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29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29번 지문은 조직 내 문화와 구조의 다양성이 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지문은 각기 다른 부서가 서로 다른 시각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조직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구조적 갈등의 요인들을 다룹니다. 기계적인 구조와 유기적인 구조의 선택이 조직의 갈등 관리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하며, 조직 내 의사결정의 수평적·수직적 방식의 차이를 강조합니다.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글의 어법상 틀린 것을 찾는 문제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동일합니다. 독해력이 받쳐주는 학생들은 어법이 포함된 문장만 독해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지문의 핵심 주장을 찾으면서 독해가 되지 않거나 어색한 부분을 찾는 방법입니다. 어법은 대부분의 경우, 해석 방법을 모아서 이름을 붙여 놓은 것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대명사가 어법 문제의 대상인 경우, 이전 문장을 독해하여 대명사가 지시하는 대상을 찾아야 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가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From an organizational viewpoint, one of the most fascinating examples of how any organization may contain many different types of culture ① is to recognize the functional operations of different departments within the organization. The varying departments and divisions within an organization will inevitably view any given situation from their own biased and prejudiced perspective. A department and its members will acquire “tunnel vision” which disallows them to see things as others see ② them. The very structure of organizations can create conflict. The choice of ③ whether the structure is “mechanistic” or “organic” can have a profound influence on conflict management. A mechanistic structure has a vertical hierarchy with many rules, many procedures, and many levels of management ④ involved in decision making. Organic structures are more horizontal in nature, ⑤ which decision making is less centralized and spread across the plane of the organization. * hierarchy: 위계
문장별 분석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29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From an organizational viewpoint, one of the most fascinating examples of how any organization may contain many different types of culture ① is to recognize the functional operations of different departments within the organization.
주요 단어 정리
- organizational: 조직적인, 조직의
- viewpoint: 관점 (동의어: perspective / 반의어: ignorance)
- one of the 최상급+복수명사: 가장 ~한 복수명사 중 하나
- fascinating: 매력적인 (동의어: captivating, engaging, enthralling / 반의어: boring, dull, uninteresting)
- contain: 포함하다 (동의어: include / 반의어: exclude)
- many different types of~: 많은 다양한 유형의~
- recognize: 인식하다, 알아보다
- functional operations: 기능적 운영
- department: 부서 (동의어: division)
- organization: 조직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rom an organizational viewpoint,/
- 조직적인 관점에서,/
- [<one/ of the most fascinating examples>/ [of how any organization may contain/ many different types of culture]]/
- [<하나는/ 가장 흥미로운 사례들 중>/ [어떻게 어떠한 조직이든 포함할 수 있는지에 대한/ 다양한 유형의 문화를]]/
- [is to recognize/ <the functional operations/ of different departments>/ within the organization].
- [인식하는 것입니다/ <기능적 운영을/ 각 부서의>/ 조직 내에서의].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어법의 적절성 검토 1
- 문장의 주어는 “one”으로 단수이며, 따라서, 동사구도 단수 형태인, “is to recognize”가 사용되었음에 유의하십시오. 따라서, is는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 be to 부정사
- “대부분 ‘~하는 것이다”로 해석됩니다. 다만, 문맥에 따라, “~할 예정입니다 / ~할 수 있습니다 / ~해야 합니다/ ~할 의도입니다 / ~할 운명입니다”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문장 2
The varying departments and divisions within an organization will inevitably view any given situation from their own biased and prejudiced perspective.
주요 단어 정리
- varying: 다양한, 변하는
- division: 부문
- inevitably: 불가피하게 (동의어: unavoidably / 반의어: optionally)
- view: 바라보다, 보다
- biased: 편향된 (동의어: prejudiced / 반의어: impartial)
- prejudiced: 선입견이 있는
- perspective: 관점 (동의어: viewpoint / 반의어: indifferenc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varying departments and divisions/ within an organization>/
- <다양한 부서들과 부문들은/ 조직 내의>/
- will inevitably view/
- 불가피하게 바라볼 것입니다/
- any given situation/
- 어떤 특정 상황이라도/
- from their own biased and prejudiced perspective.
- 그들 자신의 편향되고 선입견이 있는 시각에서.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문장 3
A department and its members will acquire “tunnel vision” which disallows them to see things as others see ② them.
주요 단어 정리
- member: 구성원, 회원
- acquire: 얻다 (동의어: gain, obtain / 반의어: lose)
- tunnel vision: 편협한 사고
- disallow: 허용하지 않다 (동의어: forbid / 반의어: permi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 department and its members/ will acquire/
- 한 부서와 그 부서원들은/ 얻게 될 것입니다/
- [“tunnel vision”/ which disallows/ them/ <to see/ things>]/
- [“좁은 시야”를/ 허용하지 않으므로/ 그들을(그들이)/ <보도록/ 사물을>]/
- [as others see/ them].
- [다른 사람들이 보는 것처럼/ 그것들을(사물들을)].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which
- "[“tunnel vision”/ which disallows/ them/ <to see/ things>]"에서 “which”는 선행사인 “tunnel vision”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that으로도 대체가 가능합니다.
- 대명사의 수의 일치 – 어법적 적절성 검토 2
- "[“tunnel vision”/ which disallows/ them/ <to see/ things>]"에서 “them”은 "<A department and its members>"를 지시하여, 어법상 적절합니다.
- 어법적 오류
- "disallows/ them/ <to see/ things>"는 어법상 "disallows/ them/ from <seeing/ things>"로 변경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는 "disallow" 뒤에 동명사를 취해야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 부사절[as+주어+동사]
- “~처럼/~하듯이”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as+주어+동사”는 문장 내에서 다양한 의미로 해석할 수 있지만, 대부분 문맥에 의해 그 의미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문장 4
The very structure of organizations can create conflict.
