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은 서양 여성 드레스의 변화를 분석한 크로버(Kroeber)의 연구를 중심으로, 패션의 변화가 일정한 주기를 따른다는 점을 다룹니다. 지문은 수학적이고 통계적인 접근법을 통해, 드레스 길이와 스타일의 주기적 변화가 단순한 연간 변동이 아닌 역사적 규모의 현상임을 논증합니다.
문장별 분석의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어법 설명을 통해 문장 구조와 맥락을 명확히 파악하며, 정답을 논리적으로 도출합니다. 이 글은 빈칸 추론 문제 해결 전략과 영어 독해 능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단순한 Tip은 빈칸이 있는 문장부터 읽고 앞뒤 문장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여 추론하라는 것입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문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2.
The wellknown American ethnologist Alfred Louis Kroeber made a rich and indepth study of women’s evening dress in the West, stretching back about three centuries and using reproductions of engravings. Having adjusted the dimensions of these plates due to their diverse origins, he was able to analyse the constant elements in fashion features and to come up with a study that was neither intuitive nor approximate, but precise, mathematical and statistical. He reduced women’s clothing to a certain number of features: length and size of the skirt, size and depth of the neckline, height of the waistline. He demonstrated unambiguously that fashion is __________ which is not located at the level of annual variations but on the scale of history. For practically 300 years, women’s dress was subject to a very precise periodic cycle: forms reach the furthest point in their variations every fifty years. If, at any one moment, skirts are at their longest, fifty years later they will be at their shortest; thus skirts become long again fifty years after being short and a hundred years after being long. [3점]
* engraving: 판화 ** dimension: 크기
① a profoundly regular phenomenon ② a practical and progressive trend
③ an intentionally created art form ④ a socially influenced tradition
⑤ a swiftly occurring event
문장별 분석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The wellknown American ethnologist Alfred Louis Kroeber made a rich and indepth study of women’s evening dress in the West, stretching back about three centuries and using reproductions of engravings.
주요 단어 정리
- ethnologist: 민족학자
- indepth: 심층적인 (동의어: thorough, comprehensive)
- stretch back~: ~을 거슬러 올라가다(~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다)
- century: 세기
- reproduction: 복제, 재현
- engraving: 판화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wellknown American ethnologist/ Alfred Louis Kroeber>/
- <잘 알려진 미국인 민족학자인/ 알프레드 루이스 크로버는>/
- made/
- 만들었다(진행했다)/
- [a rich and indepth study/ <of women’s evening dress/ in the West>],/
- [풍부하고 심층적인 연구를/ <여성용 이브닝드레스에 대한/ 서양에서의>]/
- [stretching back/ about three centuries]/ and/ [using/ <reproductions/ of engravings>].
- [거슬러 올라가면서/ 약 3세기를(약 3세기 전으로)]/ 그리고/ [사용하면서/ <복제품들을/ 판화들의>].
어법 설명
- 분사구문의 병치 구문
- "[stretching back/ about three centuries]/ and/ [using/ <reproductions/ of engravings>]"는 종속절 [while he stretched back/ about three centuries]/ and/ [used/ <reproductions/ of engravings>]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he가 생략되고, 동사 stretched와 used가 각각 stretching과 using으로 바뀐 분사구문입니다. “~하면서”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어법보다는 의미
-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문장 2
Having adjusted the dimensions of these plates due to their diverse origins, he was able to analyse the constant elements in fashion features and to come up with a study that was neither intuitive nor approximate, but precise, mathematical and statistical.
주요 단어 정리
- adjust: 조정하다
- dimension: 크기, 치수
- plate: 판화
- due to~: ~때문에
- diverse: 다양한 (동의어: varied / 반의어: uniform)
- origin: 출처
- be able to 부정사: ~할 수 있다
- analyse(analyze): 분석하다
- element: 요소
- constant: 일정한 (동의어: consistent / 반의어: variable)
- come up with~: 생각해내다
- neither A nor B: A도 B도 아닌
- intuitive: 직관적인
- approximate: 대략적인 (동의어: rough / 반의어: precise)
- precise: 정확한
- mathematical: 수학적인
- statistical: 통계적인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aving adjusted/ <the dimensions/ of these plates>/ <due to their diverse origins>],
- [조정한 후에/ <크기를/ 이 판화들의>/ <그것들의 다양한 출처 때문에>,/
- he [was able to analyse/ <the constant elements/ in fashion features>]/ and/ [(was able) to come up with/ [a study/ that <was neither intuitive nor approximate>,/ <but precise, mathematical and statistical>]].
- 그는 [분석할 수 있었습니다/ <일정한 요소들을/ 패션 특징들 내에서의>]/ 그리고/ [생각해 낼 수 있었습니다/ [연구를/ <직관적이지도 대략적이지도 않았던>/ 하지만/ <정확하고 수학적이며 통계적이었던>]].
어법 설명
- 완료형 분사구문 Having adjusted
- "조정한 후"라는 의미를 전달하며, [After he had adjusted/~]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after, 주어 he가 생략되고, had가 hav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주절보다 한 시제 앞선 것을 의미합니다.
- 병치 구문
- 주절의 동사는 2개의 동사구 [was able to analyse/ <the constant elements/ in fashion features>]와 [(was able) to come up with/ [a study/ that <was neither intuitive nor approximate>,/ <but precise, mathematical and statistical>]]가 병렬로 연결된 병치 구문입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a study/ that <was neither intuitive nor approximate>,/ <but precise, mathematical and statistical>]에서 ”that“은 선행사, ”a study“를 수식하여 ”직관적이지도 대략적이지도 않지만 정확하고 수학적이며 통계적인 연구“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문장 3
He reduced women’s clothing to a certain number of features: length and size of the skirt, size and depth of the neckline, height of the waistline.
