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34번 지문은 소셜 미디어를 통한 "일반적인 명성(ordinary fame)"과 전통적인 "엘리트 명성(elite celebrity)"의 차이를 설명하며, 각각이 상징하는 의미를 비교합니다. 특히, 소셜 미디어 명성이 기존 명성의 개념을 재구성(reconstruct)하는 방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장 구조와 맥락을 명확히 파악하며, 정답을 논리적으로 도출합니다. 이 글은 빈칸 추론 문제 해결 전략과 영어 독해 능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은 100% 다 그렇지는 않지만, 빈칸이 있는 문장부터 읽고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추론하라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4.
While social media attention is potentially an instrument to achieve ends like elite celebrity, some content creators desire ordinary fame as a social end in itself. Not unlike reality television stars, social media celebrities are often criticized for not having skills and talents associated with traditional, elite celebrity, such as acting or singing ability. This criticism highlights the fact that digital content creators face real barriers to crossing over to the sphere of elite celebrity. However, the criticism also misses the point that the phenomenon of ordinary celebrity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The elite celebrity is symbolized by the metaphor of the star, characterized by mystery and hierarchical distance and associated with naturalized qualities of talent and class. The ordinary celebrity attracts attention through regular and frequent interactions with other ordinary people. Achieving ordinary fame as a social media celebrity is like doing well at a game, because in this sphere, fame is nothing more nor less than relatively high scores on attention scales, the metrics of subscribers, followers, Likes, or clicks built into social media applications. [3점]
* sphere: 영역 ** metric: 측정 기준
① shifts to that of elite celebrity ② disappears gradually over time
③ focuses solely on talent and class ④ reconstructs the meaning of fame
⑤ restricts interactions with the public
문장별 분석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34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While social media attention is potentially an instrument to achieve ends like elite celebrity, some content creators desire ordinary fame as a social end in itself.
주요 단어 정리
- attention: 주목, 관심 (동의어: focus, awareness / 반의어: neglect)
- potentially: 잠재적으로, 가능성 있게 (동의어: possibly, conceivably / 반의어: improbably)
- instrument: 도구, 수단 (동의어: tool, means / 반의어: none)
- end: 목적, 목표 (동의어: goal, aim / 반의어: none)
- elite: 엘리트, 특권층 (동의어: privileged, high-ranking / 반의어: ordinary)
- celebrity: 명성, 유명인
- desire: 원하다, 바라다 (동의어: want, aspire to / 반의어: reject)
- achieve: 달성하다, 성취하다
- ordinary: 평범한, 일반적인 (동의어: common, typical / 반의어: elite, exceptional)
- in oneself: 그 자체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ile social media attention is potentially [an instrument/ [to achieve/ <ends/ like elite celebrity>]]],/
- [소셜 미디어의 관심이 잠재적으로 [도구가 되지만/ [달성하기 위한/ <목적을/ 엘리트 명성과 같은>]]],/
- some content creators desire/ ordinary fame/ as a social end/ in itself./
- 일부 콘텐츠 제작자들은 원합니다/ 일반적인 명성을/ 하나의 사회적 목적으로/ 그 자체로.
어법 설명
- 양보의 부사절[while+주어+동사]
- "While+주어+동사"은 양보를 나타내며, “~이긴 하지만/~인 반면에‘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an instrument/ [to achieve/ <ends/ like elite celebrity>]]"에서 "to achieve~"는 앞에 ”an instrument“를 수식하여 "엘리트 명성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장 2
Not unlike reality television stars, social media celebrities are often criticized for not having skills and talents associated with traditional, elite celebrity, such as acting or singing ability.
주요 단어 정리
- not unlike~: ~와 비슷하게
- criticize: 비판하다 (동의어: condemn, disapprove of / 반의어: praise)
- skill: 기술, 능력 (동의어: ability, expertise / 반의어: incompetence)
- talent: 재능 (동의어: aptitude, gift / 반의어: inabilit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Not unlike reality television stars,/
- 현실 TV 스타들과 비슷하게,/
- social media celebrities are often criticized/
- 소셜 미디어 유명인들도 종종 비판받습니다/
- [for not having/ [<skills and talents>/ (which or that are) associated/ [with traditional, elite celebrity,/ <such as acting or singing ability>]]].
- [가지고 있지 않은 것 때문에(부족하다는 이유로)/ [<기술이나 재능을(재능이)>/ 관련된/ [전통적 엘리트 명성과,/ <연기나 노래 능력 같은>]]].
어법 설명
- 이중부정으로 착각하기 쉬운 Not unlike
- "Not unlike"는 "~와 비슷하게"의 의미로, "similar to"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Not unlike"는 문법적으로도, 의미적으로도 영어에서 완전히 허용되는 표현입니다. 이는 단순히 "like"라고 표현하기보다 조심스럽게 유사성을 암시하거나, 약간의 차이를 강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로, Not unlike her sister, she is very talented. (그녀의 언니와 비슷하게, 그녀도 매우 재능이 있다.)
