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23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23번 지문은 과학과 예술이 문화적 맥락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설명하며, 특히 과학이 문화적 가치와 관점에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를 다루고 있습니다. 필자는 과학이 순수한 객관성을 지닌 활동인지, 아니면 특정한 시간과 장소에 속한 역사적 활동인지에 대해 의견이 나뉘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글의 주제, 요지, 제목 찾기, 주장하는 바에 대한 문제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동일합니다. 글의 핵심 주장을 찾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아래로”로 독해해 나가다가 “Clue”가 없다고 판단되면,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을 변경하세요. 그러다 보면, 핵심 주장을 찾을 것이고 이때 예문을 확인하여 답을 선택하는 풀이 방법을 택하세요.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가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3.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People seem to recognize that the arts are cultural activities that draw on (or react against) certain cultural traditions, certain shared understanding, and certain values and ideas that are characteristic of the time and place in which the art is created. In the case of science, however, opinions differ. Some scientists, like the great biologist J. B. S. Haldane, see science in a similar light ― as a historical activity that occurs in a particular time and place, and that needs to be understood within that context. Others, however, see science as a purely “objective” pursuit, uninfluenced by the cultural viewpoint and values of those who create it. In describing this view of science, philosopher Hugh Lacey speaks of the belief that there is an underlying order of the world which is simply there to be discovered ― the world of pure “fact” stripped of any link with value. The aim of science according to this view is to represent this world of pure “fact”, independently of any relationship it might bear contingently to human practices and experiences. * contingently: 혹여라도
① misconceptions on how experimental data should be measured
② views on whether science is free from cultural context or not
③ ways for minimizing cultural bias in scientific pursuits
④ challenges in achieving objectivity in scientific studies
⑤ functions of science in analyzing cultural phenomena
문장별 분석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23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People seem to recognize that the arts are cultural activities that draw on (or react against) certain cultural traditions, certain shared understanding, and certain values and ideas that are characteristic of the time and place in which the art is created.
주요 단어 정리
- seem to 부정사: ~하는 것처럼 보이다 (동의어: appear to 부정사)
- recognize: 인식하다 (동의어: acknowledge, perceive / 반의어: ignore, overlook)
- cultural activity: 문화적 활동
- draw on~: ~에 의존하다, ~을 활용하다 (동의어: rely on, utilize / 반의어: avoid)
- react against~: ~에 반발하다
- characteristic: (명사) 특징, 특성 (동의어: feature, attribute / 반의어: anomaly), (형용사) 특징적인, 독특한 (동의어: distinctive, typical / 반의어: uncharacteristic)
- be characteristic of~: ~의 특징이다, ~의 특징을 보여주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People seem to recognize/
- 사람들은 인식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 [that the arts are [cultural activities/ that <draw on or react against>/ [<certain cultural traditions,/ certain shared understanding,/ and/ certain values and ideas>/ that are characteristic/ [of <the time and place>/ in which/ the art is created]]]]/
- [예술이 [문화적 활동이라고/ <의존하거나 혹은 반발하는>/ [<특정 문화적 전통/ 특정한 공유된 이해/ 및/ 특정한 가치와 아이디어에>/ 특징인/ [<시간과 장소에>/ 그 안에서/ 예술이 창작되는]]]].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that the arts are~]"전체는 동사구 “seem to recognize”의 목적어인 목적절이며 “that”은 그 목적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고/~라는 것을”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cultural activities/ that <draw on or react against>/~]"에서 "that"은 선행사 "cultural activities"를 설명하며 “~에 의존하거나 반발하는 문화적 활동들”로 해석됩니다. 어법적으로는 “관계대명사+불완전한 문장”의 관계를 기억하십시오.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certain cultural traditions,/ certain shared understanding,/ and/ certain values and ideas>/ that are characteristic/"에서 "that"은 선행사 "<certain cultural traditions,/ certain shared understanding,/ and/ certain values and ideas>를 설명하며 “시간과 공간에 특징인 특정 문화적 활동, 특정 공유된 이해 및 특정 가치와 아이디어”로 해석됩니다.
- characteristic의 해석
- 두 번째 "that"절(관계절) 내의 “characterisric”는 품사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 1. 형용사로 해석: ""시간과 장소에 특징적인 특정 문화적 전통, 공유된 이해 및 가치와 아이디어"로 해석됩니다. 그러나, 이 경우 전치사 of와 형용사 characteristic의 연결이 문맥상 어색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형용사는 일반적으로 특정 주체나 사물의 고유 속성을 설명하는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시간과 장소라는 맥락 안에서 특정한 전통과 이해를 설명하기에는 다소 부자연스럽습니다.
