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은 기술 발전과 시장 메커니즘의 관계, 그리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부작용을 다룹니다. 기술로 인한 불평등 심화와 노동 시장의 붕괴가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빈칸에 들어갈 표현을 통해 핵심 메시지를 추론하는 문제입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비교적 상세한 어법 해설 내용이 전체적인 글을 이해하시는데 큰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문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4.

It’s often said that those who can’t do, teach. It would be more accurate to say that those who can do, can’t teach the basics. A great deal of expert knowledge is implicit, not explicit. The further you progress toward mastery, _________________. Experiments show that skilled golfers and wine aficionados have a hard time describing their putting and tasting echniques — even asking them to explain their approaches is enough to interfere with their performance, so they often stay on autopilot. When I first saw an elite diver do four and a half somersaults, I asked how he managed to spin so fast. His answer: “Just go up in a ball.” Experts often have an intuitive understanding of a route, but they struggle to clearly express all the steps to take. Their brain dump is partially filled with garbage. [3점]

* aficionado: 애호가 ** somersault: 공중제비

① the greater efforts you have to put into your work

② the smaller number of strategies you use to solve problems

③ the less you tend to show off your excellent skills to others 

④ the more detail­oriented you are likely to be for task completion

⑤ the less conscious awareness you often have of the fundamentals

문장별 분석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It’s often said that those who can’t do, teach.

주요 단어 정리

  • often: 종종, 자주 (동의어: frequently, repeatedly / 반의어: rarely, seldom)
  • be said: 말해지다 (동의어: stated, mentioned / 반의어: none)
  • those: 사람들 (동의어: individuals, people / 반의어: none)
  • do: (무언가를) 하다, 실행하다 (동의어: perform, act / 반의어: fail, neglect)
  • teach: 가르치다 (동의어: educate, instruct / 반의어: lear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t’s often said/ [that [those/ who can’t do],/ teach].
  • 그것이 종종 말해진다(사람들이 종종 말한다)/ [[사람들이/ 실행하지 못하는]/ 가르친다고].

어법 설명

  • It(가주어) ~ that 절(진주어) 용법
  • It’s often said[that~]”에서 ”It“는 가주어, ”that 절”은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한국어에는 없는 용법으로 어법에서는 it를 해석하지 말라고 말하지만, 용법의 이해를 위해 오히려 해석하기를 권합니다.
  • that 절의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that [thosewho can’t do],/ teach]”에서 주어는 “those(복수)”, 따라서, 동사도teach(복수)”.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thosewho can’t do],/ teach”에서 “who”는 선행사, “those”를 수식하여, “실행할 수 없는 사람들”의 의미를 전달.

문장 2

It would be more accurate to say that those who can do, can’t teach the basics.

주요 단어 정리

  • accurate: 정확한 (동의어: precise, exact / 반의어: inaccurate, imprecise)
  • say: 말하다 (동의어: state, express / 반의어: suppress)
  • basics: 기본, 기초 (동의어: fundamentals, essentials / 반의어: details, complexities)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t would be more accurate/ [to say/ [that [those/ who can do],/ can’t teach/ the basics]]].
  • 그것이 더 정확할 것입니다/ [말하는 것이/ [[사람들이/ (실행)할 수 있는],/ 가르칠 수 없다고/ 기본을]]].

어법 설명

  • It(가주어) ~ to 부정사(진주어) 용법
  • It would be more accurate/ [to say/~]”에서 ”It“는 가주어, ”to say~”은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한국어에는 없는 용법으로 어법에서는 it를 해석하지 말라고 말하지만, 용법의 이해를 위해 오히려 해석하기를 권합니다.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to say[that~]]"에서 "that"은 to 부정사, "to say"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who”
  • [thosewho can do],/ can’t teach/ the basics]”에서 “who”는 선행사, “those”를 수식하여, “실행할 수 있는 사람들”의 의미를 전달.
  • 문맥 혼동으로 인한 오답 가능성
  • 문맥으로 볼 때, 문장 1과 문장 2에 쓰인, "Those who can’t do"와 "those who can do"는 전문가 수준의 능력자와 그렇지 않은 자 사이의 상대적 차이를 강조합니다. 이를 단순히 "할 수 없는 사람"과 "할 수 있는 사람"으로 오해하면, 문맥상 핵심 논지인 암묵적 지식과 기본 개념 설명의 어려움을 놓치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문맥에 맞게 "those who can do"는 "those who can do something at the same level as professional players",로 "those who can’t do"*는 "those who are good at something but not as good as professional players"로 표현하는 것이 타당해 보입니다.

문장 3

A great deal of expert knowledge is implicit, not explicit.