- 수동태[be+pp]
- "are often criticized"는 ”종종 비판을 받는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수동태는 일반적으로 문장 내에서 ’~되어지다/~당하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전치사의 목적어로 사용된 동사+ing[동명사]
- "for not having"는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가지고 있지 않다는 이유로/부족하다는 이유로“ 등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동명사는 문장 내에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 ”~되는“의 의미로 사용된 과거분사
- "[<skills and talents>/ (which or that are) associated/ [with traditional, elite celebrity,/ <such as acting or singing ability>]]"에서 ”associated“는 ’관련되는”의 의미로 앞에 <skills and talents>를 수식합니다. 의미상 및 형태상 <skills and talent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합니다.
문장 3
This criticism highlights the fact that digital content creators face real barriers to crossing over to the sphere of elite celebrity.
주요 단어 정리
- criticism: 비판, 비평
- highlight: 강조하다 (동의어: emphasize, underline / 반의어: downplay)
- fact: 사실
- face: 직면하다
- barrier: 장벽, 장애물 (동의어: obstacle, hurdle / 반의어: facilitator)
- cross over to~: ~로 넘어가다
- sphere: 영역, 국면, 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criticism highlights/
- 이 비판은 강조합니다/
- [the fact/ that digital content creators face/ [real barriers/ [to crossing over/ <to the sphere/ of elite celebrity>]]].
- [사실을/ 디지털 콘텐츠 제작자들이 직면한다는/ [실제 장벽에/ [넘어가는 것에 대한/ <영역으로/ 엘리트 명성의>]]].
어법 설명
- 동격절[형용사절]의 접속사 that
- "[the fact/ that digital content creators face/ [real barriers/ [to crossing over/ <to the sphere/ of elite celebrity>]]]"에서 “that”는 앞에 명사 “the fact”를 설명하며, ‘~라는“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전치사의 목적어로 사용된 동사+ing[동명사]
- "[to crossing over/ <to the sphere/ of elite celebrity>]"에서 “crossing over”는 “넘어가는 것”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동명사는 문맥에 따라 문장 내에서 일반적으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문장 4
However, the criticism also misses the point that the phenomenon of ordinary celebrity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주요 단어 정리
- however: 그러나
- miss the point that~: ~라는 요점을 놓치다
- phenomenon: 현상 (동의어: occurrence, event / 반의어: non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owever,/
- 그러나,/
- the criticism also misses/ [the point/ that <the phenomenon/ of ordinary celebrity>/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이 비판은/ 또한 놓칩니다/ 점을/ [일반적인 명성의 현상이/ ____________________________하다는].
어법 설명
- 접속부사 "however"
- 문장 내에서 "그러나 / 하지만"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동격절[형용사절]의 접속사 that
- "[the point/ that <the phenomenon/ of ordinary celebrity>/ ________________________]"에서 “that”는 앞에 명사 “the fact”를 설명하며, ‘~라는“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빈칸 추론의 단서
- 접속부사 However로 미루어 볼 때, ”digital content creators“들을 ”일반적인 명성“의 예로 이해하고, ”일반적인 명성과 문장 엘리트 명성의 유사성“을 기술한 1~문장 3까지의 내용과 상반되는 내용, 즉, 빈칸에는 문맥상 "ordinary celebrity"가 기존의 명성과 다르며, 이를 재구성하거나 새로운 방식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의미를 암시하는 내용이 들어가야 합니다. 다만, 문장 2와 문장 3에서 언급된 ”reality TV stars“와 ”digital content creators“가 각각 ”엘리트 명성“과 ”일반적인 명성“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명시된 기준이 제시되지 않고 문맥으로 판단해야 해서, 일부 수험생은 의미 파악에 어려움이 있을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그에 대한 명시적인 설명이 병행되었으면 보다 더 객관적인 글이 되었을 것입니다.
문장 5
The elite celebrity is symbolized by the metaphor of the star, characterized by mystery and hierarchical distance and associated with naturalized qualities of talent and class.
주요 단어 정리
- symbolize: 상징하다 (동의어: represent, embody / 반의어: conceal)
- metaphor: 은유 (동의어: analogy, comparison / 반의어: none)
- characterize: 특징짓다
- mystery: 신비로움
- hierarchical: 계층적인 (동의어: ranked, graded / 반의어: egalitarian)
- distance: 거리, 거리감 (동의어: separation, gap / 반의어: closeness)
- associate: 관련시키다, 연관짓다
- naturalized: 자연스러운, 당연시되는 (동의어: normalized, established / 반의어: unnatural)
- class: 계급, 계층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elite celebrity/
- 엘리트 명성은/
- [is symbolized/ <by the metaphor/ of the star>],/
- [상징되고/ <은유로/ 별이라는>],/
- [(is) characterized/ <by mystery and hierarchical distance>]/
- [특징지어지며/ <신비로움과 계층적 거리감으로>],
- and/
- 그리고/
- [(is) associated/ [with naturalized qualities/ <of talent and class>]].
- [관련됩니다/ [자연스러운 특성과/ <재능과 계급의>]].