주요 단어 정리
- structure: 구조 (동의어: framework, arrangement)
- create: 만들다, 발생시키다 (동의어: cause, generate / 반의어: eliminate)
- conflict: 갈등 (동의어: disagreement / 반의어: harmon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very structure/ of organizations>/
- <바로 그 구조가/ 조직의>/
- can create/ conflict.
- 만들 수(일으킬 수) 있습니다/ 갈등을.
어법 설명
- 강조 표현
- "The very structure"라는 표현은 강조 의미로, 조직의 본질적 구조가 갈등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문장 5
The choice of ③ whether the structure is “mechanistic” or “organic” can have a profound influence on conflict management.
주요 단어 정리
- choice: 선택 (동의어: option, decision)
- structure: 구조
- mechanistic: 기계적인 (동의어: rigid / 반의어: organic)
- organic: 유기적인
- profound: 엄청난, 깊은, 심오한
- influence: 영향 (동의어: impact, effect / 반의어: insignificance)
- conflict management: 갈등 관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choice/ [of whether the structure is “mechanistic” or “organic”]]/
- [선택은/ [구조가 “기계적”인지 “유기적”인지에 대한]]/
- can have/ a profound influence/ on conflict management.
- 가질 수(미칠 수) 있습니다/ 엄청난 영향을/ 갈등 관리에 대해.
어법 설명
- 명사절[whether[if]+주어+동사] - 어법상 적절성 검토 3
- “~안지”의 의미를 전달하며, "whether" 뒤의 구조는 명확하게 두 가지 선택을 나타내며, 어법적으로 적절하게 사용되었습니다.
문장 6
A mechanistic structure has a vertical hierarchy with many rules, many procedures, and many levels of management ④ involved in decision making.
주요 단어 정리
- mechanistic structure: 기계적 구조
- vertical hierarchy: 수직적 위계
- involve: 관련시키다 포함하다 (동의어: include, engage, entail, associate / 반의어: exclude, disconnect, detach, separate)
- decision making: 의사 결정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 mechanistic structure has/
- 기계적 구조는 가지고 있습니다/
- [a vertical hierarchy/ [with [many rules,/ many procedures,/ and/ <many levels of management/ (which is) involved/ in decision making>]]].
- [수직적 위계를/ [[많은 규칙들과,/ 많은 절차들,/ 및/ <여러 단계의 관리를 가진/ 관련되는/ 의사 결정에>]]].
어법 설명
- ’~되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과거분사[동사+ed] - 어법적 적절성 검토 4
- "<many levels of management/ (which is) involved/ in decision making>"에서 "involved“는 "관련되는" 의미로 어법상 적절히 사용되었습니다. 또한, 선행사, ”many levels of management“을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가 생략된 것과 형태상 의미상 동일합니다.
- 병렬 구조
- "[with [many rules,/ many procedures,/ and/ <many levels of management/ (which is) involved/ in decision making>]]"에서, 전치사 with의 목적어로 3개의 명사구가 병렬로 연결된 병치 구문입니다. 또한 이 전치사구는 명사구 ”a vertical hierarchy“를 수식합니다.
문장 7
Organic structures are more horizontal in nature, ⑤ which decision making is less centralized and spread across the plane of the organization.
주요 단어 정리
- in nature: 본질적으로
- horizontal: 수평적인 (동의어: flat / 반의어: vertical)
- centralized: 집중된 (동의어: focused / 반의어: decentralize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rganic structures are more horizontal/ in nature,/
- 유기적 구조는 더 수평적입니다/ 본질적으로,/
- , ⑤ which/ decision making is less centralized and spread/
- 그리고 거기서/ 의사결정이 덜 (중앙) 집중되고 분산됩니다/
- <across the plane/ of the organization>.
- <전반에 걸쳐/ 조직의>.
어법 설명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comma(,) which – 어법적 적절성 검토 5
- "comma(,) which"는 앞 문장 전체나 앞 문장 일부를 수식하며, ”접속사+대명사“로 해석됩니다. ”관계대명사+불완전한 문장“의 관계와 ”관계부사+완전한 문장“의 관계에 대해 여러 차례 해설을 제공해 왔습니다. 따라서, 이 문장에서는 ”which“ 뒤에 완전한 문장이 왔으므로, 선행사를 수식할 수 있는 "where"로 변경되어야 적절합니다.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조직 내 문화와 구조의 다양성이 갈등에 미치는 영향“
정답 제시
- 어법상 틀린 부분: ⑤ "which" → "where"
- 관계대명사 "which" 다음에 2형식 문형의 완전한 문장이 왔으므로, ”which“는 "where"로 수정해야 문장이 어법적으로 정확합니다.
결론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29번 지문은 ”조직 내 문화와 구조의 다양성이 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어법적 오류에 대한 판단을 묻습니다. 선행사를 수식하는 연결어를 관계사라고 하며 다음의 관계가 있습니다. 바로 ”관계대명사+불완전한 문장“ 및 ”관계부사+완전한 문장“입니다. 이 두 개의 관계를 이용하면 비교적 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은 어법의 적절성 검토 문제를 통해 어법적으로 틀린 부분을 찾는 방법 이외에도 대부분의 경우, 어법 문제는 독해와 관련된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됩니다. 아울러, 독해력이 갖춰져 있다면 어법의 적절성 판단을 해야 하는 문장만 독해하는 습관을 통해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도 자연스럽게 체득하리라 기대합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