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21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21번 지문은 현대 정보화 시대의 기업 목표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설명합니다. 과거의 산업화 시대에는 오류 방지와 일관성을 추구했지만, 오늘날 창의적인 기업 환경에서는 다양성 극대화와 빠른 적응력을 중시합니다. 필자는 이러한 변화를 설명하며, "Build a jazz band"라는 비유적 표현을 사용하여 기업이 창의적이고 역동적인 팀 문화를 추구해야 함을 강조합니다.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함축적인 의미를 추론하는 것은 함축적 의미를 포함하는 부분을 먼저 읽고 그 부분의 지문과의 연관성을 찾아야 합니다. 대부분 비유적 표현으로 되어 있어 이해하기는 다소 어렵더라도 먼저 함축적 의미부를 반드시 읽고 시작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독해하는 방향을 선택하는 것도 하나의 Key가 될 수 있습니다. 독해하는 방향을 - 예를 들어, “위에서 아래로”, “아래에서 위로” - 선택하는 것도 하나의 Key가 될 수 있습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한국어와 영어 표현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문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1. 밑줄 친 Build a jazz band가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In today’s information age, in many companies and on many teams, the objective is no longer error prevention and replicability. On the contrary, it’s creativity, speed, and keenness. In the industrial era, the goal was to minimize variation. But in creative companies today, maximizing variation is more essential. In these situations, the biggest risk isn’t making a mistake or losing consistency; it’s failing to attract top talent, to invent new products, or to change direction quickly when the environment shifts. Consistency and repeatability are more likely to suppress fresh thinking than to bring your company profit. A lot of little mistakes, while sometimes painful, help the organization learn quickly and are a critical part of the innovation cycle. In these situations, rules and process are no longer the best answer. A symphony isn’t what you’re going for. Leave the conductor and the sheet music behind. Build a jazz band instead.
① Foster variation within an organization.
② Limit the scope of variability in businesses.
③ Invent a new way of minimizing risktaking.
④ Promote teamwork to forecast upcoming changes.
⑤ Share innovations over a sufficient period of time.
문장별 분석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21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In today’s information age, in many companies and on many teams, the objective is no longer error prevention and replicability.
주요 단어 정리
- information age: 정보화 시대
- company: 회사 (동의어: business, corporation, firm / 반의어: individual)
- objective: 목표 (동의어: goal, aim / 반의어: obstacle, hindrance)
- no longer: 더 이상 ~아닌 (동의어: not ~ any longer[any more], no more)
- error prevention: 오류 방지 (동의어: mistake avoidance)
- replicability: 재현 가능성, 복제 가능성 (동의어: reproducibility, duplicatio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today’s information age,/
- 오늘날의 정보화 시대에서,/
- <in many companies and on many teams>,/
- <많은 수의 기업들과 팀들에서>,/
- the objective is no longer error prevention and replicability.
- 목표는 더 이상 오류 방지와 재현 가능성이 아닙니다.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 함축적 의미 추론 문제 해결 Tip
- 문장 1의 핵심 내용은 “정보화시대 기업이나 팀의 목표 ≠ 오류 방지나 재현 가능성”입니다. 함축적 의미를 담고 있는 문장을 먼저 읽고 그 부분의 지문과의 연관성을 찾아야 합니다. 이 문장은 "Build a jazz band(재즈 밴드를 만드는 것)"와의 직접적인 연관이 없어 보입니다. 따라서 글의 주장과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계속 읽어 내려갑니다.
문장 2
On the contrary, it’s creativity, speed, and keenness.
주요 단어 정리
- on the contrary: 반대로 (동의어: conversely / 반의어: similarly)
- creativity: 창의성 (동의어: originality, ingenuity / 반의어: conventionality)
- keenness: 예리함, 열의 (동의어: sharpness, eagerness / 반의어: dullness, apath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n the contrary,/
- 반대로,/
- it’s creativity, speed, and keenness.
- 그것은(목표는)/ 창의성, 속도, 그리고 열의입니다.
어법 설명
- 접속부사구 On the contrary
- “반대로/반면에”의 의미를 전달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된 이력이 있습니다.
- 함축적 의미 추론 문제 해결 Tip에 의한 함축적 의미 찾기 1
- 문장 2의 핵심 내용은 “정보화시대 기업이나 팀에 중요한 것” = ”창의성, 속도 및 열의“입니다. 현재까지는 ④번이 제일 가까워 보입니다. 계속 읽어 내려가도록 하겠습니다.
문장 3
In the industrial era, the goal was to minimize variation.
