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41번 & 42번 문제는 고등교육의 대중화와 그에 따른 평가 시스템의 변화를 다룹니다. 고등교육이 소수 엘리트를 위한 체제에서 대중적 체제로 전환되면서 정치적, 경제적 요구를 반영하며 고등교육의 접근성과 평가 방식이 변화했음을 설명합니다. 특히, 대중 고등교육의 평가에서 야기하는 모순점을 중점적으로 논의합니다.
이번 유형의 문제 해결 Tip은 “위에서 아래로” 독해를 하면서 글의 핵심 주장이나 내용을 찾고 그 내용에서 벗어나는 어휘를 찾음과 동시에 핵심 주장이나 내용을 통해 글에 가장 어울리는 제목을 찾는 것입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적 차이와 수식 구조의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 설명 및 어법 설명과 함께 제공되는 문제를 푸는 Tip은 구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독해력에 기반을 둔 단서 찾기가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접근법을 제공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41~4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Higher education has grown from an elite to a mass system across the world. In Europe and the USA, (a) increased rates of participation occurred in the decades after the Second World War. Between 2000 and 2014, rates of participation in higher education almost doubled from 19% to 34% across the world among the members of the population in the schoolleaving age category (typically 18-23). The dramatic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has been marked by a wider range of institutions of higher learning and a more diverse demographic of students.
Changes from an elite system to a mass higher education system are associated with political needs to build a (b) specialised workforce for the economy. In theory, the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to develop a highly skilled workforce should diminish the role of examinations in the selection and control of students, initiating approaches to assessment which (c) block lifelong learning: assessment for learning and a focus on feedback for development. In reality, sociopolitical changes to expand higher education have set up a ‘field of contradictions’ for assessment in higher education. Mass higher education requires efficient approaches to assessment, such as examinations and multiplechoice quizzes, with minimalist, (d) impersonal, or standardised feedback, often causing students to focus more on grades than feedback. In contrast, the relatively small numbers of students in elite systems in the past (e) allowed for closer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and their teachers, with formative feedback shaping the minds, academic skills, and even the characters of students.
* demographic: 인구집단
41.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Is It Possible to Teach Without Assessment?
② Elite vs. Public: A History of Modern Class Society
③ Mass Higher Education and Its Reality in Assessment
④ Impacts of Mass Higher Education on Teachers’ Status
⑤ Mass Higher Education Leads to Economic Development
42. 밑줄 친 (a)~(e) 중에서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① (a) ② (b) ③ © ④ (d) ⑤ (e)
문장별 분석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Higher education has grown from an elite to a mass system across the world.
주요 단어 정리
- higher education: 고등교육
- grow: 성장[발전]하다
- from A to B: A에서 B로
- elite: 엘리트, 소수의 특권 계층
- mass system: 대중 체제 (동의어: public system / 반의어: elite system)
- across the world: 전 세계적으로 (동의어: (all) over the worl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igher education has grown/ <from an elite (system)/ to a mass system>/ across the world].
- 고등교육이 성장했습니다/ <엘리트 체제에서/ 대중 체제로>/ 전 세계적으로].
어법 설명
- 현재완료 시제[has[has]+pp]
- "has grown"은 고등교육의 변화를 현재까지 이어지는 결과로 나타냅니다.
문장 2
In Europe and the USA, (a) increased rates of participation occurred in the decades after the Second World War.
주요 단어 정리
- increased: 증가된 (동의어: risen, heightened / 반의어: decreased, diminished)
- rate of participation: 참여율
- decade: 10년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Europe and the USA>,/
- <유럽과 미국에서>/
- [(a) increased <rates/ of participation>]/ occurred/
- [(a) 증가된 <참여율이>]/ 발생했습니다/
- <in the decades/ after the Second World War>.
- <수십 년 동안/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어법 설명
- 어휘 사용의 적절성 판단
- (a) "increased rates"는 문맥상 적절하게 "증가한 참여율"을 의미하며, 문맥상 적절합니다.
문장 3
Between 2000 and 2014, rates of participation in higher education almost doubled from 19% to 34% across the world among the members of the population in the schoolleaving age category (typically 18-23).
