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36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36번 지문은 거울 뉴런(mirror neurons)과 이를 통해 인간이 관찰을 통한 학습을 수행하는 방식을 설명합니다. 관찰 학습은 태어나면서부터 시작되며, 아기들이 부모의 행동을 모방하는 초기 모습부터 점차 복잡한 문화적 행동을 배우는 방식으로 확장됩니다.
순서 배열 문제에 대한 Tip을 드리자면, 각 단락 간의 논리적 관계뿐만 아니라 각 단락 내에 사용된 접속부사, 대명사, 지시 형용사, 지시 대명사, 어휘를 바꿔서 표현하지만, 반복되는 표현에 유의하면서 순서를 파악해 나가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와 구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문장 배열 순서를 논리적으로 찾아내어 독해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접근법을 제공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6~37]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6.
The discovery of mirror neurons has profoundly changed the way we think of a fundamental human capacity, learning by observation.
(A) You may not see the tongue stick out each time you stick yours out at your newborn, but if you do it many times, the tongue will come out more often than if you do something different. Babies babble and later start to imitate the sounds their parents produce.
(B) As children we learn a lot by observing what our parents and friends do. Newborns, in the first week of life, have an inborn tendency to stick out their tongue if their parents stick out theirs. Such imitation is not perfect.
(C) Later still, they play with vacuum cleaners and hammers in imitation of their parents. Our modern cultures, in which we write, speak, read, build spaceships and go to school, can work only because we are not restricted to the behavior we are born with or learn by trial and error. We can learn a lot by simply watching others.* babble: 옹알이하다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
문장별 분석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36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제시된 문장
The discovery of mirror neurons has profoundly changed the way we think of a fundamental human capacity, learning by observation.
주요 단어 정리
- discovery: 발견 (동의어: finding, detection / 반의어: ignorance)
- mirror neuron: 거울 뉴런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며 활성화되는 신경)
- profoundly: 깊이, 크게 (동의어: deeply, significantly / 반의어: superficially)
- capacity: 능력 (동의어: ability, capability / 반의어: incapacity)
- learning by observation: 관찰을 통한 학습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discovery/ of mirror neurons>/ has profoundly changed/
- <발견은/ 거울 뉴런의>/ 깊이 변화시켰습니다/
- [[the way/ (how) we think]/ [of a fundamental human capacity/ (which or that is) learning(→of learning)/ by observation]].
- [그 방식을/ 우리가 생각하는/ [인간의 근본적인 능력에 대해서/ 학습하고 있는/ 관찰에 의해]].
어법 설명
- 현재완료 시제[have + pp]
- “has profoundly changed”는 현재완료 시제로, 과거의 사건(거울 뉴런의 발견)이 현재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 관계부사 how의 생략
- "[the way/ (how) we think]"에서 선행사인 "the way"와 관계부사 "how"는 함께 사용할 수 없으며, 둘 중 하나는 반드시 생략해야 합니다.
- "~하고 있는 / ~하는"의 의미로 사용된 V-ing(현재분사)
- “a fundamental human capacity/ (which or that is) learning(→of learning)/ by observation”에서 "learning"은 "학습하고 있는, 학습하는"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선행사 "a fundamental human capacity"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 가 생략된 구조와 동일합니다.
- 관찰 학습 능력 표현의 명확성 제고
- "a fundamental human capacity/ (which or that is) learning(→of learning)/ by observation"라는 표현은 "a fundamental human capacity"가 '학습을 한다'는 의미로 오해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a fundamental human capacity/ of learning/ by observation"으로 수정하면, "관찰을 통한 학습이라는 능력"이라는 문장의 의도가 명확히 전달됩니다.
단락 A
You may not see the tongue stick out each time you stick yours out at your newborn, but if you do it many times, the tongue will come out more often than if you do something different. Babies babble and later start to imitate the sounds their parents produce.
주요 단어 정리
- stick out: 튀어나오다, 내밀다 (동의어: protrude / 반의어: retract)
- each time (when)~: ~할 때마다
- newborn: 신생아
- babble: 옹알이하다
- imitate: 모방하다 (동의어: mimic, copy / 반의어: innovat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You may not see/ the tongue/ stick out/
- 당신은 보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혀를(혀가)/ 나온/
- [each time/ (when) you stick yours out/ at your newborn],/
- [매번/ 당신이 혀를 내미는(당신이 당신의 혀를 내밀 때마다)/ 당신의 신생아에게].
- but/
- 하지만/
- [if you do/ it/ many times],/
- [만약 당신이 한다면/ 그것을/ 여러 번],/
- the tongue will come out/ more often/
- 혀가 더 자주 나올 것입니다/
- [than if you do/ something different].
- [당신이 하는 경우보다/ 다른 것을(행동을)].
- Babies [babble]/ and/ later/ [start to imitate/ [the sounds/ (which or that) their parents produce]].
- 아기들은 옹알이를 합니다/ 그리고/ 이후에/ 모방하기 시작합니다/ [소리를/ 부모가 (만들어) 내는].
