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20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20번 지문은 부모가 자녀에게 걱정을 멈추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필자는 단순히 걱정을 하지 말라고 설득하는 것으로는 자녀의 걱정을 멈출 수 없다고 지적하며, 걱정은 단순한 감정으로 의지의 힘을 통해 통제할 수 있음을 알려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특히, 부모가 자녀에게 걱정을 거부하는 행동을 지속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걱정 없는 삶에서 오는 평온함을 경험할 수 있음을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주장하는 바를 찾는 것은 항상 “글의 주장”이 뭔지를 기억하고 찾으려는 습관을 들여야 쉽게 체득할 수 있습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0.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Merely convincing your children that worry is senseless and that they would be more content if they didn’t worry isn’t going to stop them from worrying. For some reason, young people seem to believe that worry is a fact of life over which they have little or no control. Consequently, they don’t even try to stop. Therefore, you need to convince them that worry, like guilt and fear, is nothing more than an emotion, and like all emotions, is subject to the power of the will. Tell them that they can eliminate worry from their lives by simply refusing to attend to it. Explain to them that if they refuse to act worried regardless of how they feel, they will eventually stop feeling worried and will begin to experience the contentment that accompanies a worry­free life. 

① 아이가 죄책감과 책임감을 구분하도록 가르쳐야 한다. 

② 아이가 스스로 불안의 원인을 찾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③ 아이의 감정에 공감하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표현해야 한다. 

④ 부모로서 느끼는 감정에 관해 아이와 솔직하게 대화해야 한다. 

⑤ 아이에게 자기 의지로 걱정을 멈출 수 있음을 알려주어야 한다.

문장별 분석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20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Merely convincing your children that worry is senseless and that they would be more content if they didn’t worry isn’t going to stop them from worrying.

주요 단어 정리

  • merely: 단지, 그저 (동의어: simply, only)
  • convince: 설득하다 (동의어: persuade / 반의어: dissuade)
  • senseless: 무의미한, 어리석은 (동의어: pointless, meaningless / 반의어: meaningful, rational)
  • content: 만족한, 행복한 (동의어: satisfied, happy / 반의어: dissatisfied, unhappy)
  • worry: 걱정하다
  • be going to 부정사: ~할 것이다 (동의어: prevent[keep/hinder]+A+from ~ing)
  • stop+A+from ~ing: A를 ~하는 것으로부터 막다(A가 ~하지 못하게 막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erely convincing/ your children/ [[that worry is senseless]/ and[that they would be more content/ [if they didn’t worry]]]]/
  • [단지 설득하는 것만으로는/ 당신의 자녀를/
  • [[[걱정이 무의미하다는 것을]/ 그리고/ [그들이(아이들이) 더 만족스러울 것이라는 것을/ [그들이(아디들이) 걱정하지 않는다면]]]]/
  • isn’t going to stop/ them/ from worrying.
  • 막지는 못할 겁니다/ 그들을(아이들이)/ 걱정하는 것으로부터(걱정하는 것을).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Merely convincing”, 동명사 주어로 단수입니다. 따라서, 동사구도 이에 상응하는 단수 형태인 “isn’t going to stop”.
  • 목적절[명사절]의 병렬 구조 - and로 연결
  • "[[that worry is senseless]and[that they would be more content/ [if they didn’t worry]]]"에서 2개의 목적절인 "[that worry is senseless]"와 "[that they would be more content/ [if they didn’t worry]]"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여기서 “that”은 “~라고/~라는 것을”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가정법 과거 시제
  • "[that they would be more content/ [if they didn’t worry]]"는 가정법 과거로, 현실과 반대되는 상황을 가정하며, "걱정하지 않는다면"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 주장하는 바를 찾는 문제 해결 Tip
  • 주장하는 바를 찾는 것은 글을 읽으며 찾는 방법밖에는 없습니다. 항상 머리 속에 “글의 주장”을 잊지 말고 독해해야 합니다. 문장 1에서 “현대인에게 운동을 위해 시간을 내는 것이 어렵다”는 의미를 전달하고 있고, 다음 내용이 “수학적 소양을 갖춘 것”의 의미를 “수학과 관련이 있는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의사 결정을 위해 비판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는 것” 정도의 내용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문장 1의 핵심 내용은 “자녀에게 단순히 걱정하지 말라고 설득하는 것이 무의미하다.”는 내용입니다. 이미 주장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보기를 살펴보면 거의 모든 내용이 “구체적인 조언 방법”을 포함하고 있어 “구체적인 조언 방법”을 찾아야 하므로 더 읽어봐야 합니다.

문장 2

For some reason, young people seem to believe that worry is a fact of life over which they have little or no control.

