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33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33번 지문은 개념(concepts)의 역할과 한계를 중심으로 논지를 전개하며, 스튜어트 파이어스타인(Stuart Firestein)의 책 Ignorance에 등장하는 예시를 활용해 본문의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이 지문은 개념이 인간의 사고와 과학적 탐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며, 잘못된 개념 사용이 필연적으로 오해와 실패를 불러올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장 구조와 맥락을 명확히 파악하며, 정답을 논리적으로 도출합니다. 이 글은 빈칸 추론 문제 해결 전략과 영어 독해 능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은 100% 다 그렇지는 않지만, 빈칸이 있는 문장부터 읽고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추론하라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인해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눌러 반드시 영어와 한글로 작성된 원문 분석 내용을 보시기 바랍니다.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3.
Concepts are vital to human survival, but we must also be careful with them because concepts open the door to essentialism. They ______________________. Stuart Firestein opens his book, Ignorance, with an old proverb,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a black cat in a dark room, especially when there is no cat.” This statement beautifully sums up the search for essences. History has many examples of scientists who searched fruitlessly for an essence because they used the wrong concept to guide their hypotheses. Firestein gives the example of luminiferous ether, a mysterious substance that was thought to fill the universe so that light would have a medium to move through. The ether was a black cat, writes Firestein, and physicists had been theorizing in a dark room, and then experimenting in it, looking for evidence of a cat that did not exist. [3점]
① encourage us to see things that aren’t present
② force scientists to simplify scientific theories
③ let us think science is essential and practical
④ drive physicists to explore philosophy
⑤ lead us to ignore the unknown
문장별 분석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33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Concepts are vital to human survival, but we must also be careful with them because concepts open the door to essentialism.
주요 단어 정리
- concept: 개념 (동의어: idea, notion / 반의어: none)
- vital: 필수적인 (동의어: essential, crucial / 반의어: unnecessary)
- essentialism: 본질주의, 본질을 추구하는 경향
- careful: 주의하는, 조심하는, 주의 깊은
- be careful with~: ~에 주의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Concepts are vital/ to human survival,/
- 개념은 필수적입니다/ 인간의 생존에
- but/
- 그러나/
- we must also be careful/ with them/
- 우리는 주의해야 합니다/ 그것들에 대해/
- [because concepts open/ <the door/ to essentialism>].
- [왜냐하면 개념이 열기 때문에/ <문을/ 본질주의로 가는>].
어법 설명
- 이유의 부사절[because+주어+동사]
- “(왜냐하면) ~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be careful of~, be careful about~, 및 be careful with~의 차이
- “be careful of~”는 “주의 대상이 되는 것에 대해 일반적인 경고나 조언을 표현”하는 것이고, “be careful about~”은 “어떤 주제나 행동에 대해 신중하게 행동하거나 주의하라는 의미”이며, “be careful with~”는 “다루는 물건이나 주어진 대상에 대해 조심스럽게 다룰 것을 강조”합니다. Be careful with abstract ideas like concepts; they might lead you astray.”도 “be careful with“의 용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문장 2
They ______________________.
주요 단어 정리
- encourage: 격려하다, 장려하다 (동의어: motivate, inspire / 반의어: discourage)
- see: 보다, 이해하다 (동의어: perceive, recognize / 반의어: ignore)
- present: 존재하는, 현재의 (동의어: existent, available / 반의어: absent)
- force: 강요하다 (동의어: compel, coerce / 반의어: allow)
- simplify: 단순화하다 (동의어: streamline, reduce / 반의어: complicate)
- scientific theory: 과학 이론 (동의어: scientific principle, scientific hypothesis / 반의어: none)
- let: 허용하다, 하게 하다 (동의어: allow, permit / 반의어: prohibit)
- essential: 필수적인 (동의어: vital, indispensable / 반의어: unnecessary)
- practical: 실용적인 (동의어: useful, functional / 반의어: impractical)
- drive: 몰아가다, 유도하다 (동의어: push, propel / 반의어: restrain)
- physicist: 물리학자 (관련어: scientist, researcher)
- explore: 탐구하다, 조사하다 (동의어: investigate, examine / 반의어: neglect)
- philosophy: 철학 (관련어: metaphysics, epistemology)
- lead: 이끌다, 유도하다 (동의어: guide, direct / 반의어: follow)
- ignore: 무시하다 (동의어: disregard, overlook / 반의어: acknowledge)
- unknown: 알려지지 않은 것, 미지의 것 (동의어: unfamiliar, unidentified / 반의어: know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y encourage/ us/ [to see/ [things/ that aren’t present]].
- 그것들은 장려합니다/ 우리를[우리로 하여금]/ [보도록/ [것들을/ 존재하지 않는]]. They는 앞 문장에서 언급된 concepts를 지칭합니다.