어법 설명
- 5형식 문형 "5형식 지각동사 + 목적어 + 목적격 보어(동사원형 / V-ing)"
- "may not see/ the tongue/ stick out"에서 사용된 어법. 5형식 지각동사는 목적격 보어로 동사원형이나 현재분사(V-ing)를 목적격 보어로 취합니다. “stick out“은 ”(튀어) 나오다“의 자동사적 의미 또는, ”내밀다“의 타동사적 의미 둘 다를 전달합니다.
- 관계부사 when의 생략
- "[each time/ (when) you stick yours out/ at your newborn]"는 선행사인 "each time"을 수식하는 관계부사 "when"이 생략된 구조입니다. 관계부사절의 경우, 선행사나 관계부사 둘 중 하나는 언제나 생략 가능합니다.
- 조건의 부사절[if+주어+동사]
- "[if you do/ it/ many times]"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 ~한다면”의 직설법 조건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동사구의 병렬 구조
- 두 개의 동사구 “[babble]”과 “[start to imitate/ [the sounds/ (which/that) their parents produce]]”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생략
- "[the sounds/ (which or that) their parents produce]"에서 생략된 "(which or that)"는 선행사, "the sounds"를 수식하여 "그들의(아기들의) 부모들이 (만들어)내는 소리(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정확한 의미 전달을 위한 구체적 한정사의 사용 필요성
- 이 문장에서 "the tongue"이라는 표현이 반복 사용되었지만, 첫 번째는 "your tongue(당신의 혀)"를, 두 번째는 "your newborn’s tongue(아기의 혀)"를 의미합니다. 의미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한정사 "the"가 사용되어 문맥상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이를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 첫 번째는 "your tongue," 두 번째는 "its tongue"으로 구체화하면, 문장의 의미가 더욱 분명하게 전달될 것입니다.
단락 B
As children we learn a lot by observing what our parents and friends do. Newborns, in the first week of life, have an inborn tendency to stick out their tongue if their parents stick out theirs. Such imitation is not perfect.
주요 단어 정리
- as children: 어린 시절에
- a lot: 많은 것
- observe: 관찰하다 (동의어: watch, notice / 반의어: ignore)
- inborn: 타고난 (동의어: innate, congenital / 반의어: acquired)
- tendency: 경향 (동의어: inclination, propensity / 반의어: aversion)
- imitation: 모방 (동의어: mimicry, replication / 반의어: innovatio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s children,/ we learn/ a lot/
- 어린 시절에,/ 우리는 배웁니다/ 많은 것을/
- [by observing/ [what our parents and friends do]].
- [관찰함으로써/ [우리 부모들과 친구들이 하는 것을]].
- Newborns,/ <in the first week/ of life>,/ have/
- 신생아들은,/ <첫 주에/ 삶의(생후)>,/ 가지고 있습니다/
- [an inborn tendency/ <to stick out/ their tongue>]/
- [타고난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내미는/ 그들의 혀를>]/
- [if their parents stick out/ theirs].
- [만약 부모가 내밀면/ 그들의 혀를].
- Such imitation is not perfect.
- 그러한 모방은 완벽하지 않습니다.
어법 설명
- "~하는 것"의 의미로 사용된 V-ing(동명사)
- "by observing"에서 "observing"는 "관찰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다만, 보다 한국말스럽게 "by observing"이 "관찰함으로써"로 의역되는 것입니다.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하는 것"
- "[what our parents and friends do]"에서 "what"은 선행사를 포한한 관계대명사로, "우리의 부모들과 친구들이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an inborn tendency/ <to stick out/ their tongue>]”에서 “to stick out“은 앞에 나온 명사구인 "inborn tendency"를 수식하여, ”내미는“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조건의 부사절[if+주어+동사]
- "[if their parents stick out/ theirs]"에서 사용된 어법. “만약 ~한다면”의 직설법적 조건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정확한 시점을 명확히 표현하기 위한 어휘 선택 필요성
- "<in the first week/ of life>"는 "첫 주 동안"이라는 제한적 의미로 해석될 여지가 있습니다. 그러나 본문은 "태어남과 동시에 시작되는 본능적 행동"을 강조하는 맥락이므로, 이를 더 명확히 전달하기 위해 "from the time of their birth"로 수정하는 것이 더 적합합니다.
- 수의 일치의 문제
- 복수 주어 "newborns"와 함께 "their tongue"을 쓰면, 마치 여러 신생아들이 "하나의 혀"를 공유하는 것처럼 들립니다. 이건 논리적으로 어색하고, 문법적으로도 부적절하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their tongues"로 수정하면, 신생아 각각의 혀를 지칭함을 명확히 할 수 있습니다. 한국어에서는 "신생아들은 혀를 내민다"라고 단수로 표현해도 문제없지만, 영어에서는 "각각의 혀들"임을 복수형으로 나타내는 것이 필요합니다.
단락 C
Later still, they play with vacuum cleaners and hammers in imitation of their parents. Our modern cultures, in which we write, speak, read, build spaceships and go to school, can work only because we are not restricted to the behavior we are born with or learn by trial and error. We can learn a lot by simply watching others.