주요 단어 정리

  • for some reason: 어떤 이유로 (동의어: for an unknown reason)
  • seem to 부정사: ~하는 것처럼 보이다
  • a fact of life: 삶의 현실, 불가피한 일
  • have control over~: ~을 통제하다 (동의어: manage, regulate / 반의어: lose control over)
  • have little or no control over~: ~을 거의 또는 전혀 통제하지 못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r some reason,/
  • 어떤 이유로,/
  • young people seem to believe/
  • 젊은 사람들은 믿는 것처럼 보입니다/
  • [that worry is [<a fact of life>/ over which/ they have little or no control]].
  • [걱정이 [<삶의 현실>이라는 것을/ 그것에 대해/ 그들이 거의 또는 전혀 통제할 수 없는]].

어법 설명

  • 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over which]
  • "[<a fact of life>/ over whichthey have little or no control]"에서 "over which"는 선행사 "a fact of life"를 수식하며 "그것(걱정)에 대해 그들이 거의 통제할 수 없는"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는 “관계부사”와 같으며 뒤에 완전한 문장이 온다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 주장하는 바를 찾는 문제 해결 Tip에 따른 주장의 실마리 찾기 1
  • 문장 2에서는 “걱정에 대한 젊은이들의 일반적인 인식”에 대해 다루고 있어 주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더 읽어보도록 합니다.

문장 3

Consequently, they don’t even try to stop.

주요 단어 정리

  • consequently: 그 결과로 (동의어: as a result, therefore)
  • try to 부정사: ~하기 위해서(~하려고) 노력하다 (동의어: attempt to)
  • even: 심지어 (~조차도)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Consequently,/ they don’t even try/ to stop.
  • 그 결과,/ 그들은 시도조차 하지 않습니다/ 멈추기 위해서(멈추려고).

어법 설명

  • 부정의 강조[don’t even]
  • "even"은 "심지어 ~조차도"의 의미로 부정적인 의미를 강조합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 "to stop"은 "멈추기 위해서(멈추려고)"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이 용법은 문장 내에서 ‘~하기 위해서/~하도록“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 주장하는 바를 찾는 문제 해결 Tip에 따른 주장의 실마리 찾기 2
  • 문장 3 역사 “걱정의 지속”에 대해 다루고 있어 주장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더 읽어보도록 합니다.

문장 4

Therefore, you need to convince them that worry, like guilt and fear, is nothing more than an emotion, and like all emotions, is subject to the power of the will.

주요 단어 정리

  • therefore: 그러므로
  • need to 부정사: ~해야하다, ~할 필요가 있다
  • nothing more than~: 단지 ~일 뿐인 (동의어: only, merely)
  • subject to~: ~의 영향을 받는 (동의어: dependent on)
  • emotion: 감정
  • power of will: 의지의 힘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refore,/
  • 그러므로,/
  • you need to convince/ them/ [that worry,/ [<like guilt and fear>,/ is nothing more than an emotion],/ and/ [<like all emotions>,/ is subject/ <to the power/ of the will>]].
  • 당신은 설득해야 합니다/ 그들을(아이들을)/ [걱정이,/ [<죄책감이나 두려움처럼>,/ 단지 감정일 뿐이라고],/ 그리고/ [<모든 감정처럼>,/ [영향을 받는다고/ <힘에/ 의지의>]].

어법 설명

  • 접속부사 Therefore
  • “그러므로”의 의미를 전달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된 이력이 있습니다.
  • 목적절의 접속사 that
  • "[that worry,/ [<like guilt and fear>,/ is nothing more than an emotion],/ and/ [<like all emotions>,/ is subject/ <to the power/ of the will>]]"에서 “that”은 동사구 “need to convince”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문장 내에서 “~라고/~라는 것을”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 that 절의 동사구의 병치
  • that 절”의 동사구로 "[<like guilt and fear>,/ is nothing more than an emotion]"와 "[<like all emotions>,/ is subject/ <to the power/ of the will>]"]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 주장하는 바를 찾는 문제 해결 Tip에 따른 주장의 실마리 찾기 3
  • 문장 4에서 “걱정 역시 다른 감정처럼 의지에 의해 통제될 수 있다.”는 뉘앙스로 “의지에 의해 통제될 수 있다고 설득하라.”는 주장에 해당되므로 다시 보기를 살펴보면, “⑤ 아이에게 자기 의지로 걱정을 멈출 수 있음을 알려주어야 한다.”외에는 일치하는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⑤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조금이나마 시간을 줄이기위해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문장 5

Tell them that they can eliminate worry from their lives by simply refusing to attend to it.

