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컴퓨터 알고리즘 vs. 꿀벌의 행동 비교"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은 컴퓨터 알고리즘과 꿀벌의 와글 댄스를 비교하며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의 차이를 설명합니다. 컴퓨터는 데이터를 기계적으로 처리하지만, 꿀벌은 주변 환경과 내부 상태를 고려하여 정보를 평가합니다.
이 글에서는 지문 속 논리적 흐름을 분석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주요 어법 포인트를 정리합니다. 특히, 비교와 대조를 활용한 독해 전략을 통해 수능과 모의고사 독해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비교적 상세한 어법 해설 내용이 전체적인 글을 이해하시는데 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일부 영문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6~37] 주어진 글 다음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7.
A computational algorithm that takes input data and generates some output from it doesn’t really embody any notion of meaning. Certainly, such a computation does not generally have as its purpose its own survival and wellbeing.
(A) Some bees might not bother to make the journey, considering it not worthwhile. The input, such as it is, is processed in the light of the organism’s own internal states and history; there is nothing prescriptive about its effects.
(B) It does not, in general, assign value to the inputs. Compare, for example, a computer algorithm with the waggle dance of the honeybee, by which means a foraging bee conveys to others in the hive information about the source of food (such as nectar) it has located.
(C) The “dance” ― a series of stylized movements on the comb ― shows the bees how far away the food is and in which direction. But this input does not simply program other bees to go out and look for it. Rather, they evaluate this information, comparing it with their own knowledge of the surroundings. [3점]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
문장별 분석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제시된 문장
A computational algorithm that takes input data and generates some output from it doesn’t really embody any notion of meaning. Certainly, such a computation does not generally have as its purpose its own survival and well-being.
주요 단어 정리
- computational: 계산적인 (동의어: algorithmic / 반의어: intuitive)
- algorithm: 알고리즘 (동의어: procedure, formula)
- input: 입력, 자극 (동의어: data, stimulus)
- generate: 생성하다
- output: 결과(물)
- embody: 포함하다, 구현하다 (동의어: include, incorporate / 반의어: exclude)
- notion: 개념, 관념 (동의어: concept, idea)
- meaning: 의미
- computation: 계산 (동의어: calculation, processing)
- purpose: 목적 (동의어: aim, objective)
- survival: 생존 (동의어: existence / 반의어: extinction)
- well-being: 행복, 안녕 (동의어: welfare, health / 반의어: distress)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 computational algorithm/ that [<takes/ input data>/ and/ <generates/ some output/ from it>]]/ doesn’t really embody/ <any notion/ of meaning>.
- [계산 알고리즘은/ [<취해서(받고)/ 입력 데이터를>/ 그리고/ <생성하는/ 어떤 결과를/ 그것(입력 정보)으로부터>]]/ 포함하지 않습니다/ <어떠한 개념도/ 의미라는>.
- Certainly,/ such a computation does not generally have/ as its purpose/ <its own survival and well-being>.
- 확실히,/ 그러한 계산은 보통 가지지 않습니다/ 목적으로/ <그 자체의 생존과 안녕을>.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A computational algorithm/ that [<takes/ input data>/ and/ <generates/ some output/ from it>]]”에서 “that”은 선행사, “A computational algorithm”을 수식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취해서 그것으로부터 어떤 결과를 생성하는 계산 알고리즘”의 의미를 전달.
- 병치 구문 – and로 관계절 내의 2개의 동사구 병치
- <takes/ input data>와 <generates/ some output/ from it>이 and로 연결된 병치 구문입니다. 병치 구문의 경우 뒤쪽의 동사 형태를 변경하여 어법 문제로 자주 출제됩니다.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문장의 주어는 “A computational algorithm(계산 알고리즘; 단수)”, 따라서, 동사구도 “doesn’t really embody(단수)”.
- 타동사와 목적어의 의도적 분리
- 영어에서는 타동사와 목적어를 분리하지 않는 것이 원칙. 그러나 의도적으로 “as it purpose”로 분리. “does not generally have/ <its own survival and well-being>/ as its purpose”가 올바른 표현.
- 모호하고 추상적인 표현
- 문맥으로 볼 때, 주어진 문장은 이 글의 결론으로, 이하 문장이 이 주장을 뒷받침하는 구조입니다. 그리고, 아래 지문의 내용을 요약하면, “입력된 정보의 의미를 평가하는 꿀벌과 달리, 계산 알고리즘은 입력된 정보에 어떠한 의미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이 글의 결론에 해당하는 주어진 첫 문장은 “[A computational algorithm/ that [<takes/ input data>/ and/ <generates/ some output/ from it>]]/ doesn’t really embody(→give; 부여하지 않는다)/ <any notion/ of meaning>.”로, 두 번째 문장은 “Certainly,/ such a computation does not generally have/ (any direct relation(어떠한 직접적인 관련도))/ <to its own survival and well-being(그것 자체의 생존과 안녕에)>/ as its purpose(→in itself(그 자체로)).”로 표현되어야 모호성이 사라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식의 표현이 글을 이해하기 어렵게 만드는 큰 원인 중 하나입니다.
