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5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5번 지문은 음식물의 최소 가공(minimal processing)이 원래의 풍미와 영양소를 보존하는 데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설명합니다. 이를 통해 특정 가공 방식이 영양소를 파괴하거나 보존하는 방식의 차이를 강조하며, 지속 가능한 식단(sustainable diet)을 위해 가공 방식에 대한 재평가를 촉구합니다. 문제는 전체 흐름과 관계없는 문장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비교적 상세한 어법 해설 내용이 전체적인 글을 이해하시는데 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문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5. 다음 글에서 전체 흐름과 관계 없는 문장은?
Minimal processing can be one of the best ways to keep original flavors and taste, without any need to add artificial flavoring or additives, or too much salt. This would also be the efficient way to keep most nutrients, especially the most sensitive ones such as many vitamins and antioxidants. ① Milling of cereals is one of the most harsh processes which dramatically affect nutrient content. ② While grains are naturally very rich in micronutrients, antioxidants and fiber (i.e. in wholemeal flour or flakes), milling usually removes the vast majority of minerals, vitamins and fibers to raise white flour. ③ To increase grain production, the use of chemical fertilizers should be minimized, and insectresistant grain varieties should be developed. ④ Such a spoilage of key nutrients and fiber is no longer acceptable in the context of a sustainable diet aiming at an optimal nutrient density and health protection. ⑤ In contrast, fermentation of various foodstuffs or germination of grains are traditional, locally accessible, lowenergy and highly nutritious processes of sounded interest.
* fermentation: 발효 ** germination: 발아
문장별 분석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5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Minimal processing can be one of the best ways to keep original flavors and taste, without any need to add artificial flavoring or additives, or too much salt.
주요 단어 정리
- minimal processing: 최소 가공 (동의어: light processing, basic preparation / 반의어: intensive processing)
- one of the 최상급+복수명사: 가장 ~한 복수명사 중 하나
- original flavors: 원래의 풍미 (동의어: natural tastes / 반의어: artificial flavors)
- additives: 첨가물 (동의어: preservatives, chemicals / 반의어: natural ingredients)
- salt: 소금 (동의어: sodium chloride / 반의어: non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inimal processing can be/ [one/ [of the best ways/ [to keep/ <original flavors and taste>]]],/
- 최소 가공은 될 수 있습니다 [하나가/ [가장 좋은 방법들 중/ [유지하기 위한/ <원래의 풍미와 맛을>]]],/
- [without any need/ [to add/ [artificial <flavoring or additives>],/ or/ [too much salt]]].
- [어떠한 필요도 없이/ [추가할/ [인공 <감미료나 조미료를>],/ 혹은/ [너무 많은 양의 소금을]]].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목적] “~할 / ~하는/ ~하기 위한”
- “the best ways/ [to keep/ <original flavors and taste>]“와 ”any need/ [to add/ [artificial <flavoring or additives>],/ or/ [too much salt]]“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있는 명사, ”the best ways“, 및 ”any need“를 수식.
- "Artificial Flavoring and Additives" 표현 개선 필요
- [artificial <flavoring or additives>]는 "인공 감미료 또는 첨가물"을 의미하나, 수식 관계와 flavoring의 다양성을 고려하면 [artificial <flavorings and additives>]로 수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문장 2
This would also be the efficient way to keep most nutrients, especially the most sensitive ones such as many vitamins and antioxidants.
주요 단어 정리
- efficient: 효율적인 (동의어: effective, productive / 반의어: inefficient, wasteful)
- nutrients: 영양소 (동의어: nourishment, sustenance / 반의어: toxins)
- sensitive: 민감한 (동의어: delicate, fragile / 반의어: robust, resilient)
- anti-oxidants: 항산화제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would also be/ [the efficient way/ [to keep/ [most nutrients,/ [especially/ the most sensitive ones/ <such as many vitamins and anti-oxidants>]]]].
