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35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35번 지문은 시험을 위한 벼락공부(cramming)가 효과적인 학습 전략이라는 잘못된 착각에 대해 논의하며, 단기 기억(short-term memory)과 장기 기억(long-term memory)의 차이점과 효과적인 학습 방법을 설명합니다. 특히, 단기 기억에 의존하는 벼락공부의 단점을 강조하고, 반복적인 복습과 자기 테스트가 학습 성과를 높이는 데 필수적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와 구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관련 없는 문장을 논리적으로 찾아내어 독해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접근법을 제공합니다.
“위에서 아래로” 독해해 가면서 글의 주제를 찾고 독해하고 있는 문장이 그 주제와 관련되는지 여부를 확인해 가면서 독해해 나간다면 어렵지 않게 답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5.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Why do we have the illusion that cramming for an exam is the best learning strategy? Because we are unable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various sections of our memory. Immediately after reading our textbook or our class notes, information is fully present in our mind. ① It sits in our conscious working memory, in an active form. ② We feel as if we know it, because it is present in our shortterm storage space ... but this shortterm section has nothing to do with the longterm memory that we will need in order to recall the same information a few days later. ③ After a few seconds or minutes, working memory already starts disappearing, and after a few days, the effect becomes enormous: unless you retest your knowledge, memory vanishes. ④ Focusing on exploring new topics rather than reviewing the same material over and over again can improve your academic performance. ⑤ To get information into longterm memory, it is essential to study the material, then test yourself, rather than spend all your time studying. * cram: 벼락 공부를 하다
문장별 분석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35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Why do we have the illusion that cramming for an exam is the best learning strategy?
주요 단어 정리
- illusion: 착각, 환상 (동의어: delusion, misconception / 반의어: reality)
- cram: 벼락공부를 하다
- strategy: 전략 (동의어: tactic, plan / 반의어: improvisatio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y/ do we have/
- 왜/ 우리는 가지는가/
- [the illusion/ that <cramming/ for an exam>/ is the best learning strategy]?
- [착각을/ <벼락공부가/ 시험을 위한>/ 최고의 학습 전략이라는]?
어법 설명
- 동격절[형용사절]의 접속사 that
- "[the illusion/ that <cramming/ for an exam>/ is the best learning strategy]"에서 “that”은 앞에 나온 명사 “illusion”을 설명하는 동격절의 접속사입니다. “~라는”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문장 2
Because we are unable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various sections of our memory. Immediately after reading our textbook or our class notes, information is fully present in our mind.
주요 단어 정리
- be unable to 부정사: ~할 수 없다
- differentiate: 구별하다 (동의어: distinguish, discern / 반의어: confuse)
- differentiate between~: ~사이를 구별하다
- various: 다양한 (동의어: diverse, multiple / 반의어: identical)
- section: 부분, 부문, 영역
- immediately: 즉시, 바로
- textbook: 교과서
- class note: 수업 노트
- present: 존재하는
- fully: 완전히, 온전히 (동의어: completely, entirely / 반의어: partiall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ecause we are unable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various sections/ of our memory>].
- [우리가 구별할 수 없기 때문에/ <다양한 부분들 사이를/ 우리 기억의>].
- Immediately/ [after reading/ <our textbook or our class notes>],/
- 바로/ [읽은 후에/ <우리 교과서나 수업 노트를>],/
- information is fully present/ in our mind.
- 정보는 완전히 존재한다/ 우리의 마음 속에.
어법 설명
- 이유의 부사절[because+주어+동사]
- “(왜냐하면) ~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논리적 흐름을 고려한 접속사 선택의 필요성
- “현재 문장에서 "Because"를 사용한 인과관계 표현은 논리적으로 다소 부자연스럽게 보일 수 있습니다. 문맥상, "기억의 구별 불가"와 "정보가 단기 기억에 존재하는 현상"은 인과관계로 연결되기보다는, 서로 상반된 두 사실로 이해될 가능성이 더 큽니다. 이런 경우, "Though," "Although," 또는 "Even though", "Even though"와 같은 양보의 접속사를 사용하면 두 사실 간의 대조적 의미를 강조하면서 문장의 의도와 논리적 흐름이 더욱 명확하게 전달될 수 있습니다.
문장 3
It sits in our conscious working memory, in an active form.
주요 단어 정리
- sit: 자리 잡고 있다, 자리 잡다
- conscious: 의식의, 의식적인 (동의어: aware, intentional / 반의어: unconscious)
- working memory: 작동 기억 (단기 기억의 일부)
- in an active form: 활성화된 상태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t sits/ in our conscious working memory,/ in an active form.
- 그것은 자리 잡고 있습니다/ 우리의 의식의 작동 기억 속에,/ 활성화된 형태로.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문장 4
We feel as if we know it, because it is present in our short-term storage space ... but this short-term section has nothing to do with the long-term memory that we will need in order to recall the same information a few days later.
주요 단어 정리
- short-term: 단기(의)
- storage space: 저장 공간
- have nothing to do: 관계가 없다
- long-term: 장기(의)
- long-term memory: 장기 기억
- in order to 부정사: ~하기 위해서
- recall: 기억해내다 (동의어: remember, recollect / 반의어: forget)
- a few days later: 며칠 후에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e feel/ [as if we know/ it],/
- 우리는 느낍니다/ [마치 우리가 아는 것처럼/ 그것을],/
- [because it is present/ in our short-term storage space],/[
- 왜냐하면 그것이(정보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단기 저장 공간 안에],/
- but/
- 하지만/
- this short-term section/ has nothing to do/
- 이 단기 기억 영역은 관계가 없습니다/
- [with the long-term memory/ that we will need/ <in order to recall/ the same information/ a few days later>].
