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1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1번 지문은 인간이 불리한 결과를 경험했을 때, 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그 결과를 어떻게 받아들이는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다루고 있습니다. 불공정한 과정을 핑계로 삼을 때 우리는 위로를 받을 수 있지만, 공정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개인의 책임을 강조한다는 점을 논리적으로 설명합니다. 공정한 과정에서 발생한 결과를 개인이 어떻게 받아들이는지에 관한 논리적 흐름을 기반으로 적절한 어휘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장 구조와 맥락을 명확히 파악하며, 정답을 논리적으로 도출합니다. 이 글은 빈칸 추론 문제 해결 전략과 영어 독해 능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은 빈칸이 있는 문장부터 읽고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추론하라는 것입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어 문장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1.
When we get an unfavorable outcome, in some ways the last thing we want to hear is that the process was fair. As outraging as the combination of an unfavorable outcome and an unfair process is, this combination also brings with it a consolation prize: the possibility of attributing the bad outcome to something other than ourselves. We may reassure ourselves by believing that our bad outcome had little to do with us and everything to do with the unfair process. If the process is fair, however, we cannot nearly as easily ________ the outcome; we got what we got “fair and square.” When the process is fair we believe that our outcome is deserved, which is another way of saying that there must have been something about ourselves (what we did or who we are) that caused the outcome. [3점] * consolation: 위로
① expect ② diversify ③ externalize
④ generate ⑤ overestimate
문장별 분석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1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When we get an unfavorable outcome, in some ways the last thing we want to hear is that the process was fair.
주요 단어 정리
- unfavorable: 불리한, 좋지 않은 (동의어: adverse / 반의어: favorable)
- outcome: 결과 (동의어: result, consequence)
- in some ways: 어떤 면에서 (동의어: in some respects)
- the last thing: 가장 원하지 않는 것
- fair: 공정한 (동의어: just, impartial / 반의어: unfair, biase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we get/ an unfavorable outcome],/
- [우리가 받을 때/ 불리한 결과를],
- in some ways/
- 어떤 면에서는/
- [the last thing/ (which or that) we want to hear]/ is [that the process was fair].
- [그 마지막 것은(가장 싫어하는 것은)/ 우리가 듣기를 원하는]/ [과정이 공정했다는 것]입니다.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할 때"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생략
- [the last thing/ (which or that) we want to hear]에서 선행사 “the last thing”을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이 생략된 구조로, “우리가 들기를 원하는 마지막 것(듣기를 가장 싫어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보어절[명사절] that
- "is [that the process was fair]"에서 "that"는 문장의 보어 역할을 하는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전체적인 의미는 “그 과정이 공정했다는 것”입니다.
문장 2
As outraging as the combination of an unfavorable outcome and an unfair process is, this combination also brings with it a consolation prize: the possibility of attributing the bad outcome to something other than ourselves.
주요 단어 정리
- outraging: 분노를 일으키는 (동의어: infuriating / 반의어: calming)
- combination: 결합, 조합 (동의어: mixture, union)
- consolation prize: 위로의 상, 위안책
- of ~ing: ~하는
- attribute A to B: A를 B의 탓으로 돌리다
- other than~: ~가 아닌, ~외의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s outraging/ [as [the combination/ <of an unfavorable outcome/ and/ an unfair process>] is (outraging)]],/
- [그만큼 분노스러운/ [[그 조합이/ <불리한 결과/ 및/ 불공정한 과정의>] 그런 것(분노스러운 것) 만큼]],/
- this combination also brings/ with it/ a consolation prize/
- 이 조합은 또한 가져옵니다/ 그것(그 조합)과 함께/ 위안책도/
- :/ [the possibility/ [of attributing/ the bad outcome/ <to something/ other than ourselves>]].
- 다시 말해서/ [가능성을/ [탓으로 돌리는/ 나쁜 결과를/ <무언가로/ 우리 자신이 아닌(외의)>]].
어법 설명
- 동등비교 구문[As +형용사/부사 + as + 비교 대상]
- "비교 대상만큼 그만큼 ~한"의 의미로, 두 요소를 비교합니다. 관용적으로, “~하는 만큼 아무리 ~할지라도”라는 양보의 의미도 전달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아래의 “분사구문” 해설을 보시면 이해하기가 더 쉬울 것입니다.
- 분사구문
- 문장 초반부를 “~할지라도”의 의미로 해석되는 경우, [Though it is as outraging/ [as the combination~]]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Though, 주어 it(=the combination)이 생략되고 동사 is가 being으로 바뀐 후 역시 생략된 분사구문으로 보는 경우입니다. 다만, 어법에서는 의미를 명확히 전달하고자 하는 경우, 접속사를 생략하지 않아야 합니다. 그 점을 고려한다면, 지문에서 너무 지나치게 생략이 이루어진 상태로, 이는 학습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으므로, 접속사를 포함한 형태로 복원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문장 3
We may reassure ourselves by believing that our bad outcome had little to do with us and everything to do with the unfair process.
주요 단어 정리
- reassure: 안심시키다 (동의어: comfort, console)
- have little to do with ~: ~와 거의 관련이 없다
- have everything to do with ~: ~와 모두 관련이 있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e may reassure/ ourselves/
- 우리는 안심시킬 수 있습니다/ 우리 스스로를/
- by believing/ [that our bad outcome <had little to do/ with us>/ and/ <(had) everything to do/ with the unfair process>].