주요 단어 정리
- industrial era: 산업화 시대
- minimize: 최소화하다 (동의어: reduce, decrease / 반의어: maximize, increase)
- variation: 변화, 변동 (동의어: diversity, fluctuation / 반의어: uniformity, consistenc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the industrial era,/
- 산업화 시대에는,/
- the goal was to minimize/ variation.
- 목표는 최소화하는 것이었습니다/ 변화를(변화의 폭을).
어법 설명
- be to 부정사 용법
- 일반적으로 “~하는 것이다”로 해석되며, 문맥에 따라 “예정(~할 예정이다)”, “가능(~할 수 있다)”, “의무(~해야 한다)”, “의도(~할 의도이다)”, 또는 “운명(~할 운명이다)” 등의 의미로 변환됩니다.
- 함축적 의미 추론 문제 해결 Tip에 의한 함축적 의미 찾기 2
- 문장 3의 핵심 내용은 “산업화 시대에서 기업이나 팀의 목표 –변화의 최소화”입니다. 계속 읽어 내려가도록 하겠습니다.
문장 4
But in creative companies today, maximizing variation is more essential.
주요 단어 정리
- creative company: 창의적인 기업
- essential: 필수적인 (동의어: crucial, indispensable / 반의어: optional, unnecessary)
-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in creative companies/ today>,/
- 하지만/ <창의적인 기업들에서는/ 오늘날의>,
- <maximizing/ variation>/ is more essential.
- <극대화하는 것이/ 변화를>/ 더 필수적입니다.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maximizing(극대화하는 것)”으로 단수이며 동사도 이에 상응하는 단수 동사인, “is”가 사용되었음에 유의하십시오.
- 함축적 의미 추론 문제 해결 Tip에 의한 함축적 의미 찾기 3
- 문장 4의 핵심 내용은 “창의적인 기업의 목표 –변화의 최대화”입니다. 문장 3과 문장 4에서 variation“이라는 표현이 연속으로 등장했고 이는 ④번 이외에도, ①번도 답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①번이 답이 되는 경우는 진술의 일관성 측면에서 문장 1과 문장 2는 문제가 있습니다.
문장 5
In these situations, the biggest risk isn’t making a mistake or losing consistency; it’s failing to attract top talent, to invent new products, or to change direction quickly when the environment shifts.
주요 단어 정리
- situation: 상황 (동의어: condition, circumstance / 반의어: resolution, solution)
- risk: 위험 (동의어: hazard, danger / 반의어: safety, security)
- consistency: 일관성 (동의어: uniformity, stability / 반의어: inconsistency, variability)
- fail to 부정사: ~하지 못하다 (동의어: unable to, fall short of / 반의어: succeed in)
- top talent: 최상위 인재 (동의어: elite professionals, best employees)
- invent: 발명하다 (동의어: create, innovate / 반의어: imitate, duplicate)
- product: 상품, 제품
- direction: 방향
- environment: 환경
- shift: 변하다, 전환하다 (동의어: change, alter / 반의어: maintain, persis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these situations,/
- 이러한 상황에서는,/
- the biggest risk isn’t <making/ a mistake>/ or/ <losing/ consistency>/
- 가장 큰 위험은 <저지르는 것이나/ 실수를>/ 혹은/ <잃은 것이 아닙니다/ 일관성을>/
- ;/ it’s failing to attract/
- 다시 말해서/ 그것은 끌어들이지 못하는 것입니다/
- [top talent,/ [<to invent/ new products>,/ or/ <to change/ direction/ quickly>]]/
- [최상위 인재를,/ [<발명하거나/ 새로운 제품을>,/ 혹은/ <바꿀/ 방향을/ 빠르게>]]/
- [when the environment shifts].
- [환경이 변할 때].
어법 설명
- 병치 구문
- <making/ a mistake>/ or/ <losing/ consistency>는 2개의 동명사구가 or로 병렬로 연결된 구조입니다.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의 병렬 연결
- [top talent,/ [<to invent/ new products>,/ or/ <to change/ direction/ quickly>]]에서 <to invent~>와 <to change~>는 앞에 놓인 명사 “top talent”를 수식하여 각각 “발명할” 및 “변경할”의 의미를 전달하며, or로 연결된 구조입니다. 이 용법은 문장 내에서 “~할/~하는/~하기 위한”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혹은 동사구, "is failing"의 목적어가 병렬 연결된 구조로도 볼 수 있습니다.
