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29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29번 지문은 시각의 전환이라는 주제를 다루며, 역사적으로 우리가 받아들여온 개념들이 변해가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과거에는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는 관점에서 태양을 중심으로 한 관점으로 변화했듯이, 이제는 인간 경제 중심의 사고에서 생태적 건강을 고려하는 경제관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이 유형의 문제에서는 어법적으로 틀린 부분을 찾아 수정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청크) 분석, 그리고 어법 설명을 통해 이 지문의 구조와 메시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글의 어법상 틀린 것을 찾는 문제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동일합니다. 독해력이 받쳐주는 학생들은 어법이 포함된 문장만 독해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지문의 핵심 주장을 찾으면서 독해가 되지 않거나 어색한 부분을 찾는 방법입니다. 어법은 대부분의 경우, 해석 방법을 모아서 이름을 붙여 놓은 것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대명사가 어법 문제의 대상인 경우, 이전 문장을 독해하여 대명사가 지시하는 대상을 찾아야 합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가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3점]

One well­known shift took place when the accepted view ― that the Earth was the center of the universe — changed to one where we understood that we are only inhabitants on one planet ① orbiting the Sun. With each person who grasped the solar system view, ② it became easier for the next person to do so. So it is with the notion that the world revolves around the human economy. This is slowly being replaced by the view that the economy is a part of the larger system of material flows that connect all living things. When this perspective shifts into place, it will be obvious that our economic well­being requires that we account for, and ③ respond to, factors of ecological health. Unfortunately we do not have a century or two ④ make the change. By clarifying the nature of the old and new perspectives, and by identifying actions ⑤ on which we might cooperate to move the process along, we can help accelerate the shift.

문장별 분석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29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One well­-known shift took place when the accepted view ― that the Earth was the center of the universe ― changed to one where we understood that we are only inhabitants on one planet ① orbiting the Sun.

주요 단어 정리

  • shift: 변화 (동의어: change, transition / 반의어: stability, permanence)
  • take place: 발생하다 (동의어: occur, happen / 반의어: cease, halt)
  • inhabitant: 거주자 (동의어: resident, dweller / 반의어: visitor, outsider)
  • orbit: 궤도를 돌다 (동의어: revolve, circle / 반의어: remain static)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ne well-known shift took place/
  • 한 잘 알려진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 [when [the accepted view/ ― [that the Earth was <the center/ of the universe]]/ changed/ [to one/ where we understood/ [that we are only inhabitants/ [on one planet/ (which or that is) orbiting/ the Sun]]]].
  • [[받아들여진 관점이/ ― [지구가 <중심이었다는/ 우주의>]]/ 바뀌었을 때/ [하나로(관점으로)/ 우리가 이해했던/ [우리가 단지 거주자일 뿐이라는 것을/ [한 행성 위의/ 궤도를 돌고 있는/ 태양의]]]].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할 때“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When 절"의 주어는 [the accepted view/ ― [that the Earth was <the center/ of the universe]]입니다.
  • 동격절의 접속사 that
  • [the accepted view/ ― [that the Earth was <the center/ of the universe]]에서 ”that“은 ”~라는“의 의미를 전달하며 앞에 놓인 명사, ”the accepted view“를 설명합니다.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는 받아들여진 관점“으로 해석됩니다.
  • 관계부사 "where“
  • "one/ where we understood[that~]"에서 "where"는 선행사 "one"을 수식하며 "우리가 ~라는 것을 이해했던 것(관점)"이라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관계부사 + 완전한 문장“의 관계를 기억하십시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we understood[that~]"에서 "that"은 동사 "understood"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하고 있는”의 의미로 사용된 “동사+ing [현재분사]” - 어법의 적절성 검토 1
  • "one planet/ (which or that is) orbiting/ the Sun에서 "orbiting"은 “(궤도를) 돌고 있는”의 의미로 앞에 놓인 명사, “one planet”을 수식합니다. 이는 “one planet”을 선행사로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가 생략된 것과 형태상, 의미상 동일합니다. 따라서,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문장 2

With each person who grasped the solar system view, ② it became easier for the next person to do so.

주요 단어 정리

  • grasp: 이해하다 (동의어: understand, comprehend / 반의어: misunderstand, overlook)
  • solar system: 태양계
  • become easier: 더 쉬워지다 (동의어: get simpler, become more straightforward / 반의어: become harder, get more complex)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ith each person/ who grasped/ the solar system view],/
  • [각각의 사람과 함께/ 이해했던/ 태양계 관점을],/
  • it became easier/ [<for the next person>/ <to do so>].
  • 그것이 더 쉬워졌습니다/ [<다음 사람이>/ <그렇게 하는(태양계 관점을 이해하는) 것이>].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each person/ who grasped/ the solar system view”에서 “who”는 선행사 "each person"을 수식하며 "태양계 관점을 이해한 사람"을 나타냅니다.
  • it(가주어) ~ to 부정사(진주어) 용법 - 어법적 적절성 검토 2
  • "it became easier/ [<for the next person>/ <to do so>]"에서 “it”는 가주어로, “<to do so>”는 진주어로, “for the next person”는 to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로 사용되었습니다. 따라서 “it”는 어법적으로 적절합니다.

