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32번 지문은 새로운 매체가 등장할 때마다 인간의 시각과 사고 방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설명합니다. 특히 매체 자체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이 그 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정보보다 더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마샬 맥루한(Marshall McLuhan)의 매체 이론을 바탕으로 논지를 전개합니다.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장 구조와 맥락을 명확히 파악하며, 정답을 논리적으로 도출합니다. 이 글은 빈칸 추론 문제 해결 전략과 영어 독해 능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은 빈칸이 있는 문장부터 읽고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추론하라는 것입니다. 이 지문은 종반에 빈칸이 있는 경우로, “빈칸을 포함한 문장 위아래를” 먼저 읽고, 읽어 올라가면서, 단서를 찾아야 하는 유형의 문제입니다. 다만, 이 지문의 경우 일종의 강조 용법으로 해답이 되는 부분의 문장 구조를 특이하게 구성하여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지문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가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2.
Every time a new medium comes along — whether it’s the invention of the printed book, or TV, or SNS — and you start to use it, it’s like you are putting on a new kind of goggles, with their own special colors and lenses. Each set of goggles you put on makes you see things differently. So when you start to watch television, before you absorb the message of any particular TV show — whether it’s Wheel of Fortune or The Wire — you start to see the world as being shaped like television itself. That’s why Marshall McLuhan said that every time a new medium comes along — a new way for humans to communicate — it has buried in it a message. It is gently guiding us to __________________. The way information gets to you, McLuhan argued, is more important than the information itself. TV teaches you that the world is fast; that it’s about surfaces and appearances. [3점]
① see the world according to a new set of codes
② ignore unfamiliar messages from new media
③ maintain steady focus and clear understanding
④ interpret information through a traditional lens
⑤ enjoy various media contents with one platform
문장별 분석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3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Every time a new medium comes along — whether it’s the invention of the printed book, or TV, or SNS — and you start to use it, it’s like you are putting on a new kind of goggles, with their own special colors and lenses.
주요 단어 정리
- medium: 매체, 수단 (동의어: channel, method / 반의어: none)
- come along: 등장하다, 나타나다
- invention: 발명 (동의어: creation, innovation / 반의어: destruction)
- be like (that)~: ~와 비슷하다[같다]
- goggle: 고글, 보호 안경
- lens: 렌즈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very time/ (when) a new medium comes along/
- [새로운 매체가 등장할 때마다/
- -/ [whether it’s the invention/ <of the printed book, or TV, or SNS>]/
- 즉/ [그것이 발명이든 간에/ <인쇄된 책이나, TV, 혹은 SNS의>]/
- and/ (when) you start to use/ it],/
- 그리고/ 당신이 사용하기 시작할 때마다/ 그것을],/
- it’s like/
- 그것은 비슷합니다/
- [(that) you are putting on/ [a new kind of goggles,/ <with their own special colors and lenses>]].
- [당신이 쓰고 있는 것과/ [새로운 종류의 고글을,/ <특별한 색깔과 렌즈를 가진>]].
어법 설명
- 관계부사의 when의 생략
- "[Every time/ (when) a new medium comes along/ and/ (when) you start to use/ it]"는 선행사인 Every time를 수식하는 관계부사 "(when)"이 생략된 관계부사절입니다. “관계부사+완전한 문장”의 관계를 기억하십시오. 또한, 관계부사절 내의 두 개의 문장 사이에 명사절 "[whether it’s the invention/ <of the printed book, or TV, or SNS>]"이 삽입된 형태입니다.
- 명사절[whether A or B]
- “A이든 B이든”의 의미로, 선택적 동등성을 나타냅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의 생략
- “it’s like/ [(that) you are putting on/ [a new kind of goggles,/ <with their own special colors and lenses>]]”에서 생략된 “(that)“은 ”타동사구 "is like”의 목적어인 목적절[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장 2
Each set of goggles you put on makes you see things differently.
주요 단어 정리
- set: 한 벌, 한 쌍
- each set of~: ~의 각기 한 쌍[한 벌], 각기 한 쌍의[한 벌의]~
- differently: 다르게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ach set/ [of goggles/ (which/that) you put on]]/
- [각기 한 쌍은/ [고글의/ 당신이 착용한]]/
- makes/ you/ <see/ things/ differently>.
- 만듭니다/ 당신을(당신이)/ <보도록/ 사물들을/ 다르게>.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문장의 주어는 ”Each set“으로 단수이고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makes“.
- 5형식 사역동사 용법 [make + 목적어 + 목적격 보어(동사원형)]
- “makes/ you/ <see/ things/ differently>”에 사용된 어법.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의 관계사 수동 관계일 때는 목적격 보어로 과거분사[동사+ed]가 사용된다는 것 또한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사역동사는 make, have, let, help가 있으며 help의 경우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가 능동 관계일 때 to 부정사(미래적 의미)도 목적격 보어로 취할 수 있습니다.
