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22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22번 지문은 위기 상황에서 소통과 정보 전달의 중요성을 다루고 있습니다. 필자는 새로운 위협이나 위기 상황에서 사람들은 의사결정을 위해 정보를 필요로 하고, 이 과정에서 정상적인 사회적 장벽이 무너진다고 설명합니다. 특히, 확인되지 않은 소문이 위기 속에서 더 빠르게 퍼질 수 있는 이유와, 소문의 시작 배경에 대해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설명합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글의 주제, 요지, 제목 찾기, 주장하는 바에 대한 문제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동일합니다. 글의 핵심 주장을 찾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아래로”로 독해해 나가다가 “Clue”가 없다고 판단되면,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을 변경하세요. 그러다 보면, 핵심 주장을 찾을 것이고 이때 예문을 확인하여 답을 선택하는 풀이 방법이 택하세요.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문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2.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Any new or threatening situation may require us to make decisions and this requires information. So important is communication during a disaster that normal social barriers are often lowered. We will talk to strangers in a way we would never consider normally. Even relatively low grade disruption of our life such as a fire drill or a very late train seems to give us the permission to break normal etiquette and talk to strangers. The more important an event to a particular public, the more detailed and urgent the requirement for news becomes. Without an authoritative source of facts, whether that is a newspaper or trusted broadcast station, rumours often run riot. Rumours start because people believe their group to be in danger and so, although the rumour is unproven, feel they should pass it on. For example, if a worker heard that their employer’s business was doing badly and people were going to be made redundant, they would pass that information on to colleagues. 

* redundant: (일시) 해고된

① 소수에 의한 정보 독점은 합리적 의사 결정을 방해한다. 

② 대중의 지속적 관심이 뉴스의 공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③ 위기에 처한 사람은 권위 있는 전문가의 의견을 구하려고 한다. 

④ 소문은 유사한 성향을 지닌 사람들 사이에서 더 빠르게 퍼진다. 

⑤ 위기 상황에서는 확인되지 않은 정보라도 전달하려는 경향이 크다.

문장별 분석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2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Any new or threatening situation may require us to make decisions and this requires information.

주요 단어 정리

  • threatening: 위협적인 (동의어: menacing, alarming / 반의어: harmless, safe)
  • require: 필요로 하다 (동의어: demand, need / 반의어: avoid, ignore)
  • decision: 결정 (동의어: choice, resolution / 반의어: indecision, hesitation)
  • information: 정보 (동의어: data, facts / 반의어: misinformatio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ny new or threatening situation/
  • 어떠한 새롭거나 위협적인 상황도/
  • may require/ us/ <to make/ decisions>/
  • 요구할 수 있습니다/ 우리에게/ <내리도록/ 결정들을>/
  • and/
  • 그리고/
  • this requires/ information.
  • 이것은 필요로 합니다/ 정보를.

어법 설명

  • 5형식 문형 "require + 목적어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동사 “require”는 to 부정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to 부정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요지 찾기 Tip
  • “위에서 아래로 독해” → 문장별 핵심 주장 도출 → 지문의 핵심 주장인지 판단 → 두 개의 문장을 읽었으나 “지문의 핵심 주장”이 모호한 경우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 변경 → 문장별 핵심 주장 도출 → 지문의 핵심 주장인지 판단 → 보기를 확인하고 정답 도출
  • 문장 1의 핵심 내용『의사 결정을 할 때 정보의 필요성』입니다. 이 문장은 일반적.사실을 진술하고 있으므로 더 읽어 내려가도록 합니다.

문장 2

So important is communication during a disaster that normal social barriers are often lowered.

주요 단어 정리

  • disaster: 재난 (동의어: calamity, catastrophe / 반의어: blessing, fortune)
  • barrier: 장벽 (동의어: obstacle, hindrance / 반의어: gateway, opening)
  • lower: 낮추다, 완화하다 (동의어: reduce, ease / 반의어: raise, heighte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o important/ is communication/ during a disaster/
  • 너무 중요해서/ (의사) 소통이/ 재난 (상황) 동안에/
  • [that normal social barriers are often lowered].
  • [정상적인 사회적 장벽이/ 종종 완화됩니다].

어법 설명

  • 도치 구문
  • "So important is communication"은 강조를 위해, 보어(So important)가 동사와 주어보다 앞에 온 도치 구조입니다.
  • so + 형용사/부사 + that 절
  • 이미 도치된 구도를 설명했지만, 원래 문장은 “Communication is so important during a disaster that normal social barriers are often lowered”으로 “너무 ...해서 ~하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요지 찾기 Tip에 따른 요지 찾기 1
  • 문장 2의 핵심 내용『재난 시의 소통의 중요성』입니다. 이 문장도 일반적 사실을 진술하고 있으므로 요지 찾기 Tip에 따라 독해의 방향을 “아래에서 위로” 바꾸어 봅니다. 마지막 문장으로 go!

문장 3

We will talk to strangers in a way we would never consider normally.