문장 3

So it is with the notion that the world revolves around the human economy.

주요 단어 정리

  • so it is with~: ~도 마찬가지다
  • notion: 개념, 생각 (동의어: idea, belief / 반의어: reality, fact)
  • revolve around~: ~을 중심으로 돌아가다 (동의어: center on, focus on / 반의어: ignore, exclude)
  • economy: 경제 (동의어: financial system / 반의어: chaos)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o it is/ [with the notion/ that the world revolves/ around the human economy].
  • 그 개념도 마찬가지입니다/ [세상이 돌고 있다는/ 인간 경제를 중심으로].

어법 설명

  • 동격절의 접속사 that
  • "the notion/ that the world revolvesaround the human economy"에서 ”that“은 ”~라는“의 의미를 전달하며 앞에 놓인 명사, ”the notion“을 설명합니다. ”세상이 인간 경제를 중심으로 돌고 있다는 개념“으로 해석됩니다.

문장 4

This is slowly being replaced by the view that the economy is a part of the larger system of material flows that connect all living things.

주요 단어 정리

  • be replaced by~: ~로 대체되다 (동의어: be substituted by, be succeeded by / 반의어: remain, persist)
  • material flows: 물질의 흐름
  • connect: 연결하다 (동의어: link, associate / 반의어: disconnect, separate)
  • living thing: 생명체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This is slowly being replaced/

이것이(세상이 인간 경제를 중심으로 돌고 있다는 개념이) 서서히 대체되고 있습니다/

[by the view/ [that the economy is [a part/ [of <the larger system/ of material flows>/ that connect/ all living things]]]].

[그 관점에 의해서/ [경제가 [일부라는/ [<더 큰 시스템의/ 물질의 흐름이라는>/ 연결하는/ 모든 생명체들을]]]].

어법 설명

  • 현재 진행 수동태 "is being replaced"
  • ”대체되고 있습니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동격절의 접속사 that
  • the view/ [that the economy is [a part/ [of <the larger system/ of material flows>/ that connect/ all living things]]]에서 ”that“은 ”~라는“의 의미를 전달하며 앞에 놓인 명사, ”the view“를 설명합니다. ”경제가 모든 생명체들을 연결하는 물질의 흐름이라는 더 큰 시스템의 일부라는 관점“으로 해석됩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the larger system/ of material flows>/ that connect/ all living things”에서 “that”은 선행사 "material flows"을 수식하며 "모든 생명체들을 연결하는 물질의 흐름"을 나타냅니다.

문장 5

When this perspective shifts into place, it will be obvious that our economic well-being requires that we account for, and ③ respond to, factors of ecological health.

주요 단어 정리

  • perspective: 관점 (동의어: viewpoint, outlook / 반의어: ignorance, misunderstanding)
  • shift into place: 자리잡다
  • obvious: 명백한 (동의어:clear, evident, apparent, noticeable / 반의어: unclear, obscure, ambiguous, doubtful)
  • economic well-being: 경제적 안녕[복지]
  • account for~: (여기서는) ~을 책임지다(→be responsible for, take responsibility for
  • respond to~: ~에 반응하다 (동의어: react to, address / 반의어: ignore)
  • ecological: 생태계의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this perspective shifts/ into place],/
  • [이 관점이 이동할 때/ 제 자리로(자리 잡을 때)],/
  • it will be obvious/
  • 그것이 분명해질 것입니다/
  • [that our economic well-being requires/ [that we account for,/ and/ respond to,/ <factors/ of ecological health>]].
  • [우리의 경제적 복지가 요구한다는 것을/ [우리가 책임져야 한다는 것을,/ 그리고/ 반응하는 것을,/ <요인들을(에)/ 생태계의 건강에 대한>]].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할 때“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it(가주어) ~ that 절(진주어) 용법
  • "it will be obvious/ [that our economic well-being requires/~]“에서, ”it“는 가주어로, ”that 절절“은 진주어로 사용되었습니다.
  • that 절의 동사구의 병치 구문 - 어법적 적절성 겁토 3
  • [that we account for,/ andrespond to,/ <factors/ of ecological health>]에서, 동사구의 병치 관계를 묻고 있습니다. 따라서, respond는 어법상 적절합니다.
  • "Account for"의 해석상의 적절성에 대한 검토
  • 지문 내 "account for <factors of ecological health>"라는 표현은 "생태적 건강 요인들을 설명하다" 또는 "고려하다"라는 의미로 이해됩니다. 그러나 "책임지다"의 의미로 해석하는 것은 어법적으로 부적절합니다. "Account for"는 주로 "~을 설명하다" 또는 "(비율을) 차지하다"로 쓰이며, 책임지는 의미는 일반적이지 않습니다. 만약 문맥에서 "생태적 건강 요인들에 대해 책임지다"라는 뜻을 명확히 전달하려면, "take responsibility for" 또는 "be responsible for"와 같은 표현으로 수정하는 것이 더 적합할 것입니다.
  • 목적어 공유의 의미적 부조화
  • [that we account for,/ andrespond to,/ <factors/ of ecological health>]에서 두 동사 account for“와 ”respond to“가 같은 목적어, ”<factors/ of ecological health>“를 공유하는 구조는 문법적으로 가능하지만, 의미적으로는 어색할 수 있습니다. 이를 수정해 "[that we account for/ <factors/ of ecological health>/ and/ respond to/ them]"으로 변경하면 각 동사가 의미적으로 명확해지고, 독자가 문장을 더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문장 6