- 2. 명사로 해석: "예술이 창작되는 시간과 장소의 특징인 특정 문화적 전통, 공유된 이해 및 가치와 아이디어"로 해석됩니다. 이 경우, characteristic은 시간과 장소가 가진 고유한 "특징"을 나타내며, 나열된 대상들(certain cultural traditions, shared understanding 등)이 이러한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결됩니다. 문맥상 훨씬 자연스럽고 논리적입니다.
- 결론적으로, 문맥상 "characteristic"을 명사의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보다 자연스럽기 때문에, "characteristics"로 복수형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합니다.
- 전치사 + 목적격 관계대명사 "in which"
- "<the time and place>/ in which/ the art is created"에서 "in which"는 "<the time and place"을 수식하여 “그 안에서 예술이 창작되는 시간과 공간”으로 해석됩니다. “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관계부사]”+완전한 문장의 관계를 기억하셔야 합니다.
- 주제 찾기 Tip
- “위에서 아래로 독해” → 문장별 핵심 주장 도출 → 지문의 핵심 주장인지 판단 → 두 개의 문장을 읽었으나 “지문의 핵심 주장”이 모호한 경우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 변경 → 문장별 핵심 주장 도출 → 지문의 핵심 주장인지 판단 → 보기를 확인하고 정답 도출(너무 뻘리 결론이 도출된 경우 반의 접속사 및 접속부사 있는지 확인)
- 문장 1의 핵심 내용은 『사람들이 예술을 문화적 활동으로 인식한다는 추정』입니다. 이 문장은 주장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바로, 보기를 확인하도록 합니다. 주로 과학에 대한 것들로 문장 1의 핵심 내용과는 상관이 없어 계속 읽어 봅니다.
문장 2
In the case of science, however, opinions differ.
주요 단어 정리
- in the case of~: ~의 경우에 (동의어: regarding, concerning)
- opinion: 의견 (동의어: view, belief / 반의어: fact, reality)
- differ: 다르다 (동의어: vary, disagree / 반의어: agree, coincid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the case/ of science,/
- 경우에는/ 과학의,/
- however,/
- 하지만,/
- opinions differ.
- 의견들이 다릅니다.
어법 설명
- 접속 부사 "however"
- 문장 내에서 "그러나/하지만"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즉, 향후 전재될 내용인 과학에 대한 견해가 예술에 대한 견해와 다르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 주제 찾기 Tip에 따른 주제 찾기 1
- 문장 2의 핵심 내용은 『과학에 대한 의견이 다르다』입니다. 문장 1의 핵심 내용이 『사람들이 예술을 문화적 활동으로 인식한다는 추정』이었기에 즉, “사람들이 과학을 문화적 활동을 인식하지 않는다.”로 이해됩니다. 보기를 다시 보면, 이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예문은 “② views on whether science is free from cultural context or not(과학이 문화적 맥락으로부터 자유로운지 아닌지에 대한 견해)”뿐입니다. 그러나, 문장 2에서는 “과학을 문화적 활동으로 인식하지 않는다”로 판단했으므로 한 문장 더 읽도록 합니다.
문장 3
Some scientists, like the great biologist J. B. S. Haldane, see science in a similar light ― as a historical activity that occurs in a particular time and place, and that needs to be understood within that context.
주요 단어 정리
- scientist: 과학자 (동의어: researcher, scholar)
- great: 위대한
- biologist: 생물학자
- in a similar light: 비슷한 관점에서
- historical: 역사적인 (동의어: chronological, past-related / 반의어: contemporary)
- activity: 활동
- occur: 일어나다
- particular: 특정한
- need to be+pp: ~될 필요가 있다
- context: 맥락, 상황 (동의어: circumstances, setting / 반의어: isolatio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ome scientists,/ like the great biologist J. B. S. Haldane>,/
- <몇몇 과학자들은,/ 위대한 생물학자인 J. B. S. Haldane같은>,/
- see/ science/ in a similar light/
- 봅니다/ 과학을/ 비슷한 관점에서/
- ―/ [as a historical activity/ [[that occurs/ <in a particular time and place>],/ and/ [that needs to be understood/ within that context]]].
