④번의 “포경 산업”과도 무관하고 ⑤번의 “고래의 서식지”와도 무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①번을 정답으로 선택한 후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 문제로 넘어갑니다.
문장 3
For comparison, the average tree absorbs only 48 pounds of CO2 a year.
주요 단어 정리
- comparison: 비교 (동의어: contrast, evaluation / 반의어: isolation)
- absorb: 흡수하다 (동의어: take in, soak up / 반의어: emit, release)
- 48 pounds of~: 48 파운드의~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r comparison,/
- 비교를 위해,/
- the average tree absorbs/ <only 48 pounds of CO2>/ a year.
- 평균 나무는 흡수합니다/ <고작 48파운드의 이산화탄소를>/ 1년에.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문장 4
From a climate perspective, each whale is the marine equivalent of thousands of trees.
주요 단어 정리
- climate perspective: 기후적 관점
- marine: 해양의 (동의어: oceanic, aquatic / 반의어: terrestrial)
- equivalent: 동등한 것, 등가물 (동의어: counterpart, match / 반의어: opposite)
- thousnds of trees: 수천 그루의 나무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rom a climate perspective],/
- 기후적 관점에서,/
- each whale is the marine equivalent/ of thousands of trees.
- 각 고래는 해양의 등가물입니다/ 수천 그루의 나무들의.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문장 5
Whales also help sequester carbon by fertilizing the ocean as they release nutrient-rich waste, in turn increasing phytoplankton populations, which also sequester carbon ― leading some scientists to call them the “engineers of marine ecosystems.”
주요 단어 정리
- fertilize: 비료를 주다, 비옥하게 하다 (동의어: enrich, nourish / 반의어: deplete, exhaust)
- release: 방출주다 (동의어: emit, discharge, free, liberate, let go / 반의어: capture, retain, withhold, confine, restrain)
- by ~ing: ~함으로써
- nutrient-rich: 영양소가 풍부한 (동의어: nutrient-dense / 반의어: nutrient-poor)
- waste: 배설물, 폐기물, 낭비
- in turn: 결과적으로, 차례로
- increase: 증가시키다 (동의어: grow, expand, escalate, amplify, enhance / 반의어: decrease, reduce, diminish, shrink, lower)
- phytoplankton: 식물성 플랑크톤
- population: 개체수, 인구
- ecosystem: 생태계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ales also help/ <sequester/ carbon>/
- 고래는 또한 돕습니다/ <격리하는 것을/ 탄소를>/
- by fertilizing/ the ocean/
- 비옥하게 하면서/ 해양을/
- [as they release/ nutrient-rich waste],/
- [그것들이(고래들이) 방출할 때/ 영양소가 풍부한 배설물을],/
- in turn/ [increasing/ phytoplankton populations],/
- [결과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식물성 플랑크톤 개체 수를],/
- , which also sequester/ carbon/
- [그리고 이것들이 또한 격리합니다/ 탄소를/
- ―/ [leading/ some scientists/ [to call/ them/ <the “engineers/ of marine ecosystems>]].”/
- 그 결과/ [이끌면서/ 몇몇 과학자들로 하여금/ [부르도록/ 그것들을/ <엔지니어들로/ 해양 생태계의>]].“/
어법 설명
- help+(to) 부정사동사
- help는 3형식 문형에서 명사 대신 to 부정사나 원형 부정사(동사원형)를 목적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comma(,) which
- ", which also sequester/ carbon"은 선행사 "phytoplankton populations"을 수식하는 계속적 용법으로, ”접속사+대명사“로 해석됩니다. 이 경우 that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시간의 부사절[as + 주어 + 동사]
- 여기서는 ”~할 때“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as+주어+동사“는 문맥에 따라 여러 의미를 전달하므로 해석을 기반으로 의미를 결정해야 합니다. ”~함에 따라서“의 의미로도 해석이 가능합니다.
- 분사구문 1
- "[increasing/ phytoplankton populations]"는 "[while they increase/ phytoplankton populations]"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whales)가 생략되고 동사 "increase"가 "increas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하면서”의 의미로 해석합니다.
- 분사 구문 2
- "[leading/ some scientists/ [to call/ them/ <the “engineers/ of marine ecosystems>]]"는 "[while they lead/ some scientists/ [to call/ them/ <the “engineers/ of marine ecosystems>]]"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whales)가 생략되고 동사 "lead"가 "lead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하면서”의 의미로 해석합니다.