어법 설명
- 5형식 to 부정사 구문
- 5형식 동사 중 to 부정사(미래적 의미)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문형입니다. 즉, “동사(encourage)+목적어(us)+목적격 보어(to see~)“의 문형입니다.
- 빈칸의 추론
- 이 문장의 주어 They는 앞 문장에서 언급된 concepts를 지칭합니다. 이 문장 만으로는 해답을 찾을 수 없지만, 빈칸의 내용은 개념이 본질주의와 관련하여 어떤 문제나 결과를 초래하는지를 나타내야 합니다. 이후 분장에서 단서를 찾아야 합니다.
문장 3
Stuart Firestein opens his book, Ignorance, with an old proverb,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a black cat in a dark room, especially when there is no cat.”
주요 단어 정리
- proverb: 속담 (동의어: saying, adage / 반의어: none)
- ignorance: 무지 (동의어: unawareness, lack of knowledge / 반의어: knowledg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tuart Firestein opens/ <his book/ (Ignorance)>/ with an old proverb,/
- 스튜어트 파이어스타인은 시작합니다/ <그의 책/ (Ignorance)를>/ 오래된 속담으로,/
-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a black cat/ in a dark room>,/
- "그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찾는 것은/ 검은 고양이를/ 어두운 방에서>,/
- especially/ [when there is no cat].”
- 특히/ [고양이가 없을 때].”
어법 설명
- it(가주어) ~to 부정사(진주어) 용법
-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a black cat/ in a dark room>”에서 "It"는 가주어로 "to find"는 진주어로 사용된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입니다.
- 시간의 부사절[when+주어+동사]
- “~할 때”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빈칸 추론의 단서 1
- “어두운 방에서 존재하지 않는 검은 고양이 찾는 것”이 첫 번째 단서에 해당됩니다.
문장 4
This statement beautifully sums up the search for essences.
주요 단어 정리
- statement: 진술
- sum up: (핵심을 간결하게) 요약하다 (동의어: summarize, encapsulate / 반의어: none)
- search: 탐구, 수색, 검색
- essence: 본질 (동의어: core, substance / 반의어: non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statement beautifully sums up/ <the search/ for essences>.
- 이 진술은 아름답게 요약합니다/ <탐구를/ 본질에 대한>.
어법 설명
- 빈칸 추론의 단서 2
- “어두운 방에서 존재하지 않는 검은 고양이 찾는 것”이 본질(주의)에 대한 탐구라는 것을 명확히 지적했습니다. 즉, “존재하지 않는 것을 탐구하는 것(찾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보기 중 이에 가장 가까운 답은 ①번 ”encourage us to see things that aren’t present“가 가장 적절하다고 추론할 수 있습니다.
문장 5
History has many examples of scientists who searched fruitlessly for an essence because they used the wrong concept to guide their hypotheses.
주요 단어 정리
- search: 탐구하다, 수색[검색]하다
- fruitlessly: 헛되이, 성과 없이 (동의어: unsuccessfully, vainly / 반의어: successfully)
- guide: 안내하다
- hypothesis: 가설 (동의어: theory, assumption / 반의어: non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istory has/ many examples/
- 역사는 가지고 있다/ 많은 수의 사례들을/
- [of scientists/ who searched/ fruitlessly/ for an essence]/
- [과학자들에 대한/ 탐구했던/ 헛되이/ 본질을 위해]/
- [because they used/ the wrong concept/ <to guide/ their hypotheses>].
- [왜냐하면 그들이 사용했기 때문에/ 잘못된 개념을/ <안내하기 위해서/ 그들의 가설을>].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scientists/ who searched/ fruitlessly/ for an essence”에서 “who”는 선행사인 "scientist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로 ‘~하는 선행사(탐구했던 과학자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어법적으로는, ”관계대명사+불완전한 문장“의 관계를 기억하십시오.
- 이유의 부사절[because+주어+동사]
- ”(왜냐하면) ~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 <to guide/ their hypotheses>에서 ”to guide“는 ”안내하기 위하여“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이 용법은 일반적으로 문장 내에서 ”~하기 위하여/~하도록”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다만, "guide"보다는 "가설을 세우기 위해서(to make their hypotheses)"와 같은 표현이 더 일반적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문맥에서는 "가설에 방향성을 부여한다"는 점을 강조하려는 의도로 이해해야 합니다.
문장 6
Firestein gives the example of luminiferous ether, a mysterious substance that was thought to fill the universe so that light would have a medium to move through.
주요 단어 정리
- luminiferous: 빛을 전달하는
- ether: 에테르 (19세기 과학에서 빛의 전달 매질로 가정된 물질)
- medium: 매질, 수단 (동의어: channel, conduit / 반의어: none)
- move through~: ~을 통해서 이동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irestein gives/ <the example/ of luminiferous ether>,/
- 파이어스타인은 제시합니다/ <예를/ 빛의 매질인 에테르의>,/
- [a mysterious substance/ (that was thought/ <to fill/ the universe>]/
- [신비한 물질인/ (여겨졌던/ <채운다고/ 우주를>]/
- [so that light would have/ <a medium/ to move through>]]).