- 즉/ [역사적 활동으로/ [[특정 시간과 장소에서 발생하는],/ 그리고/ [그것이 이해될 필요가 있는/ 그 맥락 안에서]]].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절의 병치 구문
- "[as a historical activity/ [[that occurs/ <in a particular time and place>],/ and/ [that needs to be understood/ within that context]]]"는 2개의 주격 관계대명사 절인 "[that occurs/ <in a particular time and place>]"와 "[that needs to be understood/ within that context]"가 and로 병렬로 연결된 구조입니다. 의미는 각각 “특정한 시간과 공간에 일어나는”과 “그러한 맥락 안에서 이해되어야 하는”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주제 찾기 Tip에 따른 주제 찾기 1
- 문장 3의 핵심 내용은 『몇몇 과학자들은 과학을 비슷한 관점(역사적 활동)에서 바라본다는 것.』입니다. 문장 2에서 뉘앙스로 판단한 “과학을 문화적 활동으로 인식하지 않는다”는 “과학을 문화적 활동으로 보는가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있다”로 수정해야 합니다. 다만, 문장 1에서 언급한 문화적 활동을 역사적 활동으로 바꾸어 표현해서 문제의 소지가 있지만, 이 글의 저자는 “시간과 공간에서 발생하는“의 의미로 그 표현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시도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이후의 내용에 반의 접속사나 접속부사가 있는지 확인한 후, 없다면(반의 접속부사가 있지만 견해에 대한 차이를 보여주는 역할), ②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문장 4
Others, however, see science as a purely “objective” pursuit, uninfluenced by the cultural viewpoint and values of those who create it.
주요 단어 정리
- purely: 순전히, 전적으로 (동의어: entirely, completely / 반의어: partially)
- objective: 객관적인 (동의어: impartial, unbiased / 반의어: subjective, biased)
- pursuit: 추구 (동의어: quest, search)
- uninfluenced: 영향을 받지 않는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thers,/
- 다른 사람들은,/
- however,/
- 그러나,/
- see/ science/
- 봅니다/ 과학을/
- [as a purely “objective” pursuit,/ (which or that is) uninfluenced/ [<by the cultural viewpoint and values>/ [of those/ who create/ it]]].
- [순전히 “객관적인” 추구로,/ 영향을 받지 않는/ [문화적 관점과 가치에 의해서/ [사람들의/ 창조하는/ 그것을]]].
어법 설명
- “~되는”의 의미로 사용된 “동사+ed [과거분사]”
- "a purely “objective” pursuit,/ (which or that is) uninfluenced/ [<by~]“에서 ”uninfluenced“는 ”영향을 받지 않는“의 의미로 앞에 놓인 명사구 ”a purely “objective” pursuit"를 수식합니다. 과거분사[동사+ed]는 문장 내에서 “~되어진/~되는/~당한”의 의미를 전달하며, 형태상 의미상 선행사인 “a purely “objective” pursuit“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가 생략된 것과 동일합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those/ who create/ it"에서 "who"는 선행사 "those"를 수식하여 ”그것을 창조하는 사람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장 5
In describing this view of science, philosopher Hugh Lacey speaks of the belief that there is an underlying order of the world which is simply there to be discovered ― the world of pure “fact” stripped of any link with value.
주요 단어 정리
- in ~ing: ~할 때 (동의어: when ~ing), ~하는데 있어서
- describe: 설명하다, 묘사하다
- underlying: 근본적인 (동의어: fundamental, basic / 반의어: superficial)
- order: 질서, 체계
- stripped of A: A에서 제거된
- any: 어떠한 ~라도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describing/ <this view/ of science>],/
- [설명할 때/ <이러한 관점을/ 과학의>],/
- philosopher Hugh Lacey speaks/
- 철학자 Hugh Lacey는 이야기합니다/
- [of the belief/ [that there is [an underlying order/ [of the world/ which is simply there/ to be discovered]/ [<the world/ of pure “fact”>/ (which or that is) stripped/ <of any link/ with value>]]].
- [믿음에 대해서/ [근본적인 질서가 존재한다는/ [세상의/ 단순히 거기에 있는/ 발견되기 위하여]/ [<세상인/ 순순한 사실의>/ 제거된/ <어떠한 연결에서도/ 가치와의>]]].
어법 설명
- 동격절의 접속사 that
- "the belief/ [that there is~]"에서 "that"은 "~라는"의 의미로 앞의 명사 “the belief”를 설명합니다.