주요 단어 정리
- still: 그러나
- vacuum cleaner: 진공청소기
- in imitation of~: ~를 모방하여
- trial and error: 시행착오
- be restricted to~: ~에 제한되다
- simply: 단순히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Later/ still,/ they play/ <with vacuum cleaners and hammers>/
- 나중에는,/ 그러나,/ 그들은 놉니다/ [진공청소기와 망치를 가지고]/
- in imitation of their parents./
- 그들의 부모를 모방하면서./
- [Our modern cultures/, in which/ we write,/ speak,/ read,/ build spaceships/ and/ go to school],/
- [우리의 현대 문화는,/ 그리고 그 안에서/ 우리가 글을 쓰고, 말하고, 읽고, 우주선을 만들고, 학교에 가는],/
- can work/ only/
- 작동할 수 있습니다/ 오로지/
- [because we are not restricted/ [to the behavior/ (which or that) we [are born with]/ or/ [learn/ by trial and error]]].
- [우리가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그 행동에만/ [우리가 가지고 태어나거나]/ 또는/ [(우리가) 시행착오를 통해 배우는]]].
- We can learn/ a lot/ <by simply watching/ others>.
- 우리는 배울 수 있습니다/ 많은 것을/ <단순히 관찰함으로써/ 다른 사람들을>.
어법 설명
- 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 in which
- "[Our modern cultures/, in which/ we write,/ speak,/ read,/ build spaceships/ and/ go to school]”에서 “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관계부사]” ", in which"는 앞의 선행사 “Our modern cultures”와 연결되어, “~하는 문화”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관계부사]+완전한 문장”의 관계를 기억하십시오.
- 이유의 부사절[because+주어+동사]
- "[because we are not restricted/~]"에서 사용된 어법. “(왜나하면) ~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수동태[be not restricted by+행위자]
- “~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생략
- “the behavior/ (which or that) [we are born with]/ or/ [learn/ by trial and error]"에서 선행사인 “the behavior“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나 "that"이 생략된 문형입니다. 이 경우, 전치사 with가 관계대명사 앞으로 오게 되면 생략할 수 없습니다. ”관계대명사+불완전한 문장“의 관계를 기억하십시오.
- 관계절 내 동사구의 병렬 연결
- 관계절 내 두 개의 동사구 "[are born with]"와 "[learn/ by trial and error]"가 or로 병렬 연결된 구조.
문제 풀이와 정답
순서 분석 (문해력을 갖춘 독자용)
- (B)에서 신생아 시기의 관찰 학습에서 시작됩니다. (B)는 "Newborns, in the first week of life~"로 시작하며, 관찰 학습의 초기 단계를 설명합니다.
- (A) 이후, 부모의 행동을 모방하는 구체적인 사례를 언급하며 "Babies babble~"과 같은 표현으로 학습 과정이 심화됩니다.
- (C)에서 현대 문화를 언급하며 관찰 학습이 개인적 습득 단계를 넘어 사회적 진보로 확장된다는 결론을 내립니다.
순서 분석 (문해력이 약한 독자용)
- 접속부사 및 연결어를 통한 추론
- (B)에서 특정 상황의 도입(As children we learn~)이 이루어지고, (A)에서 구체적 사례로 연결됩니다. (C)는 "Later still~"이라는 표현으로 시간이 흐른 이후의 발전된 상황을 제시합니다. 접속부사 "Later still"은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므로 반드시 초기 사례가 먼저 제시되어야 (C)가 자연스럽게 위치할 수 있습니다.
- 지시 형용사 및 대명사를 통한 연결
- (C)에서 "they play~"는 앞선 문장에서 등장한 "babies"나 "children"을 지칭합니다. 이는 (B)와 (A)에서 등장한 주체를 이어받는 구조로, (C)는 마지막에 와야 자연스럽습니다.
- 내용적 흐름
- (B)는 관찰 학습의 출발점, (A)는 구체적 사례, (C)는 관찰 학습이 현대 문화로 연결되는 점을 서술합니다.
정답 제시
- 결론적으로, 문장 순서는 (B) - (A) - (C)가 적절합니다.정답: ② (B) - (A) - (C)
결론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36번 지문은 거울 뉴런의 발견이 인간의 관찰 학습 능력을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다룹니다. 각 단락은 학습 과정이 단순 모방에서 현대 문명의 복잡한 행동으로 발전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B)에서 관찰 학습의 초기 단계를 소개하고, (A)에서 이를 통해 반복 학습이 이루어지는 사례를 제시하며, (C)에서 이러한 학습 방식이 어떻게 현대 문화를 가능하게 했는지 설명합니다. 다만 다소 아쉬운 점은 약간 어색한 표현이나 오류가 있었다는 점입니다.
본 분석을 통해 학생들은 논리적으로 단락과 단락 사이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파악하는 동시에 지문 내 사용된 접속부사, 대명사, 지시 형용사, 지시 대명사 및 반복되는 의미를 통해 정확한 글의 순서를 파악하는 훈련을 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은 글의 구조를 명확히 이해하도록 돕고, 문장 순서 배열 문제의 해법을 논리적으로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독해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동시에 향상시키길 바랍니다!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