- [장기 기억과/ 우리가 필요로 할/ <기억해내기 위해/ 같은 정보를/ 며칠 후에>].
어법 설명
- 가정법[as if+주어+과거형 동사]
- "~인 것처럼"의 의미를 전달하며, 가정적 상황을 나타냅니다.
- 가정법 시제 준수의 중요성: "as if" 표현에서의 개선 필요성
- 지문의 문장에서 "We feel/ [as if we know/ it]"라는 표현은 가정법 시제의 원칙을 엄격히 따르지 않았다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습니다. "as if"는 사실과 반대되거나 가정적인 상황을 나타낼 때 가정법 과거 시제를 사용해야 하므로, "We feel/ [as if we knew/ it]"이 더 적합한 표현입니다. 공식 시험 지문에서는 문법적으로 엄격한 표현이 요구됩니다. 따라서, 가정법 시제를 명확히 반영하는 표현으로 수정하면, 문법적 정확성을 유지하고 학생들에게도 혼란을 줄일 수 있습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
- "the long-term memory/ that we will need/ <in order to recall/ the same information/ a few days later>"에서 “that”는 선행사인 “the long-term memory”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입니다.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허고 언제나 생략이 가능하며 “which“로 대체가 가능합니다. “관계대명사+불완전한 문장”의 관계를 기억하십시오.
문장 5
Focusing on exploring new topics rather than reviewing the same material over and over again can improve your academic performance.
주요 단어 정리
- explore: 탐구하다 (동의어: investigate, examine)
- rather than~: ~하기 보다
- review: 복습하다
- material: 자료
- academic performance: 학업 성취도
- over and over again: 계속해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cusing/ <on exploring/ new topics>]/ [rather than reviewing/ the same material/ over and over again]/
- [집중하는 것이/ <탐구하는 것에/ 새로운 주제를>]/ [복습하기보다/ 같은 자료를/ 반복해서]/
- can improve/ your academic performance.
- 개선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학업 성취도를.
어법 설명
- 동명사 주어의 비교
- 이 문장의 주어는 “Focusing~”이고 이에 대해 “rather than~“을 사용하여 서로 비교하고 있어, ”rather than“ 이후에는 동급의 동명사가 와야 합니다. 간혹, 출제되는 부분이므로 기억하십시오.
- 문장의 관련성 여부 판단
- 이 문장은 "벼락공부의 단점"과 "효과적인 복습과 자기 테스트"의 필요성을 설명하는 글의 중심 내용과 상반된 주장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글 전체는 "복습과 자기 테스트가 학습에 필수적"이라는 주장을 중심으로 전개되지만, 이 문장은 복습 대신 새로운 주제를 탐구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다른 관점을 제시하고 있어 전체 문맥과 어울리지 않습니다.
문장 6
To get information into long-term memory, it is essential to study the material, then test yourself, rather than spend all your time studying.
주요 단어 정리
- essential: 필수적인 (동의어: necessary, vital / 반의어: unnecessary)
- test yourself: 스스로 시험하다
- spend 시간 ~ing: ~하면서 시간을 보내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o get/ information/ into long-term memory>,/
- <얻기 위해서/ 정보를/ 장기 기억 속으로>,/
- it is essential/ [<to study/ the material>,/ then/ <(to) test/ yourself>],/
- 그것이 필수적입니다/ [<학습하는 것이/ 자료를>,/ 그런 다음/ <테스트하는 것이/ 스스로를>],
- <rather than spend/ all your time/ studying>.
- <보내기보다/ 당신의 모든 시간을/ 학습하면서>.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get/ information/ into long-term memory>"에서 사용된 어법
- it(가주어) to 부정사(진주어):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 "it is essential/ [<to study/ the material>,/ then/ <(to) test/ yourself>]"에서 “it“는 가주어, to 부정사인 ”<to study/ the material>“와 ”<(to) test/ yourself>“는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또한 진주어로 사용된 to 부정사는 then으로 연결괸 병치 구문입니다.
- 학습 전략 표현의 구체화 필요성
- 현재 문장에서는 "the material"과 "studying"이라는 표현이 다소 모호하여 독자에게 구체적인 학습 상황을 명확히 전달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먼저, "the material"을 "the material you have already studied"로 수정하면, "이미 학습한 자료를 복습하고 테스트한다"는 문맥을 명확히 할 수 있습니다. 또한, "studying"을 "studying/ something new"로 변경하면, 새로운 학습과 반복 학습의 차이를 강조하며, 문장의 의도가 더 명확하게 전달됩니다. 이런 구체화는 독자의 이해도를 높이고, 문장의 완성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분사 구문
- "studying"은 "[while you study]"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you가 생략되고 동사 "study"가 "studying"으로 변경된 분사 구문입니다. spend+시간+V-ing: "~하면서 시간을 보내다"로 관용적 표현으로 단순 암기하는 것보다 더 오래 기억할 수 있습니다.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벼락치기 학습 방법의 단점: 복습과 자기 테스트의 중요성“
정답 제시
- 정답: ④번입니다.
결론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35번 지문은 효과적인 학습 전략으로 벼락공부의 단점을 지적하고, 복습과 자기 테스트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문장 5는 글의 중심 논지인 '복습과 자기 테스트의 중요성'과 상반되는 '새로운 주제 탐구'를 권장하고 있어, 전체 흐름과 일치하지 않는 문장으로 판단됩니다.
이 분석은 학생들에게 논리적 사고와 텍스트의 핵심 흐름을 파악하는 능력을 키우는 데 도움을 주며, 보다 깊이 있는 문제 해결력을 갖추도록 돕습니다.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와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Chunk)를 기반으로 한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적 차이와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으로 한 의미 해석은 독자의 영어 독해력 향상을 지원하며, 상세한 어법(문법) 설명은 문장의 구조적 이해를 강화합니다.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