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9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8번 문제: 바이러스 전염과 행동 전염의 차이 분석"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8번 지문은 바이러스 전염(viral contagion)과 행동 전염(behavioral contagion)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설명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지문의 흐름과 논리적 구조를 분석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봅니다. 특히, 제시된 문장을 적절한 위치에 삽입하는 문제는 학생들의 독해력과 논리적 사고력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영어 독해에서 중요한 "접속사 사용," "비교 구조," "접속부사,"와 같은 핵심 어법 포인트를 중심으로, 이 지문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모의고사 문제풀이와 지문 분석의 핵심을 놓치지 않고 확인하세요!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비교적 상세한 어법 해설 내용이 전체적인 글을 이해하시는데 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일부 영문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38~39]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을 고르시오.

39.

Real hibernation involves profound unconsciousness and a dramatic fall in body temperature ― often to around 32 degrees Fahrenheit. 

Sleep is clearly about more than just resting. One curious fact is that animals that are hibernating also have periods of sleep. It comes as a surprise to most of us, but hibernation and sleep are not the same thing at all, at least not from a neurological and metabolic perspective. ( ① ) Hibernating is more like being anesthetized: the subject is unconscious but not actually asleep. ( ② ) So a hibernating animal needs to get a few hours of conventional sleep each day within the larger unconsciousness. ( ③ ) A further surprise to most of us is that bears, the most famous of wintry sleepers, don’t actually hibernate. ( ④ ) By this definition, bears don’t hibernate, because their body temperature stays near normal and they are easily awakened. ( ⑤ ) Their winter sleeps are more accurately called a state of torpor. [3점]

* hibernation: 동면 ** anesthetize: 마취시키다 *** torpor: 휴면

문장별 분석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9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제시된 문장

Real hibernation involves profound unconsciousness and a dramatic fall in body temperature ― often to around 32 degrees Fahrenheit.

주요 단어 정리

  • real hibernation: 진정한 동면
  • involve: 포함하다, 수반하다 (동의어: include, encompass / 반의어: exclude)
  • profound: 심오한, 깊은 (동의어: deep, intense / 반의어: superficial)
  • unconsciousness: 무의식 상태 (동의어: insensibility, oblivion / 반의어: consciousness, awareness)
  • dramatic: 급격한 (동의어: significant, striking / 반의어: gradual)
  • fall in body temperature: 체온의 감소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Real hibernation involves/ [[profound unconsciousness]/ and/ [<a dramatic fall/ in body temperature>/ ―/ often/ to around 32 degrees Fahrenheit]].
  • 진정한 동면은 포함합니다/ [[깊은 무의식 상태를]/ 그리고/ [<급격한 감소를/ 체온의>/ 다시 말해/ 종종/ 약 섭씨 0도(화씨 32도)까지의]].

어법 설명

  • 병치 구문 – and로 2개의 명사구를 병치
  • [profound unconsciousness]와 [<a dramatic fall/ in body temperature>/ ―/ often/ to around 32 degrees Fahrenheit]가 and로 연결된 병치 구문입니다.

문장 1

Sleep is clearly about more than just resting.

주요 단어 정리

  • clearly: 분명히 (동의어: obviously, evidently / 반의어: ambiguously)
  • be about~: ~와 관련이 있다, ~에 대한 것이다
  • resting: 휴식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Sleep is clearly about more/ than just resting
  • 수면은 분명히 더 많은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단순한 휴식보다는.

어법 설명

  • more than~의 해석
  • 이 문장에서는 “~보다 많은 것”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이 이외에도 “~이상”, “~보더 많은”, “~보다 더 많이” 등의 의미로 more의 품사에 따라 여러 가지로 해석됩니다.

문장 2 

(①) One curious fact is that animals that are hibernating also have periods of sleep.

주요 단어 정리

  • curious: 이상한, 흥미로운 (동의어: strange, intriguing / 반의어: ordinary, usual)
  • hibernating: 동면 중인
  • periods of~: ~의 기간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One curious fact is [that [animals/ that are hibernating]/ also have/ <periods/ of sleep>].
  •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동물들도/ 동면 중인]/ 또한 가진다는 것입니다/ <기간을/ 수면의>].

어법 설명

  • 보어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One curious fact is [that~]"에서 "that"은 보어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 “[animalsthat are hibernating]”에서 “that”은 선행사, “animals”를 수식하여, “동면 중인 동물들”의 의미를 전달.
  • that 절의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that [animalsthat are hibernating]/ also have/ <periods/ of sleep>]”에서 주어는 “animals(복수)”, 따라서, 동사도 “have(복수)”.

문장 3

(②) Hibernating is more like being anesthetized: the subject is unconscious but not actually asleep.

주요 단어 정리

  • hibernate: 동면하다
  • be more like~: ~와 더 비슷하다
  • anesthetize: 마취시키다
  • unconscious: 무의식의
  • asleep: 잠든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ibernating is more like/ <being anesthetized>/
  • 동면은 더 비슷합니다/ <마취되는 것과>.
  • :/ the subject <is unconscious>/ but/ <(is) not actually asleep>.
  • 즉/ 대상은 <무의식 상태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잠들지는 않습니다>.

