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19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19번 지문은 ‘I’라는 화자가 여권 검사 과정에서 겪는 심리적 변화를 다룬 이야기입니다. 처음에는 긴장감과 불안으로 가득 찬 화자가 검사관과의 대화와 여권 확인 과정에서 점점 안도감을 느끼게 되는 감정적 변화를 보여줍니다. 이 지문은 화자의 심리적 상태 변화를 이해하고, 그에 가장 적합한 심경 변화를 선택하는 것이 문제의 핵심입니다.
주요 독해 포인트는 "첫 번째 심경 변화의 단서 찾기", "보기 중 대조적 감정 변화 살펴보고 확인하기", 그리고 "표현의 숨겨진 의미 파악"입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시험에서 자주 등장하는 심경 변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일부 영문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19. 다음 글에 드러난 ‘I’의 심경 변화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passport control line was short and the inspectors looked relaxed; except the inspector at my window. He seemed to want to model the seriousness of the task at hand for the other inspectors. Maybe that’s why I felt uneasy when he studied my passport more carefully than I expected. “You were here in September,” he said. “Why are you back so soon?” “I came in September to prepare to return this month,” I replied with a trembling voice, considering if I missed any Italian regulations. “For how long?” he asked. “One month, this time,” I answered truthfully. I knew it was not against the rules to stay in Italy for three months. “Enjoy your stay,” he finally said, as he stamped my passport. Whew! As I walked away, the burden I had carried, even though I did nothing wrong, vanished into the air. My shoulders, once weighed down, now stretched out with comfort.
① angry → ashamed ② nervous → relieved ③ bored → grateful
④ curious → frightened ⑤ hopeful → disappointed
문장별 분석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19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The passport control line was short and the inspectors looked relaxed; except the inspector at my window.
주요 단어 정리
- passport control line: 여권 검사 줄
- inspector: 검사관
- relaxed: 여유 있는, 느긋한 (동의어: calm, at ease / 반의어: tense, nervous)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passport control line was short/
- 여권 검사 줄이 짧았습니다/
- and/
- 그리고/
- the inspectors looked relaxed/
- 검사관들이 느긋해 보였습니다/
- ;/ <except the inspector/ (who or that was) at my window>.
- <그 검사관만 제외하고/ 내 창구에 있는>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의 생략
- 전치사 at이 “~에서”의 의미를 전달하다 “~에 있는”의 의미로 해석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이유도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가 언제나 생략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 감정의 변화 문제 풀이 Tip
- 감정의 변화에 대한 문제 풀이 Tip은 ① 첫 번째 감정을 빨리 파악하라는 것입니다. ② 첫 번째 감정의 형용사를 판별하기 어렵다면 “감정의 대조적 변화” 관계로 판단하라는 것입니다. 이 두 가지 측면에서, 현재까지의 형태에서는 보기의 감정 중 5개가 다 일치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첫 번째 감정 상태만 파악하면 바로 답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만일을 위해 보기의 감정이 다 다른지만 확인하고 다르다면 첫 번째 감정만 확인하세요. 첫 문장부터 “except the inspector at my window.(창구에서의 검사관만 빼고)”라는 표현으로 미루어 “걱정되거나(worried)” “긴장되거나(nervous)” “짜증난(irritated)” 상태로 짐작할 수 있습니다. 보기를 확인하면, “① angry → ashamed”과 “② nervous → relieved”으로 좁혀집니다.
문장 2
He seemed to want to model the seriousness of the task at hand for the other inspectors.
주요 단어 정리
- seem to 부정사: ~하는 것처럼 보이다 (동의어: appear, look / 반의어: be)
- model: 본을 보여주다
- seriousness: 진지함 (동의어: gravity, solemnity / 반의어: lightness, casualness)
- task at hand: 당면한 과업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e seemed to want/
- 그는 원하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 [to model/ [the seriousness/ <of the task at hand>]/ for the other inspectors].
- [본을 보여주기를/ [그 진지함의/ <당면한 과업의>]/ 다른 검사관들에게].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 "seemed to want"나 " want/ [to model/~]"의 "to want"나 “to model”은 모두 “~하는 것/~하기/~할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명사적 용법입니다. 둘 다 타동사의 목적어 역할로 사용되었습니다.
