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31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31번 지문은 위대한 작곡가들이 당대에 오해받고 인정받지 못했던 이유를 설명하며, 이들의 창의성과 독창성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지문은 익숙하지 않은 음악적 형식이나 표현이 당대 사람들에게 거부감을 주었지만, 결국 이러한 독창성이 작곡가들을 위대하게 만든다고 강조합니다. 특히 영화 '아마데우스'를 예로 들어 안토니오 살리에리와 모차르트의 대조를 통해 창작의 독창성이 중요하다는 점을 부각하고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장 구조와 맥락을 명확히 파악하며, 정답을 논리적으로 도출합니다. 이 글은 빈칸 추론 문제 해결 전략과 영어 독해 능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은 빈칸이 있는 문장부터 읽고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추론하라는 것입니다. 이 지문은 이 일반적 추론 방법에서 벗어나는 지문입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가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1.
You hear again and again that some of the greatest composers were misunderstood in their own day. Not everyone could understand the compositions of Beethoven, Brahms, or Stravinsky in their day. The reason for this initial lack of acceptance is unfamiliarity. The musical forms, or ideas expressed within them, were completely new. And yet, this is exactly one of the things that makes them so great. Effective composers have their own ideas. Have you ever seen the classic movie Amadeus? The composer Antonio Salieri is the “host” of this movie; he’s depicted as one of the most famous nongreat composers ― he lived at the time of Mozart and was completely overshadowed by him. Now, Salieri wasn’t a bad composer; in fact, he was a very good one. But he wasn’t one of the world’s great composers because his work wasn’t _________. What he wrote sounded just like what everyone else was composing at the time.
① simple ② original ③ familiar
④ conventional ⑤ understandable
문장별 분석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31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You hear again and again that some of the greatest composers were misunderstood in their own day.
주요 단어 정리
- hear: 듣다 (동의어: listen to / 반의어: ignore)
- again and again: 반복해서, 자주 (동의어: repeatedly / 반의어: rarely)
- greatest: 가장 위대한 (동의어: best, most excellent / 반의어: worst)
- composer: 작곡가
- misunderstand: 오해하다 (동의어: misinterpret / 반의어: understand)
- in one’s (own) day: ~(자신의) 의 시대에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You hear/ again and again/
- 당신은 듣습니다/ 반복해서/
- [that <some/ of the greatest composers>/ were misunderstood/ in their own day].
- [일부 위대한 작곡가들이/ 오해받았다는 것을/ 그들의 시대에].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라고 / ~라는 것을"
- "You hear/ again and again/ [that <some/ of the greatest composers>/ were misunderstood/ in their own day]"에서 "that"는 동사 "hear"의 목적어로 사용된 절을 읶는 접속사입니다. "that 이하의 내용을 듣는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 수동태 [be + pp] "were misunderstood"
- “오해받았다“의 의미로 사용된 수동태입니다. 수동태는 일반적으로 문장 내에서 ‘~되어지다/~당하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다소 부정확한 시제 표현
- “in their own day”라는 표현은 “그들 자신의 시대에”라는 의미이고, 문맥상 및 역사적 사실의 측면에서 '당대 전체'가 아니라 특정 초기 시점을 의미해야 하므로 자칫 독자가 “그들이 활동하던 시대 전체”로 오해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for some time after composing their masterpieces”나 “in their early days” 정도의 표현으로 변경해야 적절합니다.
문장 2
Not everyone could understand the compositions of Beethoven, Brahms, or Stravinsky in their day.
주요 단어 정리
- composition: 작품, 작곡물 (동의어: work, piece)
- understand: 이해하다 (동의어: comprehend / 반의어: misunderstan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Not everyone could understand/
- 모든 사람이 이해할 수 있었던 것은 아닙니다/
- [the compositions/ <of Beethoven, Brahms, or Stravinsky>/ in their day].
- [작곡물들을/ <베토벤, 브람스, 혹은 스트라빈스키의>/ 그들의 시대에].
어법 설명
- 부분 부정
- 문장의 맨 앞에 Not이 사용되면 부분 부정의 의미가 되어 ”다 ~한 것은 아닙니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시간의 경과를 더 명확히 하기 위한 추가적인 수식어의 필요성
- 여기에서도 문장 끝에 ”즉시(right away)“나 조동사 뒤에 “곧바로(immediately)“ 정도의 의미가 추가되면 더 좋을 것입니다.
문장 3
The reason for this initial lack of acceptance is unfamiliarity.
