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24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24번 지문은 정신적 발달과 책임의 연령 기준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필자는 정신적 발달이 사회적 상황과 성숙한 타인의 지원 속에서 이루어진다고 설명하며, 덴마크에서 법적 책임과 투표권 부여를 위한 나이 기준을 예로 들어, 이러한 연령 기준의 적절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합니다. 글은 정신적 발달 속도의 개인차와 사회적 환경의 영향을 강조하며, 책임 연령에 대한 절대적 기준이 과연 타당한지 묻습니다.
본 분석에서는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글의 제목 찾기, 주제, 요지, 주장하는 바에 대한 문제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동일합니다. 글의 핵심 주장을 찾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아래로”로 독해해 나가다가 “Clue”가 없다고 판단되면,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을 변경하세요. 그러다 보면, 핵심 주장이나 명제를 찾을 것이고 이때 예문을 확인하여 답을 선택하는 풀이 방법을 택하세요.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가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4.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Mental development consists of individuals increasingly mastering social codes and signals themselves, which they can master only in social situations with the support of more competent individuals, typically adults. In this sense, mental development consists of internalizing social patterns and gradually becoming a responsible actor among other responsible actors. In Denmark, the age of criminal responsibility is 15 years, which means that we then say that people have developed sufficient mental maturity to be accountable for their actions at this point. And at the age of 18 people are given the right to vote and are thereby formally included in the basic democratic process. I do not know whether these age boundaries are optimal, but it is clear that mental development takes place at different rates for different individuals, and depends especially on the social and family environment they have been given. Therefore, having formal limits for responsibility from a specific age that apply to everyone is a somewhat questionable practice. But the question, of course, is whether it can be done any differently.
① Adult Influence Is Key to Child Development
② How Can Social Codes Limit People’s Cognition?
③ Democracy Grows Only with Responsible Youth
④ Setting Responsibilities Based on Age: Is It Appropriate?
⑤ Aging: A Possible Obstacle to Consistent Personal Growth
문장별 분석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24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Mental development consists of individuals increasingly mastering social codes and signals themselves, which they can master only in social situations with the support of more competent individuals, typically adults.
주요 단어 정리
- mental development: 정신적 발달
- consist of~: ~으로 구성되다 (동의어: be composed of, comprise / 반의어: exclude)
- individual: 개인
- master: 숙달하다[되다], 통달하다 (동의어: learn, acquire / 반의어: forget, fail)
- social codes and signals: 사회적 규범과 신호
- competent: 유능한 (동의어: capable, skilled / 반의어: incompetent, unqualified)
- typically: 일반적으로
- adult: 성인, 어른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ental development consists/
- 정신적 발달은 구성됩니다/
- [of individuals/ (who or that are) increasingly mastering/ [<social codes and signals>/ themselves/, which/ they can master/ [only in social situations/ [with the support/ <of more competent individuals,/ typically adults>]]]].
- [개인들로/ 점점 더 숙달되고 있는/ [<사회적 규범과 신호를>/ 스스로/ 그리고 그것들을/ 그들이 숙달될 수 있습니다/ [사회적 상황에서만/ [지원을 가진(지원이 있는)/ <더 유능한 개인들의/ 일반적으로 성인들의>]]]].
어법 설명
- 앞뒤 관계가 맞지 않은 진술
- "Mental development consists/ [of individuals/ (who or that are) increasingly mastering/ [<social codes and signals>/ themselves/~]].“ 이 표현은 "정신적 발달이 점차 사회적 규범과 신호를 숙달하는 개인들로 구성된다"고 해석됩니다. 하지만, 정신적 발달은 과정(process)이지 구성 요소의 나열이 아니므로, "can be achieved when"이나 "occurs when"과 같은 표현이 더 적절합니다. 따라서, ”Mental development can be achieved(occurs)/ when individuals increasingly master/ social codes and signals/ themselves~“과 같이 변경해야 발달 과정과 메커니즘을 명확히 설명하며, 문맥에 더 잘 부합합니다.
- “~하고 있는”의 의미로 사용된 “동사+ing [현재문사]”
- "individuals/ (who or that are) increasingly mastering"에서 “mastering”는 “숙달되고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며 앞에 “individuals”를 서식합니다. 이는 선행사 “individual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인 “(who or that are)”가 생략된 구조와 동일합니다. “주격 관계대명사+be 동사”는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comma(,) which"
- ", which/ they can master/~"에서 ", which"는 선행사 "social codes and signals"를 수식하며, "사회적 규범과 신호"를 숙달할 수 있는 맥락을 설명합니다. 해석 시 “접속사 + 대명사”로 해석합니다. 여기서는 “그리고 그것들이(사회적 규범과 신호들이)”로 해석됩니다.