어법 설명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being anesthetized>“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그러면서, 수동태.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병치 구문 – but으로 2개의 동사구 병치
  • <is unconscious>와 <(is) not actually asleep>이 but으로 연결된 병치 구문입니다. 혹은 형용사(구)가 병치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문장 4

(③) A further surprise to most of us is that bears, the most famous of wintry sleepers, don’t actually hibernate.

주요 단어 정리

  • a further surprise: 한층더 놀라운 일[것]
  • wintry: 겨울의 (동의어: wintery / 반의어: summery)
  • hibernate: 동면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 further surprise/ <to most/ of us>]/ is [that [bears,/ <the most famous/ of wintry sleepers>],/ don’t actually hibernate]].
  • [한층더 놀라운 것은/ <대부분에게/ 우리(의)>]/ [[곰들이,/ <가장 유명한 것들인/ 동면을 하는 동물(들) 중>]/ 실제로 동면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문장의 주어는 “A further surprise(한층 더 놀라운 것)”, 따라서, 동사도 “is(단수)”.
  • 보어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A further surprise/ <to most/ of us>]is [that~]"에서 "that"은 보어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동격의 명사구 구조
  • [bears,/ <the most famous/ of wintry sleepers>],/ don’t actually hibernate]”에서 “bears”와 “<the most famous/ of wintry sleepers>”은 동격 관계를 이룹니다. cf. “the+형용사 =복수 보통명사“로 ”the famous“는 ”the famous animals“ 정도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that 절의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that [bears,/ <the most famous/ of wintry sleepers>],/ don’t actually hibernate]]”에서 주어는 “bears(복수)”, 따라서, 동사구도 “don’t actually hibernate(복수)”.

문장 5

(④) By this definition, bears don’t hibernate, because their body temperature stays near normal and they are easily awakened.

주요 단어 정리

  • definition: 정의
  • body temperature: 체온
  • stay: 머물다
  • awakened: 깨는
  • normal: 정상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y this definition,
  • 이 정의에 의하면,/
  • bears don’t hibernate,/
  • 곰들은 동면하지 않습니다,/
  • [because [their body temperature stays/ near normal]/ and/ [they are easily awakened]].
  • [왜냐하면 [그들의 체온은 머물기 때문입니다/ 정상 (체온) 근처에]/ 그리고/ [그것들이(곰들이) 쉽게 깨기 때문입니다]].

어법 설명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병치 구문 – but으로 2개의 문장[주어 + 동사]의 병치
  • [their body temperature staysnear normal]과 [they are easily awakened]가 and로 연결된 병치 구문입니다.

문장 6

(⑤) Their winter sleeps are more accurately called a state of torpor.

주요 단어 정리

  • winter sleep: 겨울잠
  • accurately: 정확하게
  • call: 부르다
  • state: 상태
  • torpor: 무기력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ir winter sleeps are more accurately called/ <a state/ of torpor>.
  • 그것들의(곰들의) 겨울잠은 더 정확하게 불립니다,/ <상태라고/ 무기력의>.

어법 설명

  • 수동태[be + pp] “are called”
  • "불린다"로 수동태.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Real hibernation involves profound unconsciousness and a dramatic fall in body temperature ― often to around 32 degrees Fahrenheit.

  • 제시된 문장의 역할을 단순히 "정의 도입"으로만 해석하는 오류의 가능성
  • → 제시된 문장은 동면의 일반적 정의를 제공하지만, 이 정의는 곰의 상태를 설명하는 데 구체적으로 활용됩니다.
  • → 따라서 단순히 처음 등장하는 개념(문장 ①)에 넣는 것은 논리적 흐름을 왜곡할 수 있습니다.
  • "By this definition" 같은 연결어의 참조 관계 간과 가능성
  • → 문장 ④의 "By this definition(이 정의에 따르면)"은 제시된 문장에서 설명된 내용을 직접 참조합니다.
  • → 이를 간과하면 제시된 문장의 위치를 잘못 판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이 실수를 방지하려면?
  • 1) 참조 관계를 추적하라
  • → 접속사나 대명사("this definition", "it" 등)는 항상 이전 문장을 참조합니다. 제시된 문장이 다른 문장과 어떤 관계를 형성하는지 확인하세요.
  • 2) 지문의 주요 논의 흐름을 따라라
  • → 이 지문에서는 동면의 정의를 먼저 설명한 후 곰의 상태를 분석하므로, 정의가 곰의 상태와 연결되어야 합니다.

  • 정답 제시

  • 결론적으로, 정답은 ④번에 위치해야 적절합니다.

결론

"동면과 수면의 차이를 구별하며 논리적 독해 능력을 키우자"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39번 지문은 동면과 수면의 차이를 설명하며, 특히 곰의 동면 상태와 진정한 동면의 생리학적 특성을 비교합니다. 제시된 문장은 진정한 동면의 정의를 제공하며, 이후 곰의 상태가 동면과 어떻게 다른지를 설명하는 근거로 작용합니다.

이 문제 유형의 학습를 통해 학생들은 단순한 읽기 능력을 넘어 과학적 사고와 논리적 연결성을 이해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 내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지문의 논리와 구조를 명확히 파악하는데, 도움을 드렸기를 기대합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