- 시간의 부사절 [when+주어+동사]
- "~할 때"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문장 4과 문장 5의 논리적 연결
- 문장 5에서 “In these situations”로 표현되기 위해서는 문장 4에 그러한 상황이 명시적으로 존재해야 합니다. 따라서, “But, today, the creative companies are today, the more they are inclined to be involved in situations with maximized variations.”로 표현해야 더 적절합니다.
- 함축적 의미 추론 문제 해결 Tip에 의한 함축적 의미 찾기 4
- 문장 5의 핵심 내용은 “변화가 극대화된 상황에서의 가장 큰 문제 – 새로운 제품의 발명, 빠른 방향 전환을 위한 최상위 인재 채용의 불가능”입니다. 결국 진술의 빈도 측면에서 “variation“에 좀 더 비중을 두고 있습니다. 계속 더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장 6
A symphony isn’t what you’re going for. Leave the conductor and the sheet music behind. Build a jazz band instead.
주요 단어 정리
- symphony: 교향곡 (동의어: orchestral composition)
- go for~: ~을 추구하다 (동의어: pursue, aim for / 반의어: avoid)
- conductor: 지휘자 (동의어: maestro)
- sheet music: 악보 (동의어: score)
- jazz band: 재즈 밴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 symphony isn’t [what you’re going for]./
- 교향곡은 [당신이 추구하는 것이] 아닙니다./
- Leave/ <the conductor/ and/ the sheet music>/ behind./
- 남겨 두세요/ <지휘자와/ 악보를>/ 뒤에./
- Build/ a jazz band/ instead.
- 만드세요/ 재즈 밴드를/ 대신에.
어법 설명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 [what you’re going for]에서 “what“은 ”~하는 것“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어법적으로는, ”관계대명사+불완전한 문장“의 관계를 기억하십시오.
- 명령문[동사원형+~]
- "Leave~“와 "Build~"는 명령문으로, 각각, ”남겨 두세요“와 ”만드세요“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최근, 이 명령문에서 쓰인 동사원형을 다른 형태로 바꾸어 어법적으로 옳은지를 묻는 문제로 출제됩니다.
- 비유적 표현
- "Build a jazz band instead"는 겉으로 보기에는 "창의적이고 유연한 팀 구성을 지향하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물론, 문제 출제를 위한 것으로 보이지만, 공식 문서에서는 "Foster dynamic and adaptive teamwork" 같은 명확한 표현이 더 적합합니다. 다시 말해서, 이 비유는 비격식적 상황이나 창의적 글쓰기에서는 효과적일 수 있지만, 학술적, 교육적, 혹은 공식적 맥락에서는 다소 터무니없고 비효율적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SAT처럼 명확성과 논리적 연결을 중요시하는 시험에서는 이런 표현이 적합하지 않다고 평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함축적 의미 추론 문제 해결 Tip에 의한 함축적 의미 찾기 5
- 문장 6의 핵심 내용은 “당신이 추구하는 것 ≠ 교향곡”, “교향곡을 연주하기 위해 존재하는 작곡가와 악보를 떠나서 전혀 새로운 것(재즈 밴드; 변화)를 만들어라”는 것으로 이해해야 정답이 도출됩니다. 결국, 이 지문의 진술에서의 문제점은 이 글의 주장, “변화를 조성하라”와 관련 없는 “문장 1과 문장 2”를 끌어 들여, “창의성, 속도 및 열의“가 조직의 중요한 부분으로 설명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분석자의 생각은 밑줄 친 부분의 글자 그대로의 의미, ”build a jazz band“를 ”팀의 구성“으로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기에, ④번을 선택한 사람도 적지 않았을 것입니다. 모의고사는 공적인 문서인 만큼 글의 논리적 구성을 항상 염두에 두고 작성해야 하지 않나 마지막으로 덧붙입니다.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조직 내에서 변화를 조성하라“는 내용입니다.
근거 문장
- "In these situations, the biggest risk isn’t making a mistake or losing consistency; it’s failing to attract top talent, to invent new products, or to change direction quickly when the environment shifts."
- "Build a jazz band instead."
정답 제시
- 가장 적절한 답은 ① ”Foster variation within an organization“입니다. 이는, ”조직 내에서 다양성을 촉진해야 한다“라는 지문의 핵심 내용을 반영합니다.
결론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21번 지문은 정보화 시대에서 창의성과 다양성이 기업 운영의 핵심이 되어야 함을 강조합니다. 필자는 "Build a jazz band instead"라는 비유를 통해, 기존의 고정된 리더십과 절차를 넘어 유연하고 창의적인 팀 문화를 구축할 필요성을 전달합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