어법 설명
- 수동태의 병렬 연결 구조
- 이 문장의 주어는 “The elite Celebrity“이며 동사는 3개의 동사구 "[is symbolized/ <by the metaphor/ of the star>]", "[(is) characterized/ <by mystery and hierarchical distance>]", 및 "[(is) associated/ [with naturalized qualities/ <of talent and class>]]"가 등위 접속사 and로 병렬로 연결된 구조입니다. 동사 is가 처음 동사구에만 사용되고 나머지 동사구에선 생략된 형태입니다.
문장 6
The ordinary celebrity attracts attention through regular and frequent interactions with other ordinary people.
주요 단어 정리
- attract: (관심을) 끌다, 끌어당기다, 매혹하다 (동의어: draw, appeal to / 반의어: repel)
- attract attention: 관심을 끌다
- regular: 정기적인, 규칙적인
- frequent: 빈번한 (동의어: repeated, regular / 반의어: rare)
- interaction: 상호작용, 교류 (동의어: communication, engagement / 반의어: isolation)
- ordinary: 평범한, 보통의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ordinary celebrity attracts/ attention/ <through regular and frequent interactions>/ <with other ordinary people>.
- 일반적인 유명인은 끕니다/ 관심을/ <정기적이고 빈번한 상호작용을 통해>/ <다른 평범한 사람들과의>.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문장 7
Achieving ordinary fame as a social media celebrity is like doing well at a game, because in this sphere, fame is nothing more nor less than relatively high scores on attention scales, the metrics of subscribers, followers, Likes, or clicks built into social media applications.
주요 단어 정리
- achieve: 이루다, 달성하다 (동의어: accomplish, attain / 반의어: fail)
- be like doing well at~: ~을 잘하는 것과 같다
- nothing more nor less than~: ~이상도 이하도 아닌 것
- attention scale: 관심의 척도
- metric: 측정 기준 (동의어: measure, standard / 반의어: none)
- subscriber: 구독자 (관련어: follower, viewer)
- follower: 팔로워
- click: 클릭, 선택 (관련어: hit, tap)
- built into~: ~에 내장된
- application: 어플리케이션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chieving/ ordinary fame/ as a social media celebrity>/ is like doing well/ at a game,/
- <이루는 것은 일반적인 명성을/ 소셜 미디어 유명인으로서>/ 잘하는 것과 같습니다/ 게임을,
- [because/ in this sphere,/ fame is nothing more nor less than relatively high scores/ on attention scales,/ [[the metrics/ <of subscribers,/ followers,/ Likes,/ or clicks>]/ (which or that are) built/ into social media applications]].
- [왜냐하면/ 이 영역에서,/ 명성은 높은 점수 이상도 이하도 아닌 것이기(아니기) 때문입니다/ 관심의 척도에서,/ [[기준인/ <구독자,/ 팔로워,/ 좋아요,/ 혹은 클릭수라는>]/ 내장된/ 소셜 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Achieving(이루는 것)”으로 단수이고 동사구도 동사구도 단수 형태인 “is like doing well”이 사용되었음에 유의하십시오.
- 이유의 부사절[because+주어+동사]
- “(왜냐하면) 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비교 표현 nothing more nor less than~
- “A도 B도 아닌(neither[no] A nor B)”와 “~이상(more than~)”과 “~이하(less than)”의 표현과 합성된 일종의 변형 형태로 neither나 no 대신 부정 대명사 nothing 쓰여 “~이상도 이하도 아닌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동격 표현
- “attention scales(관심의 척도)”와 “[[the metrics/ <of subscribers,/ followers,/ Likes,/ or clicks>]/ (which or that are) built/ into social media applications]”는 동격입니다. 따라서 해석도 “~의 측정 기준이라는 관심의 척도”으로 해석됩니다.
- “~되는”의 의미로 사용된 동사+ed[과거분사]
- "[[the metrics/ <of subscribers,/ followers,/ Likes,/ or clicks>]/ (which or that are) built/ into social media applications]"에서 “built (into)”는 “(~에) 내장된”의 의미를 전달하며, 형태상 의미상 선행사인 "[the metrics/ <of subscribers,/ followers,/ Likes,/ or click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가 생략된 것과 동일합니다.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소셜 미디어를 통해 발생하는 일반적인 명성(ordinary fame)과 기존 엘리트 명성(elite celebrity)의 차이”
근거 문장
- While social media attention is potentially an instrument to achieve ends like elite celebrity, some content creators desire ordinary fame as a social end in itself.
- Not unlike reality television stars, social media celebrities are often criticized for not having skills and talents associated with traditional, elite celebrity, such as acting or singing ability.
- This criticism highlights the fact that digital content creators face real barriers to crossing over to the sphere of elite celebrity.
정답 제시
- 결론적으로, "ordinary celebrity"가 기존 명성을 재구성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④번이 빈칸에 가장 적절합니다.
결론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34번 지문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발생하는 일반적인 명성(ordinary fame)과 기존 엘리트 명성(elite celebrity)의 차이를 설명하며, 명성의 의미를 재구성(reconstruct)하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본 분석 내용을 통해 학생들은 빈칸 추론 문제에 대한 해설을 통해 논리적이고 효과적으로 답을 추론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