주요 단어 정리

  • eliminate: 제거하다 (동의어: remove, get rid of / 반의어: include, add)
  • refuse: 거부[거절]하다
  • refuse to 부정사: ~하기를[~하는 것을] 거부하다
  • attend to~: ~에 주의를 기울이다 (동의어: focus on, pay attention to)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ell/ them/ [that they can eliminate/ worry/ from their lives/ [by simply refusing/ <to attend/ to it>]].
  • 말하세요/ 그들에게(아이들에게)/ [그들이(아이들이) 제거할 수 있다고/ 걱정을/ 그들의(아이들의) 삶에서/ [단순히 거부함으로써/ <주의를 기울이는 것을/ 그것에(걱정에)>]].

어법 설명

  • 명령문[동사원형+~]
  • "Tell~"은 "말하세요~"를 의미하며 최근 동사 원형의 형태를 변형하여 어법적으로 맞는지를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목적절의 접속사 that
  • "[that they can eliminate/ worry/ from their lives/ [by simply refusing/ <to attendto it>]]"에서 “that”은 동사 “Tell”의 직접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문장 내에서 “~라고/~라는 것을”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 전치사의 목적어로 사용된 동사+ing[동명사]
  • "[by simply refusing/ <to attendto it>]"에서 “by refusing” "거부하는 것에 의해서(거부함으로써)"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일반적으로 문맥에 따라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하나, “거부하는 것에 의해서”보다 “거부함으로써”로 의역됩니다.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여러 의미를 내포하는 단어처럼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문장 6

Explain to them that if they refuse to act worried regardless of how they feel, they will eventually stop feeling worried and will begin to experience the contentment that accompanies a worry-free life.

주요 단어 정리

  • explain: 설명하다
  • act worried: 걱정하는 척 하다
  • regardless of~: ~와 상관없이 (동의어: despite, irrespective of)
  • eventually: 결국(에), 궁극적으로
  • feeling worried: 걱정스럽게 느끼는 것
  • begin to 부정사: ~하기 시작하다
  • experience: 경험하다
  • contentment: 만족감 (동의어: satisfaction / 반의어: dissatisfaction)
  • accompany: ~와 동반[수반]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xplain/ to them/
  • 설명하세요/ 그들에게/
  • [that/ [if they refuse/ [to act worried/ [regardless of how they feel]]]],/ they [will eventually stop/ feeling worried]/ and/ [will begin to experience/ [the contentment/ that accompanies/ a worry-free life]]].
  • [[그들이 거부한다면/ [걱정하는 척하는 것을/ [어떻게 그들이 느끼는지와 상관없이]]],/ 그들이 [결국 멈출 것이라고/ 걱정스럽게 느끼는 것을]/ 그리고/ [경험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만족감을/ 동반하는/ 걱정 없는 삶과]]].

어법 설명

  • 명령문[동사원형+~]
  • "Explain"은 "설명하세요~"를 의미하며 최근 동사 원형의 형태를 변형하여 어법적으로 맞는지를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목적절의 접속사 that
  • "[that[if they refuse[to act worried/ [regardless of how they feel]]]],/ they [will eventually stopfeeling worried]and[will begin to experience[the contentment/ that accompanies/ a worry-free life]]]".에서 “that”은 동사구 “Explain”의 직접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문장 내에서 “~라고/~라는 것을”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 조건의 부사절[if+주어+동사]의 삽입
  • ”~한다면“의 의미를 전달하며 목적절의 접속사인 “that”과 “that 절“의 주어인, ”they“ 사이에, ”if 절“이 삽입된 구조입니다.
  • that 절의 동사구의 병치
  • that 절의 동사로 "[will eventually stopfeeling worried]"와 "[will begin to experience[the contentment/ that accompanies/ a worry-free life]]"를 and로 병렬 연결한 구조.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the contentment/ that accompanies/ a worry-free life]"]에서 "that"은 선행사, "the contentment"를 수식하여, ”걱정 없는 삶과 동반하는“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어법적으로는, ”관계대명사+불완전한 문장“의 관계를 기억하십시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근거 문장 제시

  • "you need to convince them that worry, like guilt and fear, is nothing more than an emotion.“
  • 이 문장에서 걱정에 대해 자녀들에게 어떻게 설득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 방법이 진술되어 있어 답을 선택할 수 있는 근거가 됩니다.
  • "Tell them that they can eliminate worry from their lives by simply refusing to attend to it.“
  • 이 문장을 통해 조금 더 구체적으로 진술하려고 시도하고 있습니다만, 이전 문장의 진술 내용이 이보다 더 구체적이라 볼 수 있습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가장 적절한 답은 ⑤ ”아이에게 자기 의지로 걱정을 멈출 수 있음을 알려주어야 한다“입니다.

결론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20번 지문은 자녀가 걱정을 의지로 통제할 수 있음을 이해시키는 부모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필자는 걱정을 단순한 감정으로 보고, 그것을 의지로 극복할 수 있음을 설득할 필요성을 주장합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이 지문을 1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