- 믿음으로써/ [우리의 나쁜 결과가 <거의 관련이 없었다고/ 우리와>/ 그리고/ <모두 관련이 있었다고/ 불공정한 과정과>].
어법 설명
- “~하는 것”의 의미로 사용된 “동사+ing [동명사]”
- "by believing~“에서 "believing"은 “믿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며, “믿는 것에 의하여”의 의미를 “믿음으로써”로 의역합니다. 동명사는 문장 내에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by believing/ [that~]"에서 "that"은 동명사 "believing"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고/~라는 것을“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병치 구문
- 이 문장은 2개의 동사구 <had little to do/ with us>와 <(had) everything to do/ with the unfair process>가 and로 병렬로 연결된 병치 구문입니다.
문장 4
If the process is fair, however, we cannot nearly as easily ________ the outcome; we got what we got “fair and square.”
주요 단어 정리
- fair: 공정한
- fair and square: 정정당당하게, 공명정대하게 (동의어: justly, honestl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the process is fair],/
- [만약 과정이 공정하다면],/
- however,/
- 그러나;/
- we cannot nearly as easily ________/ the outcome/
- 우리는 그렇게 쉽게 ________할 수 없습니다/ 그 결과를
- ;/ we got/ [what we got]/ “fair and square.”
- 즉,/ 우리는 얻었습니다/ [우리가 얻은 것을]/ 정정당당하게.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한다면”의 직설법 조건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접속부사 "however"
- 문장 내에서 "그러나 / 하지만"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빈칸의 추론
- 접속부사 “however”로 인해 앞에서는 "과정이 공정하지 않을 경우, 결과를 외부 요인으로 돌리는 것"에 대한 논리가 전개되었으나, 여기서는 그 반대로 "결과를 우리 자신과 무관하게 설명하기 힘들다"는 점이 강조됩니다. 따라서 빈칸에는 "externalize(외부로 돌리다)"가 가장 적합합니다. 보다 정확히 표현하자면, 이는 "attribute the outcome to external factors"의 의미를 내포합니다.
문장 5
When the process is fair we believe that our outcome is deserved, which is another way of saying that there must have been something about ourselves (what we did or who we are) that caused the outcome.
주요 단어 정리
- deserve: ~을 받을 만하다 (동의어: merit, be entitled to)
- of ~ing: ~하는
- cause: 야기하다, 원인이 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the process is fair],/
- [그 과정이 공정할 때],/
- we believe/ [that our outcome is deserved]/
- 우리는믿습니다/ [우리의 결과가 받을만하다고],/
- , which is another way/ of saying/
- 그리고 이것은 또 다른 방식입니다/ 말하는/
- [that there must have been/ [[<something/ about ourselves>/ ([what we did]/ or/ [who we are])]/ that caused/ the outcome]].
- [있음에 틀림이 없다는/ [[<무언가가/ 우리들 자신에 대한>/ ([우리가 했던 것]/ 또는/ [우리가 누구인지] 같은)]/ 초래했던/ 그 결과를]].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할 때"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 "comma(,) which"
- ", which is another way/ of saying/~"에서 ", which"는 선행사인, 앞 문장 전체를 수식하며, 해석 시 “접속사 + 대명사”로 해석합니다. 여기서는 “그리고 그것이”로 해석됩니다. 이 경우, that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saying/ [that there must have been/~]"에서 "that"은 동명사 "saying"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고/~라는 것을“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 [what we did]에서 “what“은 ”~하는 것“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어법적으로는, ”관계대명사+불완전한 문장“의 관계를 기억하십시오.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
- [who we are]는 간접의문문으로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올 때 취하는 어순[의+주+동]입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something/ about ourselves>/ ([what we did]/ or/ [who we are])]/ that caused/ the outcome]에서 “that”은 선행사 “[<something/ about ourselves>/ ([what we did]/ or/ [who we are])]” 수식하며, “그 결과를 초래했던 우리 자신에 대한 무언가”로 해석됩니다. 이 경우, 삽입된 ([what we did]/ or/ [who we are]) 내용이 수식 관계를 더 혼란스럽게 합니다. 차라리, “such as our ability or skill”정도의 의미였으면 의미를 파악하는데 더 명확했을 것입니다.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공정성에 대한 인식: 과정이 공정하지 않다면 외부 탓, 공정하다면 자신 탓“
근거 문장 제시
- We may reassure ourselves by believing that our bad outcome had little to do with us and everything to do with the unfair process.
- When the process is fair we believe that our outcome is deserved, which is another way of saying that there must have been something about ourselves (what we did or who we are) that caused the outcome.
정답 제시
- 문맥상 결과를 공정하지 않은 외부 요인에 돌리기 어려움을 나타내므로, "외부화하다"를 의미하는 ③ externalize가 적절합니다.
결론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1번 지문은 사람들이 불리한 결과를 받아들일 때 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설명합니다. 공정하지 않은 과정에서는 결과를 외부 요인 탓으로 돌리며 위안을 얻을 수 있지만, 과정이 공정할 경우 결과를 자신과 관련짓지 않을 수 없다는 논리를 전개합니다.
본 분석 내용을 통해 학생들은 빈칸 추론 문제에 대한 해설을 통해 논리적이고 효과적으로 답을 추론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자부합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