- 관계대명사 "which"
- "the world/ which is simply there/ to be discovered"에서 "which"는 "the world"를 수식하며 “발견되기 위하여 단순히 거기에 존재하는 세상”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동격 관계
- "the world/ which is simply there/ to be discovered(발견되기 위하여 단순히 거기에 존재하는 세상)"과 "<the world/ of pure “fact”>/ (which or that is) stripped/ <of any link/ with value>(어떠한 가치와의 연결에서도 제거된 순수한 “사실”의 세상)“이 동격 관계임을 의미합니다.
- ”되어진“의 의미로 사용된 ”동사+ed [과거분사]“
- "[<the world/ of pure “fact”>/ (which or that is) stripped/ <of any link/ with value>]"에서 ”stripped“는 ”어떠한 가치와의 연결에서도 제거된“의 의미로 앞에 놓인 명사구 <the world/ of pure “fact”>를 수식합니다. 과거분사[동사+ed]는 문장 내에서 “~되어진/~되는/~당한”의 의미를 전달하며, 형태상 의미상 선행사인 <the world/ of pure “fact”>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가 생략된 것과 동일합니다.
문장 6
The aim of science according to this view is to represent this world of pure “fact”, independently of any relationship it might bear contingently to human practices and experiences.
주요 단어 정리
- aim: 목표, 목적 (동의어: purpose, objective / 반의어: means)
- according to~: ~에 따르면
- represent: 나타내다, 표현하다 (동의어: depict, portray / 반의어: misrepresent)
- independently of~: ~와 관계없이 (동의어: irrespective of, regardless of / 반의어: dependently on)
- relationship: 관계 (동의어: connection, link / 반의어: disconnection, separation)
- contingently: 혹여라도, 우연히, 혹은 상황에 따라 (동의어: incidentally, accidentally)
- bear: (특정한 것을) 가지다, (열매를) 맺다
- practice: 관행, 실천 (동의어: habit, custom)
- experience: 경험 (동의어: knowledge, observation / 반의어: ignorance, inexperienc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aim/ of science>/
- <목표는/ 과학의>/
- according to this view/
- 이 관점에 따르면/
- is to represent/
- 나타내는 것입니다/
- <this world/ of pure “fact”>/
- <이 세계를/ 순수한 "사실"의>/
- [independently of any relationship/ (which or that) it might bear/ contingently/ <to(→with) human practices and experiences>].
- [어떠한 관계와도 무관하게/ 그것이(순수한 사실의 세상이) 가질[맺을] 수 있는/ 혹여라도/ <인간의 관행과 경험에(과)>].
어법 설명
- be to 부정사 용법
- 일반적으로 “~하는 것이다”로 해석되며, 문맥에 따라 “예정(~할 예정이다)”, “가능(~할 수 있다)”, “의무(~해야 한다)”, “의도(~할 의도이다)”, 또는 “운명(~할 운명이다)” 등의 의미로 변환됩니다.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에 해당합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생략
- "any relationship/ (which or that) it might bear/ contingently/ <to(→with) human practices and experiences>"에서 선행사인 “any relationship”을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이 생략된 구조입니다. 전치사가 앞에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목적겨 관계대명사는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bear to~와 bear with~의 비교
- "bear to“는 방향성을 강조하며, "어떤 대상을 향해 관계를 가지다"는 의미로, 문맥에서, ”과학적 사실이 인간 관행을 향해 관계를 맺는다“는 점을 부각하는 반면, ”bear with~“는 상호성을 강조하며, "대상과 관계를 가지다"는 의미로, ”과학적 사실과 인간 관행 간의 상호적 연결"을 암시하기 때문에 문맥상 “상호적 관계를 강조하려면” “with로 변경하는 것이 더 적절”해 보입니다.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과학을 문화적 활동으로 인식해야 하는가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
근거 문장
- "Some scientists... see science in a similar light ― as a historical activity that occurs in a particular time and place."
- "Others... see science as a purely 'objective' pursuit, uninfluenced by the cultural viewpoint and values of those who create it."
정답 제시
- 가장 적절한 주제는 ② "views on whether science is free from cultural context or not"로 “과학이 문화적 맥락에서 자유로운지 혹은 아닌지에 대한 견해”입니다.
결론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23번 지문은 과학이 문화적 맥락에서 자유로운지에 대한 서로 다른 견해를 설명합니다. 일부는 과학을 역사적 맥락에 의해 형성된 활동으로 보고, 다른 이들은 과학을 순수한 객관성의 영역으로 봅니다.
학생들은 주제 찾기 문제를 통해 논리적으로 주제를 찾는 방법 이외에도 실제 고사장에서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자연스럽게 체득하며 그 과정에서 사고력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