주요 단어 정리

  • great deal: 많은 양 (동의어: large amount, plenty / 반의어: small amount)
  • a great deal of~: 많은 양의~
  • expert: 전문가의, 숙련된 (동의어: skilled, adept / 반의어: novice, amateur)
  • knowledge: 지식 (동의어: information, understanding / 반의어: ignorance)
  • implicit: 암묵적인, 내포된 (동의어: implied, indirect / 반의어: explicit, direct)
  • explicit: 명시적인 (동의어: clear, straightforward / 반의어: implicit, vagu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 great deal/ of expert knowledge>/ is implicit,/ not explicit.
  • 많은 전문가 지식은/ 암묵적이다,/ 명시적인 것이 아니라.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문장의 주어는 “A great deal(많은 양; 단수)”, 따라서, 동사도is(단수)”.
  • implicit, not explicit
  • 대조를 강조하는 구조로, not을 사용하여 두 속성을 비교합니다.

문장 4

The further you progress toward mastery, _________________.

주요 단어 정리

  • further: 더 멀리, 더 나아가서 (동의어: farther, beyond / 반의어: closer)
  • progress: 진보하다, 나아가다 (동의어: advance, develop / 반의어: regress, stagnate)
  • mastery: 숙달, 통달 (동의어: expertise, proficiency / 반의어: incompetence, ignoranc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further/ you progress/ toward mastery],/ ________________.
  • [더 멀리/ 당신이 나아갈수록/ 숙달을 향해],/ ________________.

어법 설명

  • The 비교급 A, the 비교급 B
  • "A하면 할수록, B하다"의 상관구문으로, 원인과 결과를 나타냅니다. 빈칸에는 "숙달로 나아갈수록 발생하는 현상"에 대한 설명이 들어가야 합니다.
  • 빈칸의 추론
  • 아래 실험의 내용을 종합해서 빈칸에 들어갈 내용을 추론해야 합니다.

문장 5

Experiments show that skilled golfers and wine aficionados have a hard time describing their putting and tasting techniques — even asking them to explain their approaches is enough to interfere with their performance, so they often stay on autopilot.

주요 단어 정리

  • experiment: 실험 (동의어: test, trial / 반의어: none)
  • skilled: 숙련된 (동의어: experienced, adept / 반의어: unskilled, inexperienced)
  • aficionados: 애호가 (특히 특정 분야에 열정과 전문성을 가진 사람) (동의어: enthusiast, devotee / 반의어: none)
  • have a hard time ~ing: ~하는데 어려움을 겪다 (동의어: struggle with, find it difficult to / 반의어: find it easy to)
  • describe: 설명하다, 묘사하다 (동의어: explain, illustrate / 반의어: conceal, confuse)
  • technique: 기술, 기법 (동의어: method, approach / 반의어: none)
  • interfere: 방해하다 (동의어: obstruct, hinder / 반의어: assist, facilitate)
  • autopilot: 자동조종(무의식적으로 수행하는 상태) (동의어: automatic mode, unthinking state / 반의어: conscious control)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xperiments show/
  • 실험들은 보여줍니다/
  • [that <skilled golfers and wine aficionados>/ have/ a hard time/ [describing/ <their putting and tasting techniques>]]/
  • [<숙련된 골퍼들과 와인 애호가들이>/ 가진다는(겪는다는) 것을/ 어려운 시간을(어려움을)/ [설명하면서(설명하는데)/ <그들의 퍼팅 및 맛보기 기술을>]]/
  • —/ [even asking/ them/ <to explain/ their approaches>]/ is enough/ <to interfere/ with their performance>,/
  • —/ [심지어 요청하는 것조차도/ 그들에게/ [설명하도록/ <그들의 접근법들을>]/ 충분하다는 것을/ <방해하기에/ 그들의 수행을>,/
  • so/ [(thatthey often stay/ on autopilot].
  • 그래서/ 그들은 종종 유지한다는 것을/ 자동조종 상태를.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과 that 절의 병렬 구조
  • "show/ [that~]~so[that~]"에서 "that"은 동사, "show"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아울러, 두 개의 "that 절"명이 so로 병렬 연결된 구조입니다. 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분사구문
  • [describing/~]”은 [while they describe/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skilled golfers and wine aficionados)가 생략되고 동사 describedescrib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5형식 문형 "asking + 목적어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asking/ them/ <to explain/ their approaches>"에서 사용된 어법. 동사 “ask”는 to 부정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to 부정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할 정도로 / ~할 만큼”
  • <to interferewith their performance>에서 사용된 용법.

문장 6

When I first saw an elite diver do four and a half somersaults, I asked how he managed to spin so fast.

주요 단어 정리

  • elite: 엘리트, 뛰어난 (동의어: exceptional, top-tier / 반의어: ordinary, mediocre)
  • diver: 다이빙 선수 (동의어: swimmer, jumper / 반의어: none)
  • somersault: 공중제비 (동의어: flip, roll / 반의어: none)
  • manage to 부정사: 간신히 ~하다 (동의어: succeed in, accomplish / 반의어: fail to)
  • spin: 회전하다 (동의어: rotate, twirl / 반의어: still, stop)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en I first saw/ an elite diver/ <do/ four and a half somersaults>],/
  • [내가 처음 보았을 때/ [엘리트 다이빙 선수를(선수가)/ <하는(하는 것을)/ 네 바퀴 반의 공중제비를>],/
  • I asked/ [how he managed to spin/ so fast].
  • 나는 물었다/ [어떻게 그가 간신히 회전 했는지를/ 그렇게 빠르게].