- 이것은 또한 될 것입니다/ [효율적인 방법이/ [유지하기 위한/ [대부분의 영양소들을>,/ [특히/ 가장 민감한 것들을/ <많은 비타민과 항산화제 같은>]]]].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목적] “~할 / ~하는/ ~하기 위한”
- “[the efficient way/ [to keep/~]]“에서 사용된 용법. 앞에 있는 명사, ”the efficient way“를 수식.
문장 3
Milling of cereals is one of the most harsh processes which dramatically affect nutrient content.
주요 단어 정리
- milling: 제분, 가공 (동의어: grinding, processing / 반의어: none)
- cereals: 곡물 (동의어: grains, crops / 반의어: none)
- harsh: 가혹한, 거친 (동의어: severe, rough / 반의어: mild, gentle)
- dramatically: 극적으로 (동의어: significantly, substantially / 반의어: slightly, marginally)
- nutrient content: 양분[영양소] 함량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Milling/ of cereals>/ is [one/ [of the most harsh(→harshest) processes/ which dramatically affect/ nutrient content]].
- <제분은/ 곡물의>/ [하나입니다/ [가장 가혹한 공정들 중/ 극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영양소 함량에]].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which”
- “the most harsh(→harshest) processes/ which dramatically affect/ nutrient content"에서 “which는 선행사, “the most harsh processes”를 수식하여, “양분[영양소] 함량에 극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가혹한 공정들”의 의미를 전달.
- harsh의 최상급은 harshest
- 따라서, ”the most harsh“는 ”harshest“로 변경되어야 합니다.
- 선행사와 관계절 내의 동사의 수의 일치
- 선행사는 “the most harsh processes”로 복수, 따라서 관계절 내의 동사도 “affect”로 복수.
문장 4
While grains are naturally very rich in micronutrients, antioxidants and fiber (i.e., in wholemeal flour or flakes), milling usually removes the vast majority of minerals, vitamins and fibers to raise white flour.
주요 단어 정리
- vast majority: 대부분, 최대
- micronutrients: 미량 영양소 (동의어: trace elements / 반의어: macronutrients)
- fiber: 섬유질 (동의어: dietary fiber, roughage / 반의어: none)
- wholemeal: 통밀 (동의어: whole grain / 반의어: refined grain)
- remove: 제거하다 (동의어: eliminate, strip away / 반의어: add, include)
- raise: (어렵게) 얻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ile grains are naturally very rich/ <in micronutrients, anti-oxidants and fiber>],/
- [곡물이 자연적으로 매우 풍부하지만/ <미량 영양소, 항산화제 및 섬유질에서>],/
- milling usually removes/ [the vast majority/ <of minerals, vitamins and fibers>]/
- 제분은 보통 제거합니다/ [거의 대부분을/ <미네랄, 비타민 및 섬유질의>],/
- <to raise/ white flour>.
- <얻기 위해/ 흰 밀가루를>.
어법 설명
- 양보의 부사절 “while + 주어 + 동사”
- “~이긴 하지만 / ~인 반면에”의 의미를 전달.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raise/ white flour>”에서 사용된 용법.
문장 5
To increase grain production, the use of chemical fertilizers should be minimized, and insectresistant grain varieties should be developed.
주요 단어 정리
- increase: 늘리다, 증가시키다
- grain production: 곡물 생산
- chemical fertilizers: 화학 비료
- minimize: 최소화하다 (동의어: reduce, lessen / 반의어: maximize, increase)
- insect-resistant: 해충 저항성이 있는
- grain variety: 곡물 품종
- develop: 개발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o increase/ grain production>,/
- <증가시키기 위해/ 곡물 생산을],/
- <the use/ of chemical fertilizers>/ should be minimized,/
- <사용이/ 화학 비료들의>/ 최소화되어야 하며,/
- and/
- 그리고/
- insect-resistant grain varieties/ should be developed.
- 해충 저항성 곡물 품종이/ 개발되어야 합니다.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increase/ grain production>”에서 사용된 용법.
- 수동태[조동사 + be + pp] “should be minimized” & “should be developed”
- "최소화되어야 한다" & “개발되어야 한다”로 수동태.
- 문맥과의 관련성 판단
- 이 문장은 곡물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을 제시하며, 제분이나 발효 등 가공 방법과 관련된 논의에서 벗어나 있습니다.