문장 6
In 2019, economists from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estimated the value of the ecosystem services provided by each whale at over $2 million USD.
주요 단어 정리
- economist: 경제학자
-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국제통화기금
- estimate: 추산하다 (동의어: calculate, evaluate / 반의어: ignore)
- value: 가치
- ecosystem services: 생태계 서비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2019,/
- 2019년에,/
- <economists/ from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 <경제학자들이/ 국제통화기금(IMF) 소속의>/
- estimated/
- 추산했습니다/
- [<the value/ of the ecosystem services>/ (which was) provided/ by each whale]/
- [<가치를/ 생태계 서비스의>/ 제공하는/ 각 고래에 의해]/
- at over $2 million USD.
- 2백만 미국 달러 이상으로.
어법 설명
- “되는”의 의미로 사용된 과거분사[동사+ed]
- "<the value/ of the ecosystem services>/ (which was) provided/ by each whale"에서 " provided"는 ”제공되는“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the value/ of the ecosystem services>를 선행사로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가 생략된 것과 형태 및 의미상 동일합니다. 문장 내에서,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는 언제든 생략이 가능합니다.
문장 7
They called for a new global program of economic incentives to return whale populations to preindustrial whaling levels as one example of a “nature-based solution” to climate change.
주요 단어 정리
- call for: 요구하다 (동의어: demand, request / 반의어: reject, dismiss)
- global program: 전 세계적 프로그램
- economic: 경제적(인)
- incentive: 유인책, 보상 (동의어: motivation, inducement / 반의어: deterrent)
- return: 되돌리다
- preindustrial: 산업화 이전의
- whaling level: 포경 수준
- nature-based: 자연을 기반으로 하는
- solution: 해법, 해결책
- climate change: 기후변화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y called for/
- 그들은 요구했습니다/
- <a new global program/ of economic incentives>/
- <새로운 전 세계적 프로그램을/ 경제적 유인책에 대한>/
- <to return/ whale populations/ to preindustrial whaling levels>/
- <되돌리기 위해/ 고래 개체 수를/ 산업화 이전 포경 수준으로>/
- <as one example/ of a “nature-based solution”>/ to climate change.
- <하나의 예로써/ “자연을 기반으로 하는 해법”의>/ 기후변화에 대한.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 "<to return/ whale populations/ to preindustrial whaling levels>"에서 "to return"은 목적을 나타냅니다. 문장 내에서, “~하기 위하여/~하도록”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문장 8
Calls are now being made for a global whale restoration program, to slow down climate change.
주요 단어 정리
- call: 요구, 요청
- be made: 이루어지다(제기되다)
- restoration: 복원 (동의어: renewal, revival / 반의어: destruction)
- slow down: 늦추다 (동의어: decelerate, delay / 반의어: speed up, accelerat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Calls are now being made/ for a global whale restoration program,/
- 요구가 현재 제기되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 고래 복원 프로그램을 위해,/
- <to slow down/ climate change>.
- <늦추기 위해서/ 기후 변화를>.
어법 설명
- 현재 진행 수동태[be being+pp]
- "are now being made"는 현재 진행 수동태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요구를 나타냅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 "<to slow down/ climate change>"에서 "to slow down"은 목적을 나타냅니다. 문장 내에서, “~하기 위해서/~하도록”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고래의 놀라운 탄소 저감 능력: 살아서 죽음에 이르기까지“
근거 문장 제시
- "Whales are highly efficient at carbon storage.“
- 이 문장은 고래가 탄소 격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명확히 합니다.
- "When they die, each whale sequesters an average of 30 tons of carbon dioxide, taking that carbon out of the atmosphere for centuries."
- 이 문장은 고래 사망 시의 이산화탄소 흡수능력을 보여주어 고래의 탄소 저감을 직접 수치적으로 보여줍니다.
- "Calls are now being made for a global whale restoration program, to slow down climate change.“
- 이 문장은 고래 복원의 필요성과 기후 변화 문제 해결을 연결합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가장 적절한 제목은 ① Saving Whales Saves the Earth and Us (고래를 구하는 것이 지구와 우리를 구한다) 입니다.
결론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24번 지문은 고래가 기후 변화 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연 기반 해결책으로서의 역할을 설명하며, 고래 복원 프로그램을 통해 탄소 격리 및 해양 생태계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이 지문 유형의 풀이를 통해 학생들은 제목 찾기 문제를 통해 논리적으로 제목을 찾는 방법 이외에도 실제 고사장에서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자연스럽게 체득하며 그 과정에서 사고력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