주요 단어 정리
- reason: 이유 (동의어: cause / 반의어: result)
- initial: 초기의 (동의어: first / 반의어: final)
- lack: 부족 (동의어: shortage / 반의어: abundance)
- acceptance: 수용 (동의어: approval / 반의어: rejection)
- unfamiliarity: 낯섦, 익숙하지 않음 (동의어: unfamiliarity / 반의어: familiarit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reason/ <for this initial lack/ of acceptance>]/
- [그 이유는/ <이 초기의 부족에 대한/ 수용의>]/
- is unfamiliarity.
- 낯섦(익숙하지 않음) 입니다.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The reason“으로 단수이며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is“.
문장 4
The musical forms, or ideas expressed within them, were completely new.
주요 단어 정리
- musical form: 음악 형식
- express: 표현하다 (동의어: convey / 반의어: conceal)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musical forms],/ or/ [ideas/ (which or that are) expressed/ within them]],/
- [[음악 형식들],/ 즉/ [아이디어들은/ 표현된/ 그것들 안에]],/
- were completely new.
- 완전히 새로웠습니다.
어법 설명
- 동격 표현 "or"
- "[[The musical forms],/ or/ [ideas/ (which or that are) expressed/ within them]]"에서 "or"는 동격을 나타내어 "~라는"의 의미를 전달하며, 음악 형식과 그 안의 아이디어가 동일한 내용을 설명합니다.
- “~되어진”의 의미로 사용된 과거분사[동사+ed]
- "ideas/ (which or that are) expressed/ within them"에서 "expressed"는 “표현된”의 의미로, 앞에 명사 ideas를 수식합니다. 형태상, 의미상 선행사 idea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가 생략된 것과 동일합니다.
- "A or B" 형태의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주어가 "A or B"의 형태인 경우, 주어는 동사에 가까운 B에 일치해야 합니다. "[[The musical forms],/ or/ [ideas/ (which or that are) expressed/ within them]]"에서 "A([The musical forms])"와 "B(ideas/ (which or that are) expressed/ within them])" 둘 다 복수 형태이지만, "B(ideas/ (which or that are) expressed/ within them])"애 동사의 수를 일치시킨 것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문장 5
And yet, this is exactly one of the things that makes them so great.
주요 단어 정리
- and yet: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 exactly: 정확히
- one of (the) 복수명사: 복수명사 중 하나
- make A B: A를 B로 만들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nd yet,/
- 그러나/
- this is exactly one/ [of the things/ that makes/ them/ so great].
- 이것은 정확히 하나입니다/ [것들 중/ 만드는/ 그것들을/ 그렇게 위대하게].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the things/ that makes/ them/ so great“에서 “that“은 선행사 ”one of the things“를 수식하며 "그것들을 위대하게 만드는 것들 중 하나"라는 의미로 연결합니다.
- 5형식 기본 문형”5형식 동사(makes) + 목적어 + 목적격 보어(형용사“
- "makes/ them/ so great"에서 사용된 어법. 목적격 보어로 형용사 “so great“가 사용되었고 한국어로 해석 시 형용사가 부사처럼 해석되기 때문에 수능에도 자주 출제됩니다.
문장 6
Effective composers have their own ideas.
주요 단어 정리
- effective: 효과적인 (동의어: efficient, successful)
- composer: 작곡가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ffective composers have/ their own ideas.
- 효과적인 작곡가들은/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만의 아이디어를.
어법 설명
- 납득하기 어려운 형용사 "effective"
- 문맥상 "유능한(competent)"이나 "위대한(great)"가 더 적절합니다.
문장 7
Have you ever seen the classic movie Amadeus?
주요 단어 정리
- classic: 고전, 명작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ave you ever seen/
- 이제껏 본 적이 있습니까/
- <the classic movie/ Amadeus>?
- <고전 영화인/ 아마데우스를>?
어법 설명
- 현재완료 시제의 사용[have ever+pp]
- 과거부터 현재까지 경험을 묻는 형태입니다. 현재완료는 최근 모의고사에서 ”현재완료 시제“와 ”since 절“의 사용에서 since 절의 과거시제가 맞는지 판별하는 문제로 출제된 것이 전부입니다.
문장 8
The composer Antonio Salieri is the “host” of this movie; he’s depicted as one of the most famous nongreat composers ― he lived at the time of Mozart and was completely overshadowed by him.