문장 6
Such a spoilage of key nutrients and fiber is no longer acceptable in the context of a sustainable diet aiming at an optimal nutrient density and health protection.
주요 단어 정리
- spoilage: 손실, 손상 (동의어: loss, destruction / 반의어: preservation)
- sustainable diet: 지속 가능한 식단
- aim at~: ~을 목표로 하다
- optimal: 최적의 (동의어: ideal, best / 반의어: suboptimal, worst)
- density: 밀도
- health protection: 건강 보호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uch a spoilage(→Such spoilage)/ <of key nutrients and fiber>]/ is no longer acceptable/
- [그러한 손실은/ <주요 영양소와 섬유질의>]/ 더 이상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 [in the context/ [of a sustainable diet/ (which or that is) aiming/ <at an optimal nutrient density and health protection>]].
- [그 맥락에서/ [지속 가능한 식단이라는/ 목표로 하고 있는/ <최적의 영양 밀도와 건강 보호를>]].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문장의 주어는 “Such a spoilage(그러한 손실)”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is(단수)”. 다만, “spoilage”는 “불가산명사(uncountable noun)”로 “Such spoilage”로 변경 필요.
- “~하고 있는”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현재분사]”
- "a sustainable diet/ (which or that is) aiming/ <at an optimal nutrient density and health protection>“에서 사용된 용법. 선행사, ”a sustainable diet“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가 생략된 형태와 동일. 다만, "a sustainable diet which aims at"으로 풀어 써야 더 명확한 문장 구조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문장 7
In contrast, fermentation of various foodstuffs or germination of grains are traditional, locally accessible, lowenergy and highly nutritious processes of sounded interest.
주요 단어 정리
- in contrast: 그에 반해서
- fermentation: 발효 (동의어: fermentation process, brewing / 반의어: none)
- various: 다양한
- foodstuff: 식료품
- germination: 발아
- accessible: 접근 가능한 (동의어: available, reachable / 반의어: inaccessible, unattainable)
- low-energy: 저에너지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n contrast,/
- 그에 반하여,/
- [<fermentation/ of various foodstuffs>/ or/ <germination/ of grains>]/
- [<발효나/ 다양한 식료품들의>/ 또는 <발아는/ 곡물의>]/
- are(→is) [[<(+a) traditional,/ locally accessible,/ low-energy/ and/ highly nutritious> processes(→process)]/ of sounded(→sound) interest].
- [[<전통적이며,/ 지역적으로 접근 가능하고,/ 저에너지이며,/ 그리고/ 매우 영양가 높은> 과정이다]/ 견실한(흔들리지 않는) 관심의].
어법 설명
- 접속부사구 "in contrast"
- 문장 내에서 "그에 반하여/그와는 대조적으로"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주어와 동사 및 보어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A(Fermentation) or B(germination)“의 형태로 동사에 가까운 B(gemination)에 수의 일치를 해야 함. 따라서, "are"는 "is"로 수정되어야 하며, 복수 보어 대신 단수 보어 "process"로 일치시켜야 합니다. 따라서, “traditional, ~ processes”가 아닌 “a traditional, ~ process”가 적절합니다.
- 문맥에 맞지 않는 어휘의 사용
- 문맥상 "sounded interest"는 "sound interest"로 수정되어야 합니다. "sound"는 "견실한, 타당한"의 의미를 가지며, 동사 sound의 과거형 "sounded"는 부적절합니다.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관련성 여부 확인
- To increase grain production, the use of chemical fertilizers should be minimized, and insectresistant grain varieties should be developed.
- → 문장 5는 곡물 생산성과 관련된 내용으로, 가공 방식이나 지속 가능한 식단과의 연관성이 부족하므로 전체 흐름과 관계가 없는 문장입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정답은 ③번입니다.
결론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5번 지문은 최소 가공이 영양소를 보존하고 지속 가능한 식단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내용을 중심으로, 제분 과정과 발효 과정의 차이를 설명합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해설 내용이 전체적인 글을 이해하시는데 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1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