- 제목 찾기 Tip
- “위에서 아래로 독해” → 문장별 핵심 주장 도출 → 지문의 핵심 주장이나 명제인지 판단 → 두 개의 문장을 읽었으나 “지문의 핵심 주장”이 모호한 경우 “아래에서 위로” 독해 방향 변경 → 문장별 핵심 주장 도출 → 지문의 핵심 주장인지 판단 → 보기를 확인하고 정답 도출(너무 뻘리 결론이 도출된 경우 반의 접속사 및 접속부사 있는지 확인)
- 문장 1의 핵심 내용은 『정신적 발달 = 사회적 규범과 신호의 숙달 = 성인만 가능.』입니다. 정신적 발달에 대한 이 글 저자의 주장에 해당하지만, 보기를 확인해도 이 진술과 정확히 매칭되는 보기가 안보이므로 한 문장 더 읽습니다.
문장 2
In this sense, mental development consists of internalizing social patterns and gradually becoming a responsible actor among other responsible actors.
주요 단어 정리
- in this sense: 이러한 의미에서
- internalize: 내면화하다 (동의어: absorb, integrate / 반의어: externalize)
- social pattern: 사회적 패턴
- responsible actor: 책임 있는 행위자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this sense,/
- 이러한 의미에서,/
- mental development consists/
- 정신적 발달은 구성됩니다/
- [<of internalizing/ social patterns>/ and/ <(of) gradually becoming a responsible actor/ among other responsible actors>].
- [<내면화하는 것으로/ 사회적 패턴을>/그리고/ <점진적으로 책임 있는 행위자가 되는 것으로/ 다른 책임 있는 행위자들 가운데서>].
어법 설명
- 문장 1과 문장 2의 논리적 단절 문제
- 문장 1은 정신적 발달을 "사회적 규범과 신호의 숙달"로 정의하고, 문장 2는 갑자기 "사회적 패턴의 내면화와 책임 있는 행위자"로 구성된다고 진술하고 있습니다. 중간 과정이 생략되어, 이런 경우 독자는 두 개념 간의 연결성을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Through repeated social interactions, individuals internalize these codes, forming the basis for responsible action."와 같이, 개인이 사회적 규범에 숙달되면서 이를 내면화하고 행동에 반영하는 과정을 간략히 언급하고, "In this process, mental development consists of internalizing social patterns and becoming a responsible actor."와 같이 논리적 연결어로 흐름을 자연스럽게 한다면 문장 1과 문장 2 사이의 논리적 흐름이 명확해집니다.
- ”~하는 것“의 의미의 동사+ing [동명사]구의 병치 구문
- "[<of internalizing/ social patterns>/ and/ <(of) gradually becoming a responsible actor/ among other responsible actors>]"에서 ”internalizing“와 ”becoming“는 각각 ”내면화하는 것“와 ”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동명사는 문장 내에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제목 찾기 Tip에 따른 제목 찾기 1
- 문장 2의 핵심 내용은 『정신적 발달 = 사회적 패턴의 내면화 & 책임 있는 행위자가 되는 것』입니다. 문장 1의 핵심 내용과 연계하면 “정신적 발달 = 사회적 규범과 신호의 숙달(내면화) = 책임 있는 행위자 = 성인만 가능”는 내용입니다. 다시 보기를 보면, 이 내용에 부합되는 예문은 “④ Setting Responsibilities Based on Age: Is It Appropriate?(나이를 근거로 책임을 설정하는 것; 적절한가?)”뿐입니다. ①번의 “성인의 영향력 & 아동의 발달”은 현재까지 언급된 내용이 아니고, ②번의 “사람의 인지를 제한한다는 내용”도 언급된 바 없으며, ③번의 “민주주의의 성장”도 언급되지 않았고 ⑤번의 “노화”에 관한 내용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렇더라도, 한 문장을 더 읽겠습니다.
문장 3
In Denmark, the age of criminal responsibility is 15 years, which means that we then say that people have developed sufficient mental maturity to be accountable for their actions at this point.