- 감정의 변화 문제 풀이 Tip에 따라 2번째 감정 변화의 실마리 찾기 1
- 문장 2에서도 “검사관의 태도”에 변화는 없습니다. 따라서, 더 읽습니다.
문장 3
Maybe that’s why I felt uneasy when he studied my passport more carefully than I expected.
주요 단어 정리
- uneasy: 불안한 (동의어: anxious, nervous / 반의어: calm, relaxed)
- study: 자세히 살피다
- carefully: 신중히, 꼼꼼히 (동의어: meticulously / 반의어: carelessl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aybe/ that’s [(the reason)/ why I felt uneasy]/
- 아마도/ 그것이 [그 이유였습니다/ 제가 불안하게 느꼈던]/
- [when he studied/ my passport/ more carefully]/
- [그가 살펴보았을 때/ 제 여권을/ 더 신중하게]/
- [than I expected].
- [제가 예상했던 것보다].
어법 설명
- 선행사 (the reason)이 생략된 관계부사 why
- “[(the reason)/ why I felt uneasy]”에서 선행사 “the reason“이 생략된 관계부사절입니다. ”관계부사+완전한 문장“의 관계를 기억하십시오.
- 시간의 부사절[when+주어+동사]
- “~할 때”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비교의 부사절[than+주어+동사]
- “~하는 것보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감정의 변화 문제 풀이 Tip에 따라 2번째 감정 변화의 실마리 찾기 2
- 문장 3에서 검사관이 취하는 태도에 대한 “I”의 반응에서 첫 번째 감정의 확실한 단서, 즉 “angry(화가 난)”가 아닌 “nervous(긴장한)”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② nervous → relieved”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라도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다음 문제로 넘어갑니다.
문장 4
“You were here in September,” he said. “Why are you back so soon?”
주요 단어 정리
- be back: 돌아오다 (동의어: come back, return)
- so soon: 그렇게 빨리 (동의어: this early / 반의어: too lat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You were here/ in September,”/ he said./“
- "당신은 여기에 있었군요/ 9월에,”/ 그가 말했습니다"./
- “Why/ are you back/ so soon?”
- “왜/ 당신은 돌아오셨나요?/ 그렇게 빨리?”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문장 5
“I came in September to prepare to return this month,” I replied with a trembling voice, considering if I missed any Italian regulations.
주요 단어 정리
- trembling: 떨리는 (동의어: shaking, quivering / 반의어: steady, firm)
- regulation: 규정 (동의어: rule, guideline / 반의어: noncompliance, disobedienc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 came/ in September/ [to prepare/ <to return/ this month>],”/
- “저는 왔습니다/ 9월에/ [준비하기 위해서/ <돌아오기를/ 이번 달에>],”/
- I replied/ with a trembling voice,/
- 저는 대답했습니다/ 떨리는 목소리로,/
- [considering/ [if I missed/ any Italian regulations]].
- [생각하면서/ [제가 놓쳤는지를/ 어떠한 이탈리아 규정들이라도]].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 "[to prepare/ <to return/ this month>]"에서 “to prepare”는 “준비하기 위해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이 용법은 문장 내에서 ‘~하기 위해서/~하도록“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 "<to return/ this month>"에서 ”to return“는 “to prepare“의 목적어로 ”돌아올 것을“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이 용법은 문장 내에서 ”~하는 것/~하기/~할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분사구문
- "[considering/ [if I missed/ any Italian regulations]]"는 종속절 "[while I considered/ [if I missed/ any Italian regulations]]"에서 접속사 while과 주어 I가 생략되고 동사 “considered“가 “considering“으로 바뀐 분사구문입니다.
문장 6
“Enjoy your stay,” he finally said, as he stamped my passport.
주요 단어 정리
- stay: 체류
- stamp: 도장을 찍다
- finally: 마침내 (동의어: at last / 반의어: immediatel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njoy/ your stay,”/ he finally said,/
- “즐기세요/ 당신의 체류를,”/ 그가 마침내 말했습니다,/
- [as he stamped/ my passport].
- [그가 도장을 찍을 때/ 제 여권에].