단락 A
Some bees might not bother to make the journey, considering it not worthwhile. The input, such as it is, is processed in the light of the organism’s own internal states and history; there is nothing prescriptive about its effects.
주요 단어 정리
- bother to 부정사: 굳이 ~하려 하다, ~하려고 애쓰다
- make a journey: 여행을[여정을] 시작하다[내딛다]
- input: 입력, 자극 (동의어: data, stimulus)
- such as it is: 대단한[변변한] 것은 못되지만
- process: 처리하다 (동의어: handle, manage)
- in the light of~: ~의 관점에서 (동의어: considering, taking into account)
- internal state: 내부 상태
- prescriptive: 규정적인, 지시적인 (동의어: directive, mandatory / 반의어: descriptive)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ome bees might not bother/ <to make/ the journey>,/
- 일부 벌들은 굳이 시작하려(내딛으려) 하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여행(여정)을>,/
- [considering/ it/ not worthwhile].
- [여기면서/ 그것을/ 가치가 없다고].
- The input,/ such as it is,/ is processed/ [in the light of/ <the organism’s own internal states and history>]/
- 그 입력은,/ 대단한 것은 아니지만,/ 처리됩니다/ [관점에서/ <생명체 자체의 내부 상태와 과거 경험의>]/
- ;/ there is nothing prescriptive/ about its effects.
- 즉/ 규정적인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그것의(입력의) 효과에 대한.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 “~하는 것 / ~하기 / ~할 것”
- “<to make/ the journey>”에서 사용된 용법.
- 분사구문
- “[considering/ it/ not worthwhile]”은 [while they consider/ ~]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some bees)가 생략되고 동사 consider가 consider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수동태[be + pp] “is processed”
- "처리되다"로 수동태.
- * semi-colon
- 세미콜론으로 연결된 두 문장이 병렬로 사용되어 입력 처리 방식과 그 효과의 비처방적 특성을 대조적으로 설명합니다.
단락 B
It does not, in general, assign value to the inputs. Compare, for example, a computer algorithm with the waggle dance of the honeybee, by which means a foraging bee conveys to others in the hive information about the source of food (such as nectar) it has located.
주요 단어 정리
- assign: 할당하다, 부여하다 (동의어: allocate, designate / 반의어: remove)
- value: 가치 (동의어: worth, importance)
- compare: 비교하다 (동의어: contrast, evaluate)
- compare A with B: A를 B와 비교하다
- waggle dance: 와글 댄스 (꿀벌의 소통 행동)
- foraging: 먹이를 찾는 (동의어: hunting, searching)
- convey: 전달하다 (동의어: communicate, transfer)
- hive: 벌집 (동의어: colony, nest)
- source: 원천, 출처 (동의어: origin, supply)
- nectar: 꿀 (동의어: honey, sweetness)
- locate: ~을 찾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It does not,/ in general,/ assign/ value/ to the inputs.
- 그것은 부여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가치를/ 입력값에.
- Compare,/ for example,/ a computer algorithm/ [<with the waggle dance/ of the honeybee>/, by which/ means/ a foraging bee conveys/ <to others/ in the hive>/ [information/ [about the source/ [of <food/ (such as nectar)>/ (which or that) it has located]]]].
- 비교하세요,/ 예를 들어,/ 컴퓨터 알고리즘을/ [<와글 댄스와/ 꿀벌의>/, 그것에(꿀벌의 와글 댄스) 의해/ 먹이를 찾는 벌이 전달하는/ <다른 벌들에게/ 벌집 안의>/ [정보를/ [출처에 대한/ [<음식의/ (꿀과 같은)>/ 그것이(꿀벌이) 찾은]]]].
어법 설명
- 삽입구 “in general”
- 문장 내에서 부사(구)의 위치는 비교적 자유로우며, “does not”과 “assign” 사이에 삽입된 구조.