주요 단어 정리
- reduce A to B: A를 B로 단순화하다
- a certain number of~: 특정한 수의~, 몇 가지의~
- feature: 특징, 요소
- length: 길이
- depth: 깊이
- neckline: 목선
- height: 높이
- waistline: 허리선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e reduced/ women’s clothing/ <to a certain number of features>/
- 그는 줄였습니다(단순화했습니다)/ 여성의 옷을/ <몇 가지 특징들로>/
- :/ [<length and size/ of the skirt>,/ <size and depth/ of the neckline>,/ <height/ of the waistline>
- 즉,/ [<길이와 크기/ 치마들의>,/ <크기와 깊이/ 목선의>,/ <높이라는/ 허리선의>].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문장 4
He demonstrated unambiguously that fashion is __________ which is not located at the level of annual variations but on the scale of history.
주요 단어 정리
- demonstrate: 입증하다 (동의어: prove, show)
- unambiguously: 명확하게 (동의어: clearly / 반의어: ambiguously)
- annual: 연간의
- not A but B: A가 아니라 B
- be located at~: ~에 위치하다
- variation: 변화, 변동
- on the scale of ~: ~의 규모에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e demonstrated/ unambiguously/
- 그는 입증했습니다/ 명확하게/
- [that fashion is [__________/ which [is not located/ <at the level/ of annual variations>]/ [but (is located)/ <on the scale of history>]]].
- [그는 패션이 [__________라는 것을/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수준에/ 연간 변동의>]/ [위치하는/ <역사적 규모에>]]].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He demonstrated/ unambiguously/ [that~]"에서 "that"은 동사 "demonstrated"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고/~라는 것을“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which
- [__________/ which~]에서 “which”은 선행사 “__________”를 수식하며, “연간 변동의 수준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규모에 위치하는 __________”로 해석됩니다.
- 빈칸의 추론
- 이 문장 이후에서 “일정 기간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기술하고 있으므로 "① a profoundly regular phenomenon(매우 규칙적인 현상)"이 가장 적절합니다.
문장 5
For practically 300 years, women’s dress was subject to a very precise periodic cycle: forms reach the furthest point in their variations every fifty years.
주요 단어 정리
- practically: 거의
- subject to~: ~의 지배를 받는
- periodic: 주기적인 (동의어: cyclical)
- furthest: 가장 먼 (동의어: farthes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For practically 300 years,/
- 거의 300년 동안,/
- women’s dress was subject/ to a very precise periodic cycle/
- 여성의 드레스는 지배를 받았습니다/ 매우 정확한 주기적 변화의/
- :/ forms reach/ <the furthest point/ in their variations>/ every fifty years.
- 즉/ 모양들이 도달합니다/ <가장 먼 지점에(극단에)/ 변화의>/ 50년마다.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문장 6
If, at any one moment, skirts are at their longest, fifty years later they will be at their shortest; thus skirts become long again fifty years after being short and a hundred years after being long.
주요 단어 정리
- at any one moment: 어떤 한 순간에라도
- at their longest: 가장 긴 상태에서
- at their shortest: 가장 짧은 상태에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f,/ at any one moment,/ skirts are/ at their longest],/
- [만약/ 어느 한 순간에라도/ 치마가 있다면/ 가장 긴 상태에],/
- fifty years later,/ they will be/ at their shortest;/
- 50년 후에,/ 그것들은 있게 될 것입니다/ 가장 짧은 상태에/
- ;/ thus/
- 즉,/ 따라서/
- skirts become long/ again/ [fifty years after being short]/ and/ (short) [a hundred years after being long].
- 치마는 길어집니다/ 다시/ [짧아진 지 50년 후에]/ 그리고/ (짧아질 겁니다) [길어진 지 100년 후에].
어법 설명
- 조건의 부사절 “If + 주어 + 동사”
- “만약 ~한다면”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접속부사 "thus"
- 문장 내에서 "따라서 / 그러므로"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문맥상 short 추가 필요
- “skirts become long/ again/ [fifty years after being short]/ and/ short [a hundred years after being long].”에서 문맥상 “길어진 지 100년 후에 짧아집니다”의 의미가 와야 하므로 위처럼 “short”가 추가되어야 합니다.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내용
- “패션의 주기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 반복된다.”
근거 문장 제시
- For practically 300 years, women’s dress was subject to a very precise periodic cycle: forms reach the furthest point in their variations every fifty years.
- If, at any one moment, skirts are at their longest, fifty years later they will be at their shortest; thus skirts become long again fifty years after being short and a hundred years after being long.
- → 상기 2개의 문장에서 패션은 “일정 기간에 걸쳐 규칙적으로 유행하는 현상”임이 설명됩니다.
정답 제시
- ① a profoundly regular phenomenon (매우 규칙적인 현상)
- → 역사적 주기성과 정교한 변화를 강조하는 문맥에 가장 적합합니다.
결론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은 패션의 변동이 단순한 연간 변동이 아니라, 역사적 규모에서 매우 정교한 주기를 가진 규칙적 현상임을 논증합니다. 크로버는 수학적, 통계적 연구를 통해 패션의 주기성을 입증했으며, 패션의 본질을 "정확하고 규칙적인 현상"으로 규정합니다.
본 분석 내용을 통해 학생들은 빈칸 추론 문제에 대한 해설을 통해 논리적이고 효과적으로 답을 추론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문장별 내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어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하는 청크 분석 및 한국어와 영어의 어순 차이와 수식 구조적 차이에 기반을 둔 의미 분석 및 상세한 어법 설명은 체계적으로 모의고사와 수능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자부합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