주요 단어 정리

  • stranger: 낯선 사람 (동의어: outsider, unknown / 반의어: acquaintance, friend)
  • consider: 고려하다 (동의어: think about, regard / 반의어: ignore, neglect)
  • normally: 평소에 (동의어: usually, typically / 반의어: unusually, abnormall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e will talk/ to strangers/
  • 우리는 이야기할 것입니다/ 낯선 사람들에게/
  • [in a way/ (how) we would never consider/ normally].
  • [방식으로/ 우리가 결코 생각하지 않을/ 평소에는].

어법 설명

  • 관계부사의 생략: "in a way (how)"
  • [in a way/ (how) we would never consider/ normally]에서 “방법의 선행사(the way)”와 “관계부사(how)”는 함께 쓸 수 없고 둘 중 하나는 반드시 생략해야 합니다. 가끔 내신에 출제되므로 주의하십시오.

문장 4

Even relatively low grade disruption of our life such as a fire drill or a very late train seems to give us the permission to break normal etiquette and talk to strangers.

주요 단어 정리

  • even: 심지어 (~조차도)
  • relatively: 비교적
  • low grade: 낮은 정도의
  • disruption: 혼란 (동의어: disturbance, interruption / 반의어: stability, order)
  • fire drill: 소방 훈련
  • seem to 부정사: ~하는 것처럼 보이다 (동의어: appear to 부정사)
  • permission: 허가, 권한 (동의어: consent, authorization / 반의어: prohibition, denial)
  • etiquette: 예의, 예절 (동의어: manners, decorum / 반의어: rudeness, impropriet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ven/ relatively low grade disruption/ of our life>/
  • <심지어/ 비교적 낮은 수준의 혼란조차도/ 우리의 삶의>/
  • <such as a fire drill or a very late train>/
  • <화재 대피 훈련이나 매우 늦은 열차 같은>/
  • seems to give/ us/
  • 주는 것처럼 보입니다/ 우리에게/
  • [the permission/ [<to break/ normal etiquette>/ and/ <(to) talk/ to strangers>]].
  • [허가를/ [<깨는/ 정상적인 예절을>/ 그리고/ <이야기하는/ 낯선 사람들에게>]].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의 병치 구문
  • "<to break/ normal etiquette>"와 "<(to) talk/ to strangers>"는 "the permission"을 수식하며, 각각 "예절을 깨는“ 및 ”낯선사람과 이야기 하는“ 허가"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이 용법은 문장 내에서 ”~할/~하는/~하기 위한“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또한 and로 병렬 연결된 구조입니다.

문장 5

The more important an event to a particular public, the more detailed and urgent the requirement for news becomes.

주요 단어 정리

  • particular: 특정한 (동의어: specific, distinct / 반의어: general, common)
  • public: 대중
  • urgent: 긴급한 (동의어: pressing, critical / 반의어: trivial, unimportan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more important/ <an event/ to a particular public>,/
  • 더 중요할수록/ <한 사건이/ 특정 대중에게>,/
  • the more detailed and urgent/ <the requirement/ for news>/ becomes.
  • 더 상세하고 긴급해집니다/ 요구가/ 뉴스에 대한.

어법 설명

  • 비례 비교 구문: 일명 ”더 먹어(The more)~, 더 먹어(The more)~“용법 
  • "The 비교급 ~, the 비교급 ~" 용법은 두 요소가 서로 비례 관계에 있음을 나타냅니다. ”~하면 할수록, 더 ~하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장 6

Without an authoritative source of facts, whether that is a newspaper or trusted broadcast station, rumours often run riot.

주요 단어 정리

  • authoritative: 권위 있는 (동의어: reliable, credible / 반의어: dubious, untrustworthy)
  • source: 출처, 근원
  • fact: 사실 (동의어: truth, reality / 반의어: fiction, falsehood)
  • source of fact: 사실의 출처
  • trusted: 신뢰받는
  • broadcast station: 방송국
  • rumour: 소문 (동의어: gossip, hearsay / 반의어: fact, truth)
  • run riot: 급속히 퍼지다, 제어되지 않다 (동의어: spread wildly, go unchecke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ithout an authoritative source/ of facts>,/
  • <권위 있는 출처가 없다면/ 사실들의>,/
  • [whether that is a newspaper or trusted broadcast station],/
  • [그것이 신문이든 신뢰받는 방송국이든],/
  • rumours often run riot.
  • 소문들은 종종 급속히 퍼집니다.

어법 설명

  • 선택의 부사절: whether + 주어 + 동사
  • ”~이든“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일반 명사절로 해석되는 ”~인지“와는 다릅니다.
  • 동사구 "run riot"
  • "run riot"은 비유적 표현으로, 통제되지 않는 소문의 확산을 강조합니다.

문장 7

Rumours start because people believe their group to be in danger and so, although the rumour is unproven, feel they should pass it on.