- [빛이 가질 수 있도록/ <매질을/ (그것을) 통해서 이동할 수 있는>]]).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a mysterious substance/ (that was thought/ <to fill/ the universe>]에서 “that ”은 선행사 “a mysterious substance”를 수식하여 “~라고 여겨졌던 신비한 물질”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어법적으로는, ”관계대명사+불완전한 문장“의 관계를 기억하십시오.
- 5형식 문형의 수동태
- [a mysterious substance/ (that was thought/ <to fill/ the universe>]는 ”People thought/ a mysterious substance/ <to fill/ the universe>“의 문장을 관계절로 바꾼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 so that~ 용법
- ”~하도록 (하기 위해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 <a medium/ to move through>에서 “to move through”는 앞에 a medium을 수식하여 “(그것을) 관통하여 이동할”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이 용법은 일반적으로 문장 내에서 “~할/~하는/~하기 위한“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문장 7
The ether was a black cat, writes Firestein, and physicists had been theorizing in a dark room, and then experimenting in it, looking for evidence of a cat that did not exist.
주요 단어 정리
- theorize: 이론화하다, 가설을 세우다
- evidence: 증거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ether was a black cat,/
- 그 에테르가 검은 고양이였다,/
- writes Firestein,/
- 파이어스타인이 쓰기를,/
- and/
- 그리고/
- physicists <had been theorizing/ in a dark room>,/ and then/ <(had been) experimenting/ in it>,/
- 물리학자들이 이론화하고 있었습니다/ 어두운 방에서,/ 그런 다음/ 실험하고 있었습니다/ 그 안에서(그곳에서; 어두운 방 안에서),/
- [looking for/ evidence/ [of a cat/ that did not exist]].
- [찾으면서/ 증거를/ [고양이의/ 존재하지 않았던]].
어법 설명
- "Writes"와 "Wrote"의 선택: 현재 시제의 적합성
- 지문에서 "writes"는 Firestein의 아이디어가 현재 시점에서도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학문적 글쓰기에서는 저자의 주장이 현재에도 유효하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현재 시제(writes)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writes'는 Firestein의 진술이 현재에도 여전히 논의되고 있음을 암시합니다. 반면, "wrote"는 과거의 저술 행위를 강조할 때 적합하지만, 지문에서는 Firestein의 저술 내용을 현재적 맥락에서 전달하려는 의도로 "writes"가 적절한 선택입니다.
- 병치 구문
- <had been theorizing/ in a dark room>과 <(had been) experimenting/ in it>에서 주어의 동작을 2개의 동사구(과거완료 진행시제)로 표현하고 이를 and then으로 병렬로 연결한 구조입니다.
- 분사구문
- [looking for/ evidence/ [of a cat/ that did not exist]]는 [while they had been looking for~]의 종속절에서 주절의 시제와 종속절의 시제가 같아 접속사 while, 주어 they(=scientists)가 생략되고, had been이 being으로 변경된 후 역시 생략된 분사구문입니다.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빈칸 추론의 내용 확정
- 이 문장에서 “존재하지 않은 고양이” = “존재하지 않는 본질을 찾는 것”이라는 관계가 확정적으로 제시되어 있습니다. 지문 초반에 해답을 찾지 못한 분들도 여기에서 정답을 확신할 수 있습니다.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근거 문장 제시
- "Stuart Firestein opens his book, Ignorance, with an old proverb,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a black cat in a dark room, especially when there is no cat.”
- 이 문장에서 “어두운 방에서 존재하지 않는 검은 고양이 찾는 것”이 잘못된 개념임을 암시합니다.
- "This statement beautifully sums up the search for essences."
- 이 문장에서 “어두운 방에서 존재하지 않는 검은 고양이 찾는 것”이 “본질(주의)에 대한 탐구”라는 것을 명확히 지적합니다.
- "The ether was a black cat, writes Firestein, and physicists had been theorizing in a dark room, and then experimenting in it, looking for evidence of a cat that did not exist."
- 이 문장을 통해 “존재하지 않은 고양이” = “존재하지 않는 본질을 찾는 것”이라는 관계가 확정적으로 제시되어 있습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빈칸의 내용은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보게 만든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①번이 가장 적절합니다.
결론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33번 지문은 잘못된 개념이 본질에 대한 탐구를 잘못된 방향으로 이끌 수 있음을 경고합니다. 따라서 빈칸에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보도록 유도한다는 의미를 포함해야 합니다.
본 분석 내용을 통해 학생들은 빈칸 추론 문제에 대한 해설을 통해 논리적이고 효과적으로 답을 추론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자부합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