주요 단어 정리
- depict: 묘사하다 (동의어: portray)
- overshadow: 그늘지게 하다 (동의어: outshin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composer Antonio Salieri is the “host”/ of this movie/
- 작곡가 안토니오 살리에리가 "호스트"입니다/ 이 영화의/
- ;/ he’s depicted/ <as one/ of the most famous nongreat composers>/
- 다시 말해/ 그는 묘사됩니다/ <한 사람으로/ 가장 유명한 위대하지 않은 작곡가들 중>/
- ―/ he [lived/ <at the time/ of Mozart>]/
- 다시 말해서/ 그는 [살았습니다/ <시대에/ 모차르트의>]
- and/
- 그리고/
- [was completely overshadowed/ by him].
- [완전히 가려졌습니다/ 그에 의해서].
어법 설명
-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를 and로 연결
- "[lived/ <at the time/ of Mozart>]"와 "[was completely overshadowed/ by him]"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 수동태[be+pp+by 행위자]
- "was completely overshadowed/ by him"는 수동태 표현으로 “그에 의해 완전히 가려졌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장 9
Now, Salieri wasn’t a bad composer; in fact, he was a very good one.
주요 단어 정리
- in fact: 사실상 (동의어: indee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Now,/
- 지금,/
- Salieri wasn’t a bad composer/
- 살리에리는 나쁜 작곡가가 아니었습니다;/
- ;/ in fact,/
- 다시 말해/ 사실,/
- he was a very good one.
- 그는 매우 훌륭한 작곡가였습니다.
어법 설명
- 접속 부사 in fact
- 앞 문장과 뒤 문장을 보충 설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한 지문 내에 3개의 이상의 접속 부사가 사용된 경우,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된 이력을 기억하십시오. 따라서, semicolon(;)의 역할이 중복됩니다.
문장 10
But he wasn’t one of the world’s great composers because his work wasn’t _________.
주요 단어 정리
- great: 위대한 (동의어: excellent, exceptional)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he wasn’t one/ of the world’s great composers/
- 그러나/ 그는 하나가 아니었습니다/ 세계적으로 위대한 작곡가들 중/
- [because his work wasn’t _________].
- 왜냐하면 그의 작품이 _________가 아니었기 때문에].
어법 설명
- 이유의 부사절[because+주어+동사]
- "왜냐하면 ~때문에"의 의미로 이유를 나타냅니다.
- 빈칸의 추론
- 문장 11에서 “Salieri“가 작곡한 것은 그 당시 다른 모든 사람이 작곡한 것과 비슷하게 들렸다”라는 말과 문장 6의 “효과적인 작곡가들이 자신만의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었다”는 내용, 문장 4의 음악적 형식, 즉, 작품 내에 표현된 아이디어들이 새로웠다“는 내용으로 볼 때, 살리에리의 작품은 독창적이지 않거나 독특하지 않거나 눈에 띄지 않는다는 내용이 와야 합니다. 동사에 이미 부정이 있으므로 original, unique, conspicuous, outstanding 정도의 의미가 와야 적절합니다. 이 글은 특이하게 부분 독해로 빈칸을 추론할 수 없는 이례적인 경우에 해당합니다. 또 다소 부정확한 시제 표현으로 지문에 초반에 약간의 혼선도 있었던 글입니다.
문장 11
What he wrote sounded just like what everyone else was composing at the time.
주요 단어 정리
- sound: 들리다
- compose: 작곡하다 (동의어: create music)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at he wrote]/ sounded/
- [그가 썼던 것은]/ 들렸습니다/
- just/ [like [what everyone else was composing/ at the time]].
- 바로/ [[다른 모든 사람이 작곡하고 있었던 것]처럼/ 그 당시에].
어법 설명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하는 것"
- "[What he wrote]"와 "[what everyone else was composing/ at the time]"에서 "what"은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로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관계대명사+불완전한 문장”의 관계를 기억하십시오.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창의성 & 독창성: 위대한 작곡가로 인정받는 차별점
근거 문장
- "The musical forms, or ideas expressed within them, were completely new."
- "Effective composers have their own ideas."
- "What he wrote sounded just like what everyone else was composing at the time."
정답 제시
- 따라서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답은 ② "original" (독창적인)입니다.
결론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31번 지문은 창의성과 독창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특히 기존과 차별화된 창작이 위대한 작곡가로 인정받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설명합니다. 살리에리의 작품이 나름 훌륭했지만 독창적이지 않았기 때문에 위대한 작곡가로 인정받지 못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본 분석 내용을 통해 학생들은 빈칸 추론 문제에 대한 해설을 통해 논리적이고 효과적으로 답을 추론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자부합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