어법 설명

  • 시간의 부사절 “when + 주어 + 동사”
  • “~할 때”의 의미를 전달.
  • 5형식 문형 "지각동사(saw) + 목적어 + 목적격 보어(동사원형/~ing)"
  • 지각동사 “see / watch / hear / listen to / feel”은 “동사원형이나 동사+ing(현재분사)”를 "saw/ an elite diver/ <do/ four and a half somersaults>"에서 사용된 어법. 목적격 보어로 취합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동사원형이나 현재분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간접의문문 “의문사(how) + 주어(he) + 동사구(managed to spin)”
  • "[how he managed to spin/ so fast]"에서 사용된 어법.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문장 7

His answer: “Just go up in a ball.”

주요 단어 정리

  • answer: 대답, 응답 (동의어: reply, response / 반의어: question)
  • go up: 올라가다 (동의어: rise, ascend / 반의어: go down, descend)
  • in a ball: 몸을 공처럼 말아서 (동의어: curled up, rounded / 반의어: stretched ou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is answer:/ “Just/ go up/ in a ball.”
  • 그의 대답은:/ “그냥/ 올라가세요/ 공(모양)으로(몸을 공처럼 말아서).”

어법 설명

  • 직접 인용부호 “ ”의 연결
  • 이 문장은 직접 인용(direct quotation) 구조로, 콜론(:) 뒤에 말한 내용을 그대로 따옴표 안에 전달합니다.

문장 8

Experts often have an intuitive understanding of a route, but they struggle to clearly express all the steps to take.

주요 단어 정리

  • intuitive: 직관적인 (동의어: instinctive, perceptive / 반의어: analytical, calculated)
  • understanding: 이해, 통찰 (동의어: comprehension, grasp / 반의어: ignorance, confusion)
  • struggle: 애쓰다, 고군분투하다 (동의어: strive, toil / 반의어: succeed effortlessly)
  • express: 표현하다 (동의어: convey, articulate / 반의어: suppress, hide)
  • step: 단계 (동의어: stage, phase / 반의어: non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Experts often have/ <an intuitive understanding/ of a route>,/
  • 전문가들은 종종 가지고 있습니다/ <직관적인 이해를/ 경로에 대한>,/
  • but/
  • 그러나/
  • they struggle/ [to clearly express/ <all the steps/ to take>].
  • [명확히 표현하기 위해/ <모든 단계를/ 취해야(택해야) 할>].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clearly express/ <all the steps/ to take>]”에서 사용된 용법.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목적] “~할 / ~하는/ ~하기 위한”
  • <all the steps/ to take>”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명사를 수식.

문장 9

Their brain dump is partially filled with garbage.

주요 단어 정리

  • brain dump: 머릿속에 있는 지식을 정리 없이 쏟아낸 상태 (동의어: unorganized knowledge, data spill / 반의어: structured knowledge)
  • partially: 부분적으로 (동의어: in part, incompletely / 반의어: completely, wholly)
  • garbage: 쓰레기, 불필요한 정보 (동의어: rubbish, trash / 반의어: valuable informatio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ir brain dump is partially filled/ with garbage.
  • 그들의 머릿속에서 쏟아낸 정보는 부분적으로 채워져 있다/ 쓸모없는 정보로.

어법 설명

  • 수동태[be + pp + by[with/of]~] “be filled with~”
  • "~로 채워져 있다"로 수동태.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근거 문장 제시

  • Experiments show that skilled golfers and wine aficionados have a hard time describing their putting and tasting techniques — even asking them to explain their approaches is enough to interfere with their performance, so they often stay on autopilot.
  • → 위 문장 외에도 숙련된 개인들이 암묵적 지식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 사례 전반을 참고하여 추론해야 합니다.
  • Their brain dump is partially filled with garbage.
  • → 문맥상 전문가가 숙달로 나아갈수록 기본 원리에 대한 "의식적 인식"이 줄어들고, 암묵적 지식으로 전환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⑤ the less conscious awareness you often have of the fundamentals (기본에 대해 당신이 종종 가지고 있는 의식적 인식이 줄어든다)가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결론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은 전문가의 지식과 기술이 기본 개념을 가르치거나 설명하기 어려운 이유를 설명합니다. 전문가의 지식은 대부분 암묵적(implicit knowledge)이며, 이로 인해 기본 원리에 대한 의식적 인식(conscious awareness)이 줄어듭니다. 전문가들은 직관적 이해(intuitive understanding)에 의존하며, 기술을 수행할 때 자동조종 상태(autopilot)로 작업을 이어가지만, 이를 명확히 설명하거나 가르치는 데에는 어려움을 겪습니다. 결론적으로, 전문가일수록 기본 원리에 대한 의식적 이해가 감소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는 숙련도가 높아질수록 학습자에게 효과적으로 지식을 전달하기 어려워진다는 현상을 설명합니다.부디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해설 내용이 전체적인 글을 이해하시는데 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