- 명령문[동사원형+~] “~하세요 / ~해라”
- “Compare,~”에서 사용된 어법. 최근 명령문의 동사원형을 다른 형태로 바꾸어 어법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접속부사구 "for example"
- 문장 내에서 "예를 들어"의 의미로 사용되며, 한 지문에 3개 이상의 접속부사가 사용되는 경우, 내신에서 빈칸 추론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어법적 오류: 전치사 + 목적격 관계대명사 [= 관계부사] + 완전한 문장
- "the waggle dance/ of the honeybee>/, by which/ means/ a foraging bee conveys~"에서 “by which”는 선행사, “<the waggle dance/ of the honeybee>”를 수식하는 성분으로 “부사구 성격의 연결어”이기 때문에 동사인 “means”의 사용은 어법적으로 불가능합니다. “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관계부사)”+“완전한 문장”의 관계에서 보더라도 뒤에, “a foraging bee conveys/ <to others/ in the hive>/ [information/ [about the source/ [of <food/ (such as nectar)>/ (which or that) it has located]]]]”의 목적어까지 갖춘 완전한 문장. 따라서 동사 “means”는 어법적 오류입니다. 아니면, by를 제거하면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으로 같은 의미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의 생략
- “<food/ (such as nectar)>/ (which or that) it has located”에서 “선행사, “<food/ (such as nectar)>”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 or that”이 생략된 구조. “그것이(꿀벌이) 찾은 (꿀과 같은) 음식”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 현재완료 시제 “has located”
- (과거와 현재 사이에) “찾은”의 완료적 의미 전달.
단락 C
The “dance” ― a series of stylized movements on the comb ― shows the bees how far away the food is and in which direction. But this input does not simply program other bees to go out and look for it. Rather, they evaluate this information, comparing it with their own knowledge of the surroundings.
주요 단어 정리
- a series of~: 일련의~
- stylized: 양식화된 (동의어: formalized, conventional)
- comb: 벌집의 한 칸 (동의어: honeycomb)
- direction: 방향 (동의어: course, orientation)
- program: 프로그램화하다, 지시하다 (동의어: instruct, command)
- simply: 단순히 (동의어: merely, only)
- evaluate: 평가하다 (동의어: assess, judge)
- surroundings: 주변 환경 (동의어: environment, vicinity)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dance”/ ― <a series of stylized movements/ on the comb>]/ ― shows/ the bees/ [how far away/ the food is]/ and/ [in which direction/ (the food is)].
- [그 "댄스"는/ ― <일련의 양식화된 움직임인/ 벌집 위에서의>]/ ― 보여줍니다/ 벌들에게/ [얼마나 멀리/ 먹이가 있는지를]/ 그리고/ [어느 방향에/ (먹이가 있는지를)].
- But/ this input does not simply program/ other bees/ <to go out/ and/ (to) look for it>.
- 하지만 /이 입력은 단순히 지시하지 않습니다/ 다른 벌들에게/ <나가도록/ 그리고/ 그것을 찾도록>.
- Rather,/ they evaluate/ this information,/ [comparing/ it/ <with their own knowledge/ of the surroundings>].
- → 오히려,/ 그것들은(다른 벌들은) 평가합니다/이 정보를,/ [비교하면서/ 그것을(이 정보를)/ <그들 자신의 지식과/ 주변 환경에 대한>].
어법 설명
- 동격의 명사구 구조
- “The “dance”“와 “<a series of stylized movements/ on the comb>는 동격 관계입니다.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주어는 ”The “dance”“로 단수, 따라서 동사도 단수 동사, ”shows“.
- 간접의문문 “의문사 + 주어 + 동사구”의 병치 구문
- 의문문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취하는 어순. “[how far away/ the food is]”와 “[in which direction/ (the food is)]”이 and로 병렬 연결된 병치 구문.
- 5형식 문형 "program + 목적어(other bees)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동사 “program”는 to 부정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to 부정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분사구문
- “[comparing/ it/ <with their own knowledge/ of the surroundings>]”은 [while they compare~]의 종속절에서 접속사 while, 주어 they(=other bees)가 생략되고 동사 compare가 comparing으로 변경된 분사구문입니다.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순서 분석
- 1. 첫 문장 판단:
- → B는 컴퓨터 알고리즘과 꿀벌의 와글 댄스를 비교하며, 주제를 설정합니다.
- 2. B와 C 연결:
- → C는 B에서 언급된 와글 댄스의 작동 원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 3. C와 A 연결:
- → A는 C에서 제시된 정보 평가 과정을 확장하며, 일부 벌들의 반응을 다룹니다.
정답 제시
- 결론적으로, 정답은 ③ (B) - (C) - (A)입니다.
결론
"생물학적 행동의 유연성과 논리적 독해 능력 키우기"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은 생물학적 시스템과 기계적 알고리즘의 차이를 강조하며, 정보 평가와 처리의 유연성을 탐구합니다. 이번 분석을 통해 논리적 연결어 사용, 비교의 부사절, 그리고 문장 삽입 문제 해결 방법을 익히셨기를 바랍니다.
부디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비교적 상세한 어법 해설 내용이 전체적인 글을 이해하시는데 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영어 독해 문제를 해결할 때는 지문의 핵심 흐름을 파악하고, 비교와 대조를 효과적으로 이해하는 연습이 필수입니다. 더 많은 영어 독해 분석과 모의고사 문제풀이 비법은 다른 게시글에서 확인해보세요!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