Unfortunately we do not have a century or two ④ make the change.

주요 단어 정리

  • a century or two: 100년 혹은 200년
  • make the change: 변화를 이루다 (동의어: implement change / 반의어: resist chang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Unfortunately/
  • 불행히도/
  • we do not have/ [a century or two/ <④ make(→to make)/ the change>].
  • 우리는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100년 혹은 200년을/ <만들도록(이루기 위한)/ 변화를>].

어법 설명

  • 어법적 오류 - 어법적 적절성 검토 4
  • 현재까지의 문맥상 ”변화를 이루기 위한 100년 혹은 200년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의 의미가 와야 하므로 <make/ the change>는 <to make/ the change>로 변경되어야 적절합니다. 어법적으로는,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으로 ”~할/~하는/~하기 위한“으로 해석됩니다.

문장 7

By clarifying the nature of the old and new perspectives, and by identifying actions ⑤ on which we might cooperate to move the process along, we can help accelerate the shift.

주요 단어 정리

  • by ~ing: ~함으로써
  • clarify: 명확히[분명히] 하다 (동의어: explain, elucidate / 반의어: confuse, obscure)
  • perspective: 관점
  • identify: 식별하다 (동의어: recognize, determine / 반의어: ignore)
  • cooperate: 협력하다 (동의어: collaborate, work together / 반의어: compete, oppose)
  • move along: 진전[진행]시키다
  • accelerate: 가속화하다 (동의어: speed up, hasten / 반의어: slow down, decelerat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y clarifying/ [the nature/ <of the old and new perspectives>],/
  • 명확히[분명히] 함으로써/ [본질을/ <과거와 새로운 관점들의>],/
  • and/
  • 그리고]/
  • by identifying/ [actions/ ⑤ on which/ we might cooperate/ <to move the process along],/
  • 식별함으로써/ [행동들을/ 그(그 행동) 위에서/ 우리가 협력할 수 있는/ <진전시키기 위해서/ 그 과정을>],/
  • we can help/ <accelerate/ the shift>.
  • 우리는 도울 수 있습니다/ <가속화하는 것을/ 그 변화를(전환을)>.

어법 설명

  • 전치사 + 관계대명사 "on which“ - 어법적 적절성 검토 5
  • "actions/ ⑤ on whichwe might cooperate"에서 "on which"는 선행사인, "actions(행동들)"을 수식하여 "그 위에서 우리가 협력할 수도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며 어법적으로 적합합니다. ”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 관계부사)“는 뒤에 완전한 문장이 온다는 관계도 기억하십시오.
  • help + (to) 부정사
  • 동사 ”help“는 3형식 문형에서 to 부정사나 동사원형(원형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이때 목적어인 to 부정사나 동사원형(원형 부정사)은 ”~하는 것“으로 명사처럼 해석됩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어법상 틀린 부분

  • 어법상 틀린 부분에 대해서는 이미 문장 분석 시에 설명한 바 있으나 다시 한 번 언급하면, 문장 6의 "we do not have/ [a century or two/ <④ make(→to make)/ the change>]"의 의미는 문맥상 ”변화를 이루기 위한 100년 혹은 200년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의 의미가 와야 하므로 <make/ the change>는 <to make/ the change>로 변경되어야 적절합니다.

정답 제시

  • 어법상 틀린 부분은 ④ make로, ”to make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으로 변경해야 적절한 의미가 전달됩니다. 거의 모든 어법 문제가 해석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을 기억하십시오.

결론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29번 지문은 역사적 관점의 변화와 경제 중심 사고에서 생태적 사고로의 전환 필요성을 설명하며, 어법적 오류를 찾는 문제입니다.

학생들은 어법의 적절성 검토 문제를 통해 어법적으로 틀린 부분을 찾는 방법 이외에도 대부분의 경우, 어법 문제는 독해와 관련된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됩니다. 아울러, 독해력이 갖춰져 있다면 어법의 적절성 판단을 해야 하는 문장만 독해하는 습관을 통해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도 자연스럽게 체득하리라 기대합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