주요 단어 정리

  • rumour: 소문 (동의어: gossip, hearsay / 반의어: fact, truth)
  • believe: 믿다 (동의어: think, trust, accept / 반의어: doubt, disbelieve)
  • in danger: 위험에 처한 (동의어: at risk, endangered / 반의어: safe, secure)
  • unproven: 입증되지 않은 (동의어: unsupported, unverified / 반의어: proven, confirmed)
  • pass on: 전달하다 (동의어: convey, share / 반의어: withhold, suppress)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Rumours start/
  • 소문은 시작됩니다/
  • [because people believe/ their group/ <to be/ in danger>]/
  • [사람들이 믿기 때문에/ 그들의 집단을(집단이)/ <처해 있다고/ 위험에>/
  • and so,/
  • 그래서,/
  • [although the rumour is unproven],/
  • [비록 그 소문이 입증되지 않았지만],/
  • they feel/ [(that) they should pass it on].
  • 그들은 느낍니다/ [그들이 그것을 전달해야 한다고].

어법 설명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동사"
  • "(왜냐하면)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5형식 문형: "believe + 목적어 + to 부정사"
  • "believe/ their group/ <to bein danger>"는 "그들의 집단을(집단이) 위험에 처해 있다고 믿는다"는 의미를 전달하며, 목적격 보어로 "<to be/ in danger>"를 사용한 5형식 구조입니다.
  • 양보의 부사절: "although + 주어 + 동사"
  • "비록 ~이지만[~일지라도]"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의 생략
  • "feel/ [(that) they should pass it on]"에서 생략된 "(that)"는 동사 ”feel“의 목적어인 절을 있는 접속사. 목적절의 접속사 “that”는 문장 내에서 “~라고/~라는 것으로”로 해석되며,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요지 찾기 Tip에 따른 요지 찾기 3
  • 문장 7의 핵심 내용은 『소문이 퍼지는 이유 – 입증되지 않았더라도 사람들이 위험에 처해 있다고 믿기 때문에』입니다. 문장 8에서는 정답을 ④번으로 추론했으나 “[although the rumour is unproven]”의 표현으로부터 ”⑤ 위기 상황에서는 확인되지 않은 정보라도 전달하려는 경향이 크다.“를 정답으로 변경해야 합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조금이나마 시간을 줄이기 위해 ⑤번을 정답으로 선택 후 다음 문제로 넘어갑니다.

문장 8

For example, if a worker heard that their employer’s business was doing badly and people were going to be made redundant, they would pass that information on to colleagues.

주요 단어 정리

  • worker: 노동자, 근로자 (동의어: employee, staff / 반의어: employer, manager)
  • employer: 고용주 (동의어: boss, proprietor / 반의어: employee)
  • redundant: 해고된 (동의어: dismissed, laid off / 반의어: employed, retained)
  • pass on: 전달하다 (동의어: convey, relay / 반의어: withhold, suppress)
  • colleague: 동료 (동의어: coworker, associate / 반의어: rival, opponen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r example,/
  • 예를 들어,/
  • [if a worker heard/ [that their employer’s business/ was doing/ badly/ and/ people were going to be made redundant]]/
  • [만약 어떤 근로자가 들었다면/ [그들의 고용주의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고/ 좋지 않게/ 그리고/ 사람들이 해고될 것이라고]]/
  • they would pass that information on/ to colleagues].
  • 그들은 그 정보를 전달할 것입니다/ 동료들에게.

어법 설명

  • 접속부사구 For example
  • “예를 들어”의 의미를 전달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된 이력이 있습니다.
  • 가정법 과거
  • 표준 문형“If + 주어 + 과거형 동사 + ~, 주어 + would / should / could / might + 동사원형+~”으로 "[if a worker heard[that ~]]/ they would~“는 가정법 과거로, 조건 상황을 가정하여 소문이 퍼지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 5형식 문형의 수동태 "be made redundant"
  • ”their employer would was going to make people redundant“의 문장에서 ”people“의 문장에서 전후 상황으로 보아 명확한 행위자인, ”by their employer“을 생략한 수동태 구문으로, "be made redundant"는 "해고되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 요지 찾기 Tip에 따른 요지 찾기 2
  • 문장 8의 핵심 내용『자기와 관련된 소문이 퍼지는 신속성』입니다. 단 보기를 확인해 보고 이런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보기가 있는지 확인하면 ”④ 소문은 유사한 성향을 지닌 사람들 사이에서 더 빠르게 퍼진다.“입니다. 한 문장만 더 읽어봅시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입증되지 않은 소문이 빨리 퍼지기 위한 조건: 위기 상황”

근거 문장

  • "Rumours start because people believe their group to be in danger and so, although the rumour is unproven, feel they should pass it on."
  • "For example, if a worker heard that their employer’s business was doing badly and people were going to be made redundant, they would pass that information on to colleagues."

정답 제시

  • 위 지문에서 가장 적절한 요지는 ⑤ “위기 상황에서는 확인되지 않은 정보라도 전달하려는 경향이 크다.”입니다.

결론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22번 지문의 마지막 부분은 소문이 퍼지는 구체적인 과정을 예시를 통해 설명하며, 사람들이 자신이 속한 집단의 안전을 우려할 때 소문을 전달하는 경향이 있다고 강조합니다.

학생들은 요지 찾기 문제를 통해 논리적으로 요지를 찾는 방법을 자연스럽게 체득하며 그 과정에서 사고력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