주요 단어 정리
- between A and B: A와 B 사이에
- double: 두 배가 되다 (동의어: multiply by two / 반의어: halve)
- school-leaving age category: 학업을 마치는 나이대
- typically: 일반적으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etween 2000 and 2014>,/
- [2000년과 2014년 사이에]/
- [<rates/ of participation>/ in higher education]/ almost doubled/
- [<참여율이>/ <고등교육에서의>]/ 거의 두 배가 되었습니다/
- <from 19%/ to 34%]/ across the world/
- <19%에서/ 34%로>/ 전 세계적으로/
- [among the members/ [of the population/ <in the school-leaving age category/ (typically 18-23)>]].
- [구성원들 사이에서/ [인구의/ <학업을 마치는 나이대에 있는/ (일반적으로 18-23세)의>]].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문장 4
The dramatic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has been marked by a wider range of institutions of higher learning and a more diverse demographic of students.
주요 단어 정리
- dramatic: 극적인 (동의어: significant, remarkable / 반의어: insignificant, minor)
- expansion: 확장
- a wider range of~: 더 폭넓은 범위의~
- diverse: 다양한
- demographic: 인구집단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dramatic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has been marked/
- <극적인 확장이/ 고등교육의>/ 특징지어졌습니다/
- [<by a wider range of institutions/ of higher learning>/ and/ <(by) a more diverse demographic/ of students>].
- [<더 폭넓은 범위의 기관들에 의해/ 고등교육>/ 그리고/ <더 다양한 인구집단에 의해/ 학생의>].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The dramatic expansion”로 단수이며, 따라서, 동사구도 단수 형태인 “has been marked”.
- 현재완료 수동태[have[has] been+pp]
- "has been marked"는 현재완료 수동태로, "특징지어졌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 두 개의 명사구의 병렬 연결
- 전치사 by의 목적어로 두 개의 명사구 “a wider range of institutions/ of higher learning”와 “a more diverse demographic/ of students” 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문장 5
Changes from an elite system to a mass higher education system are associated with political needs to build a (b) specialised workforce for the economy.
주요 단어 정리
- be associated with~: ~와 관련되다[~와 관련이 있다]
- political needs: 정치적 필요성
- specialised workforce: 전문 인력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Changes/ <from an elite system/ to a mass higher education system>]/
- [변화들이/ <엘리트 체제에서/ 대중적 고등교육 체제로의>]/
- are associated/ [with political needs/ [to build/ <a (b) specialised workforce/ for the economy>]].
- 관련이 있습니다/ [정치적 필요성과/ [구축하기 위한/ <전문 인력을/ 경제를 위한>]].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Changes“로 복수이며,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are associated“.
- 수동태[be + pp]
- “are associated”는 “관련되다”의 의미를 전달하나, “관련이 있다”의 의미로 의역됩니다.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political needs/ [to build/ <a (b) specialised workforce/ for the economy>]"에서 "to build"는 앞의 "political needs"를 수식하며, "구축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하나, ”구축하려고“로 의역됩니다.
- 어휘 사용의 적절성 판단
- (b) "specialised workforce"는 문맥상 적절하며, 문맥상 적절합니다.
문장 6
In theory, the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to develop a highly skilled workforce should diminish the role of examinations in the selection and control of students, initiating approaches to assessment which (c) block lifelong learning: assessment for learning and a focus on feedback for development.
주요 단어 정리
- in theory: 이론적으로
- develop: 개발하다
- a highly skilled workforce: 고도로 숙련된 노동력
- diminish: 줄이다 (동의어: reduce, decrease / 반의어: increase, expand)
- the role of examinations: 시험의 역할
- selection: 선발
- control: 관리, 통제
- initiate: 시작[개시]하다
- approach: 접근(법)
- assessment: 평가
- block: 막다
- lifelong learning: 평생 학습
- development: 발전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theory,/
- [이론적으로]/
- [<the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to develop/ a highly skilled workforce>]/
- [<확장은/ 고등교육의>/ <개발하기 위한/ 고도로 숙련된 노동력을>]/
- should diminish/
- 줄여야 합니다/
- [<the role/ of examinations>/ <in the selection and control/ of students]>],/
- [<역할을/ 시험의>/ <선발과 관리에서의/ 학생들의>],/
- [initiating/ [approaches/ [to assessment>/ which (c) block/ lifelong learning]]]/
- [시작하면서/ [접근을/ [평가에 대한/ (c) 막는/ 평생 학습을]]]/
- :/ [<assessment/ for learning>/ and/ <a focus/ on feedback/ for development>].