문장 3
So when you start to watch television, before you absorb the message of any particular TV show — whether it’s Wheel of Fortune or The Wire — you start to see the world as being shaped like television itself.
주요 단어 정리
- start to 부정사: ~하기 시작하다
- absorb: 흡수하다, 받아들이다 (동의어: take in, assimilate / 반의어: repel)
- particular: 특정한 (동의어: specific, distinct / 반의어: general)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o/
- 그래서(그렇기에)/
- [when you start to watch/ television],/
- [당신이 텔레비전을 보기 시작할 때],/
- [before you absorb/ <the message/ of any particular TV show>],/
- [당신이 흡수하기 전에/ <메시지를/ 어떠한 특정 TV 쇼의(프로그램의)>],/
- [whether it’s Wheel of Fortune or The Wire]/
- [그것이 Wheel of Fortune이든 The Wire이든 간에]/
- you start to see/ [the world/ [as being shaped/ <like television itself>]].
- 당신은 보기 시작합니다/ [세상을/ [형성되는 것으로서/ <텔레비전 그 자체처럼>]].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when+주어+동사]
- “~할 때”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시간의 부사절[before+주어+동사]
- “~하기 전에”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명사절[whether A or B]
- “A이든 B이든”의 의미로, 선택적 동등성을 나타냅니다.
- ‘~하는 것/~하기’의 의미로 사용된 동명사[동사+ing]
- “[as being shaped/ <like television itself>]”에서 "being shaped"는 “형성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만약 이 부분을 분사 구문으로 착각하면 [as it(=the world) is being shaped/ <like television itself>]"의 절이 되어 종속절의 주어(it=the world)가 주절의 주어(you)와 가르기 때문에 주어를 생략할 수 없는 형태가 됩니다. 따라서, 어법상 불가능한 문장의 형태가 됩니다. 문맥상 이 말의 의미는 "TV에서 나오는 정보대로 세상이 돌아가고 있다고 믿게 된다."는 의미를 내포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그렇다면, "as it describes the world."로 단순하게 표현했다면 더 적절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문장 4
That’s why Marshall McLuhan said that every time a new medium comes along — a new way for humans to communicate — it has buried in it a message.
주요 단어 정리
- bury: 묻다, 숨기다 (동의어: embed, conceal / 반의어: reveal)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at’s (the reason)/ why Marshall McLuhan said/
- 그것이 그 이유입니다/ 마샬 맥루한이 말했던/
- [that [every time/ (when) a new medium comes along]/
- [[새로운 매체가 등장할 때마다]/
- -/ [a new way/ <for humans/ to communicate>] -/
- 다시 말해/ [새로운 방식인/ <인간이/ 소통하는>] -/
- it has buried/ in it(→itself)/ [a message]].
- 그것이 묻어두어 왔습니다(라고)/ 그것 안에(→그 자체 안에)/ [메시지를]].
어법 설명
- 관계부사절의 선행사 "the reason"의 생략
- “That’s (the reason)/ why Marshall McLuhan said”는 관계부사절의 선행사인 the reason이 생략된 문형입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that [every time/ (when) a new medium comes along]/ -/ [a new way/ <for humans/ to communicate>] -/ it has buried/ in it(→itself)/ [a message]]"에서 ”that“은 동사 "said"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고/~라는 것을”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특이점은 “a message”의 동격구인 “[a new way/ <for humans/ to communicate>]”만을 강조하기 위해 앞으로 선치했다는 것입니다.
- 현재완료 시제 has buried
- “과거부터 현재 사이에” “묻어두어 왔다”는 계속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동격구를 강조한 구조
- “[a new way/ <for humans/ to communicate>] -/ it has buried/ in it(→itself)/ [a message]]”에서 문맥상 “a message” = “a new way/ <for humans/ to communicate>”인 구조입니다. 특이한 경우로, “매체가 인간이 소통하는 새로운 방식인 메시지를 붇어두워 왔다”는 의미가 됩니다. 그러나, 동격구를 분리하여 하나만 강조하는 것은 어법적으로 문제가 있습니다. 따라서, "That’s why Marshall McLuhan said that every time a new medium comes along, it has buried in itself a message: a new way for humans to communicate."라고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대명사 사용의 오류 "it → itself"
- that 절의 주어는 "it(=a new medium)"이고 "in it"에서 전치사의 목적어 역시, 문맥상 "a new medium"이므로 "in it"은 "in itself"로 변경되어야 적절합니다.