주요 단어 정리
- Denmark: 덴마크
- criminal responsibility: 형사 책임
- mean: 의미하다
- develop: 발달[발전]시키다
- sufficient: 충분한
- mental: 정신적인
- maturity: 성숙 (동의어: adulthood, development / 반의어: immaturity)
- accountable: 책임 있는 (동의어: answerable, liable / 반의어: irresponsible)
- be accountable for~: ~에 대해 책임지다 (동의어: be responsible for)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Denmark,/
- 덴마크에서는,/
- <the age/ of criminal responsibility>/ is 15 years/
- <연령은/ 형사 책임의>/ 15세입니다,/
- , which means/ [that we then say/ [that people have developed/ sufficient mental maturity/ <to be accountable/ for their actions>/ at this point]].
- 그리고 그것이 의미합니다/ [우리가 그러면 말한다는 것을/ [사람들이 발달시켰다고/ 충분한 정신적 성숙을/ <책임을 질 정도로/ 그들의 행동에 대해>/ 이 시점에]].
어법 설명
- 연결성 부족: 성장 과정과 판정 시기의 단절
- 문장 1과 문장 2는 정신적 성장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문장 3부터는 정신적 성장의 판정 시기로 전환되지만, 이 둘 사이의 논리적 연결 고리가 부족합니다. 이럴 경우, "정신적 성장 과정의 결과로 책임을 평가한다"는 연결 문장을 추가해 일관성을 유지하거나 또는 성장 과정만, 혹은 판정 시기만 집중적으로 논의했어야 합니다. 이런 개선이 있었다면 글의 논리가 훨씬 명확해졌을 것입니다.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comma(,) which“
- ", which"는 앞의 문장 전체를 수식하며, "그것은 의미한다"의 의미를 추가로 설명합니다. 이 경우, ”that“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 "to be accountable for~"는 "~에 대해 책임을 질 정도로"의 의미로 동사구인 ”have developed“를 수식합니다. 이 용법은 문장 내에서 ”~할 정도로/~할 만큼“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 제목 찾기 Tip에 따른 제목 찾기 2
- 문장 3의 핵심 내용은 『덴마크에서의 형사 책임의 연령 기준(15세) = 사람들이 자신의 행동에 대해 책임질 정도로 충분히 성숙했다는 것을 의미』입니다. 앞서 선택한 보기, “④ Setting Responsibilities Based on Age: Is It Appropriate?(나이를 근거로 책임을 설정하는 것; 적절한가?)”의 내용을 보충하는 내용입니다. 따라서, 실전에서는 ④번을 정답으로 선택하고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다음 문제로 넘어가도록 합니다.
문장 4
And at the age of 18 people are given the right to vote and are thereby formally included in the basic democratic process.
주요 단어 정리
- the right to vote: 투표권
- formally: 공식적으로 (동의어: officially, ceremonially / 반의어: informally)
- include: 포함시키다
- democratic process: 민주적 절차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nd/
- 그리고/
- <at the age/ of 18>/
- <18세의/ 나이에]/
- people [are given/ <the right/ to vote>]/ and/ [are thereby formally included/ in the basic democratic process].
- 사람들은 [부여받습니다/ <권리를/ 투표할>]/ 그리고/ [그로 인해 공식적으로 포함됩니다/ 기본 민주적 절차 안에].
어법 설명
- 수동태 "are given", “are included”
- "be+pp"의 구조로, 각각 "투표권을 부여받는다"와 “포함된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수동태는 문장 내에서 “~되어지다/~당하다”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 동사구의 별렬 연결
- 이 문장은 2개의 동사구 "[are given/ <the right/ to vote>]"]와 "[are thereby formally included/ in the basic democratic process]"를 and로 병렬로 연결한 구조.
문장 5
I do not know whether these age boundaries are optimal, but it is clear that mental development takes place at different rates for different individuals, and depends especially on the social and family environment they have been given.
주요 단어 정리
- age boundary: 연령 기준
- optimal: 최적의 (동의어: ideal, best / 반의어: suboptimal, worst)
- clear: 분명한
- rate: 속도, 비율
- take place: 일어나다, 개최되다
- depend on~: ~에 달려있다
- especially: 특히
- environment: 환경 (동의어: surroundings, setting)
- be given~: ~을 받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 do not know/
- 저는 모릅니다/
- [whether these age boundaries are optimal],/
- [이 연령 기준이 최적인지를],/
- but/
- 하지만
- it is clear/ [that mental development [takes place/ at different rates/ for different individuals],/ and/ [depends/ especially/ [on the social and family environment/ (which or that) they have been given]]].