- 즉,/ [[평가인/ 학습에 대한]/ 그리고/ [초점인/ 피드백에 대한/ 발전을 위한]].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하는 / ~하기 위한"
- "[<the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to develop/ a highly skilled workforce>]"에서 ”to develop“는 앞의 명사구 "<the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를 수삭하여 ”개발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분사구문
- "[initiating/ [approaches/ [to assessment/ which (c) block/ lifelong learning]]]"은 종속절 "[while it initiates/ [approaches/ [to assessment/ which (c) block/ lifelong learning]]]"에서 접속사 "while"과 주어 "it(=the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이 생략되고 동사 “initiates”가 “initiat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다만, “approaches”가 “(new) approaches“로 변경된다면 더 명확한 의미 전달을 했을 것입니다.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어법적으로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분류합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which
- ”[approaches/ [to assessment/ which (c) block/ lifelong learning]]“에서 ”which“는, 앞의 명사구인 "assessment"를 수식하여 “평생 학습을 막는 평가(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관계대명사+불완전한 문장”의 관계를 기억하십시오.
- 어휘 사용의 적절성 판단
- (c) "block"은 문맥상 부적절합니다. 학습을 막는다는 내용이 아니라 “가능하게 한다” 또는 “촉진한다”는 의미로 “enable”, "facilitate"나 "enhance"가 더 적합합니다.
문장 7
In reality, sociopolitical changes to expand higher education have set up a ‘field of contradictions’ for assessment in higher education.
주요 단어 정리
- in reality: 실제로(는) (동의어: in fact, in practice / 반의어: ideally, theoretically)
- socio-political: 사회적·정치적
- set up: 형성하다, 조성하다 (동의어: establish, create / 반의어: dismantle, abolish)
- field of contradictions: 모순의 장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reality,/
- 실제로는/
- [socio-political changes/ <to expand/ higher education>]/
- [사회적·정치적 변화가/ <확장하기 위한/ 고등교육을>]/
- have set up/
- 형성했습니다/
- [a ‘field of contradictions’/ <for assessment/ in higher education>].
- [‘모순의 장을’/ <평가에 대해/ 고등교육 내에서의>].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socio-political changes“로 복수이며, 따라서, 동사도 복수 형태인, ”have set up“.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할 / ~하는 / ~하기 위한"
- "[socio-political changes/ <to expand/ higher education>]"에서 "to expand"은 "socio-political changes"를 수식하며, "고등교육을 확장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현재완료 시제[have[has]+pp]
- "have set up"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 반의 접속부사나 부사 사용의 필요성
- 이 문장의 내용은 문장 7의 이론적 상황에 배치되는 내용으로 “In reality”에 더하여 however나 rather 등을 배치하여 앞의 문장과 배치되는 반대의 상황을 피력한다면 더 명확한 의미가 전달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현재까지의 내용 요약 및 제목 찾기
- 현재까지 "교등교육이 확장되어 평생교육을 장려하는 새로운 접근법이 기대되고 평가의 약화가 기대되었으나 실상은 정반대의 현상이 일어났다는 내용"입니다. 따라서, 이를 포괄하는 내용을 보기에서 찾으면 "③ Mass Higher Education and Its Reality in Assessment(대중 고등 교육과 그것의 평가에 있어서의 실상)"이 가장 가깝습니다.
문장 8
Mass higher education requires efficient approaches to assessment, such as examinations and multiple-choice quizzes, with minimalist, (d) impersonal, or standardised feedback, often causing students to focus more on grades than feedback.
주요 단어 정리
- efficient: 효율적인 (동의어: effective, streamlined / 반의어: inefficient, wasteful)
- approach: 접근법, 방식 (동의어: method, strategy / 반의어: neglect)
- minimalist: 최소한의
- impersonal: 비인격적인, 개인적이지 않은 (동의어: detached, neutral / 반의어: personal, engaging)
- standardised: 표준화된 (동의어: normalised, regulated / 반의어: varied, customised)
- focus on~: ~에 집중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ass higher education requires/
- 대중 고등교육은 요구합니다/
- <efficient approaches/ to assessment>,/
- <더 효율적인 접근법을/ 평가에 대한>,/
- <such as examinations and multiple-choice quizzes>,/
- <시험(들)이나 객관식 시험(들)과 같은>,/
- <with minimalist, (d) impersonal, or standardised feedback>,/
- <최소한의, (d) 비인격적이거나, 표준화된 피드백과 함께>,/
- [often causing/ students/ <to focus/ more/ on grades>/ than feedback].
- [종종 유발하면서/ 학생들에게(학생들이)/ <집중하도록/ 더/ 성적에>/ 피드백보다].