- 맥루한의 핵심 주장을 뒷받침하는 초반부 전개의 보완 필요성
- "That’s why~"라는 표현이 사용된 이상, 맥루한의 주장 전체가 이 문장에 앞서 충분히 설명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지문 초반부는 새로운 미디어가 인간의 시각과 사고방식을 변화시킨다는 점에 초점이 맞춰져 있을 뿐, "정보 자체보다 전달 방식이 중요하다"는 맥루한의 핵심 주장을 구체적으로 뒷받침하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초반부에 미디어의 전달 방식이 정보보다 중요한 이유를 암시하는 사례나 논리가 추가된다면, "That’s why" 이후의 내용과 더 자연스럽게 연결될 것입니다. 이런 논리적 흠결로 한국의 수험영어가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문장 5
It is gently guiding us to __________________.
주요 단어 정리
- guide: 안내하다 (동의어: lead, direct / 반의어: mislea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t is gently guiding/ us/ to __________________.
- 그것은 부드럽게 안내합니다/ 우리를/ ~하도록
어법 설명
- 빈칸 내용의 추론
- 문장 4는 “새로운 매체가 등장할 때마다 매체가 그 안에 인간이 소통하는 방식인 메시지를 담아왔다”라는 내용이고 ”문장 1과 문장 2의 내용을 혼합하여 새롭게 구성하면 “새로운 미디어가 등장할 때 새로운 고글을 끼고 세상을 다르게 바라보는 것과 같다”는 내용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예문 중 이 내용을 포괄할 수 있는 것은 ①번인 “(to) see/ the world/ <according to a new set/ of codes> (새로은 코의 집합에 따라 세상을 바라보도록)”입니다.
문장 6
The way information gets to you, McLuhan argued, is more important than the information itself.
주요 단어 정리
- argue: 주장하다 (동의어: claim, contend / 반의어: conced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way/ (how) information gets/ to you],/
- [그 방식이/ 정보가 도달하는/ 당신에게],/
- McLuhan argued,/
- 맥루한이 주장하기를,/
- is more important/ than the information itself.
- 더 중요합니다/ 정보 그 자체보다.
어법 설명
- 선행사와 함께 쓰이지 않는 관계부사 how
- "[The way/ (how) information gets/ to you]"에서 선행사 “the way(방법)”와 이를 수식하는 관계부사(how)는 반드시 둘 중 하나는 생략되어야 합니다. 내신에서는 종종 출제되므로 되도록 기억하십시오.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The way"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is".
문장 7
TV teaches you that the world is fast; that it’s about surfaces and appearances.
주요 단어 정리
- be about~: ~에 대한 것이다.
- surface: 표면 (동의어: exterior / 반의어: depth)
- appearance: 외형, 겉모습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V teaches/ you/
- TV는 가르칩니다/ 당신에게/
- [that the world is fast]/; [that it’s about surfaces and appearances].
- [세상이 빠르다는 것을]/;(그리고) [그것이 표면과 외형에 관한 것임을].
어법 설명
- 기호 사용의 일관성과 명확성을 위한 개선 필요성
- 전국 연합 모의고사와 같은 공식적인 시험 지문에서는 콜론(:), 세미콜론(;), 대시(-)와 같은 기호가 본래 용법에 맞게 사용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지문에서 이러한 기호가 'and'의 의미로 사용된 경우는, 학생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으며 문법적 기준에 어긋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기호의 본래 역할인 보충 설명, 독립절 연결, 강조 등으로 명확하게 사용된다면 지문의 정확성과 교육적 효과가 더욱 높아질 것입니다. 이 문장에서 세미콜론(;)이 문맥상 'and'를 대신하여 사용되었으나, 본래 용법에 따르면 두 독립절을 연결하거나, 나열된 항목을 구분할 때 사용해야 합니다. 여기서 독립절(independent clause)이란, 스스로 하나의 완전한 문장이 될 수 있는 절을 말합니다. 주어(subject)와 술어(predicate)가 포함되어 있으며, 문법적으로 완결된 의미를 전달해야 합니다.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매체는 인간이 세상을 어떻게 바라볼지에 대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근거 문장 제시
- "That’s why Marshall McLuhan said that every time a new medium comes along — a new way for humans to communicate — it has buried in it a message."
- "Every time a new medium comes along — whether it’s the invention of the printed book, or TV, or SNS — and you start to use it, it’s like you are putting on a new kind of goggles, with their own special colors and lenses."
- "Each set of goggles you put on makes you see things differently."
정답 제시
- ① see the world according to a new set of codes (세상을 새로운 코드 집합에 따라 바라보다)
결론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32번 지문은 새로운 매체가 인간의 사고 방식을 어떻게 형성하는지, 매체 자체가 메시지를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빈칸에 들어갈 표현은 매체를 통해 세상을 새로운 방식으로 이해하게 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다만, 앞서 설명한 논리적 연결 부족이나 세미콜론(;)의 오용은 수험생들이 지문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줄 수 있습니다.
본 분석 내용을 통해 학생들은 빈칸 추론 문제에 대한 해설을 통해 논리적이고 효과적으로 답을 추론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자부합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