- 그것은 분명합니다/ [정신적 발달이 [일어난다는 것은/ 다른 속도로/ 서로 다른 개인들에게],/ 그리고/ [달려있다는 것은/ 특히/ [사회적 (환경)과 가족 환경에/ 그들이 제공받아 온]]].
어법 설명
- 명사절의 접속사 whether
- 명사절을 이끌며 "인지 아닌지"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it(가주어) that 절(진주어)
- “it is clear/ [that~]의 용법을 말하며, ”~하는 것은 분명합니다”로 해석됩니다.
- that 절의 동사구의 병치
- that 절은 2개의 동사구 “[takes place/ at different rates/ for different individuals]”와 “[depends/ especially/ [on the social and family environment/ (which or that) they have been given]]”이 and로 병렬로 연결된 구조.
-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생략
- “the social and family environment/ (which or that) they have been given”에서 선행사 “the social and family environment”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가 생략된 형태로 “그들이 받은 사회적 환경과 가족 환경”으로 해석됩니다.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언제든 생략이 가능합니다.
- 현재완료 수동태 have been given
- “과거에서 현재까지” “받아 왔던(계속)”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사회적 환경과 가족 환경에/ 그들이 제공받아 온"에서 “그들이 제공받아 온(that they have been given)"은 다소 어색할 수 있습니다. "주어진(that has been given)" 혹은 "누려온(that they have enjoyed)"로 수정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문장 6
Therefore, having formal limits for responsibility from a specific age that apply to everyone is a somewhat questionable practice.
주요 단어 정리
- formal limit: 공식적 제한
- specific age: 특정 연령
- apply to~: ~에 적용되다
- questionable: 의문스러운 (동의어: debatable, doubtful / 반의어: certain, unquestionabl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refore,/
- 그러므로,/
- [having/ [<formal limits/ for responsibility/ from a specific age>/ that apply/ to everyone]]/
- [가지는 것은(두는 것은)/ [<공식적 제한들을/ 책임에 대한/ 특정 연령부터>/ 적용되는/ 모두에게]]/
- is a somewhat questionable practice.
- 다소 의문스러운 관행입니다.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문장의 주어는 “having”으로 단수이며,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is”가 사용됨.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formal limits/ for responsibility/ from a specific age>/ that apply/ to everyone]”에서 “that”은 선행사 “<formal limits/ for responsibility/ from a specific age>”를 수식하여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특정 나이부터 책임에 대한 공식적인 제한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장 7
But the question, of course, is whether it can be done any differently.
주요 단어 정리
- question: 문제
- whether~: ~인지 아닌지
- be done: 이루어지다
- differently: 다르게 (동의어: alternatively, uniquely / 반의어: similarly, identically)
- any differently: 전혀 다르게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 그러나/
- the question,/
- 문제는,/
- of course,/
- 물론,/
- is [whether it can be done/ any differently].
- [그것이 이루어질 수 있는가입니다/ 전혀 다르게].*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문장의 주아는 the question(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형태인 is(단수).
- 명사절의 접속사 whether [간접 의문문]
- "whether it can be done"은 명사[간접 의문문]으로, "그것이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정신적 발달 수준에 따른 책임에 대한 연령 기준이 적절한가?“
근거 문장
- "Mental development consists of internalizing social patterns and gradually becoming a responsible actor among other responsible actors.“
- ”In this sense, mental development consists of internalizing social patterns and gradually becoming a responsible actor among other responsible actors.“
- ”In Denmark, the age of criminal responsibility is 15 years, which means that we then say that people have developed sufficient mental maturity to be accountable for their actions at this point.“
- "Therefore, having formal limits for responsibility from a specific age that apply to everyone is a somewhat questionable practice."
정답 제시
- 가장 적절한 제목은 ④ "Setting Responsibilities Based on Age: Is It Appropriate?(연령에 근거해서 책임을 정하는 것: 그것이 적절한가?)"입니다.
결론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24번 지문은 정신적 발달과 책임의 연령 기준이 적절한지에 대한 문제를 다룹니다. 필자는 개인의 정신적 발달 속도와 환경의 차이를 언급하며, 획일적인 연령 기준 설정이 의문스러운 관행이라고 지적합니다.
이 지문 유형의 풀이를 통해 학생들은 제목 찾기 문제를 통해 논리적으로 제목을 찾는 방법 이외에도 실제 고사장에서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자연스럽게 체득하며 그 과정에서 사고력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