어법 설명
- 명령문[동사원형+~]
- “~하세요/~해라”의 의미를 전달하며, 장문이나 중문에서 최근 명령문의 동사원형 자리를 다신 형태로 바꾸어 어법에 맞는지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시간의 부사절[as+주어+동사]
- “~할 때/~하면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장 7
Whew! As I walked away, the burden I had carried, even though I did nothing wrong, vanished into the air.
주요 단어 정리
- whew: 휴! (안도감을 나타내는 감탄사)
- walk away: 걸어서 떠나다
- burden: 부담(감)
- carry: (부담감 따위를) 지다
- do nothing wrong: 잘못한 일을 하지 않다
- vanish: 사라지다 (동의어: disappear / 반의어: appear)
- into the air: 공중에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w!/
- 휴!/
- [As I walked away],/
- [제가 걸어서 떠날(나갈) 때],/
- [[the burden/ (which or that) I had carried],/ [even though I did nothing wrong]/ vanished/ into the air].
- [[그 부담감이/ 제가 지고 있던],/ [비록 제가 잘못한 일을 하지 않았지만]/ 사라졌습니다/ <공중으로>].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as+주어+동사]
- “~할 때”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생략
- "[the burden/ (which or that) I had carried]"에서 선행사 “the burden”을 수식하는 목걱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이 생략된 구문입니다. 전치사가 앞에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언제나 생략이 가능하며, “관계대명사+불완전한 문장”의 관계를 기억하십시오.
- 과거완료 시제[had+pp] "had carried"
- “대과거에서 과거 사이” 또는 “대과거에 일어난 일”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여기서는 “여권 검사가 시작될 때부터 여권 검사가 끝나기 직전 사이”의 부담감을 표현합니다.
- 양보의 부사절[even though+주어+동사]
- “비록 ~일지라도(~이긴 하지만)”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enven though 외에도 though, although, even if 등의 접속사가 같은 의미를 전달합니다. 이 문장의 주어(the burden)와 동사(vanished) 사이에 양보의 부사절이 삽입된 문형입니다.
문장 8
My shoulders, once weighed down, now stretched out with comfort.
주요 단어 정리
- weigh down: 짓누르다 (동의어: burden, press / 반의어: relieve)
- stretch out: 펼쳐지다
- with confort: 편안함으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y shoulders,/ (which or that was) once weighed down],/ now/ stretched out/ with comfort.
- [제 어깨가,/ 한때 짓눌렸던],/ 이제는/ 펴졌습니다/ 편안함으로.
어법 설명
- “~되어졌던”의 의미로 사용된 과거분사
- "[My shoulders,/ (which or that was) once weighed down]"에서 “weighed down”는 “짓눌렸던”의 의미를 전달하며, 선행사인 “My shoulder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가 생략된 형태와 같은 의미를 전달합니다.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19번 지문은 여권 심사를 받는 과정에서 느꼈던 화자의 불안감이 최종적으로 안도감으로 바뀌는 과정을 다룹니다.
근거 문장
- “Maybe that’s why I felt uneasy~”
- 화자의 긴장감을 나타냅니다.
- “Whew! ~ vanished into the air”
- 안도감을 드러냅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가장 적절한 답은 ② nervous → relieved입니다.
결론
2024년 9월 고1 모의고사 19번 지문은 심경 변화 문제 풀이의 대표 사례로, 긴장(nervous)에서 안도(relieved)로 변화하는 주인공의 심리를 보여줍니다. 첫 번째 감정과 대조적 변화의 흐름을 빠르게 파악하는 것이 심경 변화 문제 해결의 핵심입니다. 이러한 지문 분석은 시험장에서 정확하고 빠른 문제 풀이를 가능하게 합니다.
시험 대비 Tip감정 변화 문제를 풀 때는 문맥 속에서 주인공의 심리적 흐름을 추적하며, 대조적인 감정 전환을 포착하세요. 이처럼 구조적 접근법을 통해 제한된 시간 안에 정답을 효과적으로 도출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고리인 청크을 기본으로 한 분석,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적 차이와 수식적 구조의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해석, 비교적 상세한 어법 설명, 및 문제 해결을 위한 팀이 지문의 내용을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