어법 설명
- 분사구문
- "[often causing/ students/ <to focus/ more/ on grades>/ than feedback]"은 종속절 "[while it often causes/ students/ <to focus/ more/ on grades>/ than feedback]"에서 접속사 "while"과 주어 "it(=Mass higher education)"이 생략되고 동사 “causes”가 “caus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5형식 문형 "cause + 목적어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causing/ students/ <to focus/ more/ on grades>”에서 "cause"는 to 부정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 어휘 사용의 적절성 판단
- (d) "impersonal"은 문맥상 "비인격적"이라는 의미로 문맥상 적절합니다.
문장 9
In contrast, the relatively small numbers of students in elite systems in the past (e) allowed for closer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and their teachers, with formative feedback shaping the minds, academic skills, and even the characters of students.
주요 단어 정리
- in contrast: 그에 반하여 (동의어: on the other hand, conversely / 반의어: similarly, likewise)
- allow for~: ~을 가능하게 하다 (동의어: enable, permit / 반의어: restrict, hinder)
- formative feedback: 형성적 피드백 (학습 과정을 돕는 피드백)
- character: 인격, 성품 (동의어: personality, integrity / 반의어: superficialit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contrast,/
- 그에 반하여,/
- [the relatively small numbers/ <of students/ in elite systems/ in the past>]/
- [비교적 적은 수가/ <학생들의/ 엘리트 체제 내의/ 과거의>]/
- (e) allowed for/
- 가능하게 했습니다/
- [closer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and their teachers>],/
- [더 친밀한 관계를/ <학생들과 그들의 교사들 사이에>],/
- [with formative feedback/ (which or that was) shaping/ [<the minds,/ academic skills,/ and/ even/ the characters>/ of students]].
- [형성적 피드백과 함께/ 형성하고 있었던/ [<사고력,/ 학업 기술,/ 및/ 심지어/ 인격까지도/ 학생들의]].
어법 설명
- 접속부사구 In contrast
- "그에 반하여"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한 지문 내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구)가 사용되면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하고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현재분사]
- "[with formative feedback/ (which or that was) shaping/ [<the minds,/ academic skills,/ and/ even/ the characters>/ of students]]"에서 ”shaping“은 ”형성하고 있던“의미를 전달하는 현재분사로, 선행사, ”formative feedback“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가 생략된 형태와 의미상 동일합니다. 어법적으로,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는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어법적으로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분류합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어휘 사용의 적절성 판단
- (e) "allowed for"는 문맥상 "가능하게 했다"는 의미로 문맥상 적절합니다. 다만, “allowed(허용했다)”와 같이 번역하는 것은 해당 표현의 원래 의미나 확장된 의미에 대한 불필요한 오해가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가능하게 했다”의 의미로 해석되기를 바랍니다.
- allow for의 표현 정리
- “~을 고려[참작]하다”의 의미에서 “~을 가능하게 하다, ~을 조성하다”는 의미로 의미의 확장이 이루어져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이 표현은 “고려나 참작”의 의미를 담고 있어 “allow(허용하다)”는 구별되어야 할 필요는 있습니다. 학문적 글이나 기술적 문맥에서 "allow for"가 구조적 결과나 가능성을 설명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는 점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풀이와 정답
41번 문제
- 제목을 찾기 위해 지문의 중심 주제를 요약하면, 고등교육 대중화와 평가 체계에서의 현실적 변화와 모순이 핵심입니다.
- 정답: ③ Mass Higher Education and Its Reality in Assessment
42번 문제
- 밑줄 단어 중 문맥상 부적절한 단어는 (c) "block"입니다.
- 적절한 표현은 "facilitate" 또는 "enhance"가 적합합니다.
- 정답: ③ (c)
결론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41번 & 42번 문제는 고등교육 대중화의 경제적, 정치적 요구와 그에 따른 평가 시스템의 변화에 대해 설명합니다. 특히 엘리트 체제와 대중 체제의 차이가 평가 방식과 피드백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이러한 변화가 평가의 목적과 방법에서 모순을 초래하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이 문제 유형의 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글의 제목과 어휘의 적절성 여부에 대한 판단을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찾는 훈련을 하게 될 것이고 전체적인 지문의 내용 및 구조도 이해하는 시간을 갖게 될 것입니다.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이 독자의 영어 독해력 향상을 지원하여 문장의 구조적 이해를 강화하는데 항상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