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목차

서론

"아이들의 질문 행동과 권위에 대한 도전: 학습 심리의 기초를 이해하다"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은 아이들이 권위에 질문을 던지는 과정이 왜 어려운지를 설명하며, 아이들의 질문 행동이 지닌 심리적 의미를 분석합니다.

특히, 아이들이 던지는 "왜?"라는 질문이 단순한 호기심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부모나 권위자가 이를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것이 아이들의 독립적 사고를 키우는 데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합니다.

이 글은 아이들의 질문이 단순히 반복적이고 짜증스러운 행동이 아니라, 세상을 이해하려는 합리적인 시도임을 드러내며, 학생들에게 빈칸 추론과 제목 선택 문제를 통해 논리적 사고력을 키울 기회를 제공합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비교적 상세한 어법 해설 내용이 전체적인 글을 이해하시는데 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필요 시 영어 표현과 구문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일부 영문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41~4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What makes questioning authority so hard? The (a) difficulties start in childhood, when parents — the first and most powerful authority figures — show children “the way things are.” This is a necessary element of learning language and socialization, and certainly most things learned in early childhood are (b) noncontroversial: the English alphabet starts with A and ends with Z, the numbers 1 through 10 come before the numbers 11 through 20, and so on. Children, however, will spontaneously question things that are quite obvious to adults and even to older kids. The word “why?” becomes a challenge, as in, “Why is the sky blue?” Answers such as “because it just is” or “because I say so” tell children that they must unquestioningly (c) accept what authorities say “just because,” and children who persist in their questioning are likely to find themselves dismissed or yelled at for “bothering” adults with “meaningless” or “unimportant” questions. But these questions are in fact perfectly (d) unreasonable. Why is the sky blue? Many adults do not themselves know the answer. And who says the sky’s color needs to be called “blue,” anyway? How do we know that what one person calls “blue” is the same color that another calls “blue”? The scientific answers come from physics, but those are not the answers that children are seeking. They are trying to understand the world, and no matter how (e) irritating the repeated questions may become to stressed and time­pressed parents, it is important to take them seriously to encourage kids to question authority to think for themselves. 

41.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Things Plain to You Aren’t to Children: Let Them Question

② Children’s Complaints: Should Parents Accept All of Them?

③ Want More Challenges? They’ll Make Your Energy Dry Up!

④ Authority Has Hidden Power to Nurture Children’s Morality

⑤ Answering Is More Crucial than Questioning for Quick Learning


42. 밑줄 친 (a)~(e) 중에서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a) ② (b) ③ © ④ (d) ⑤ (e)

문장별 분석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41번 & 42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What makes questioning authority so hard?

주요 단어 정리

  • question: 질문하다, 의문을 제기하다
  • authority: 권위, 권력 (동의어: power, influence / 반의어: submission)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at makes/ <questioning/ authority>/ so hard?
  • 무엇이 만드는가/ <의문을 제기하는 것을/ 권위에>/ 그렇게 어렵게?

어법 설명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questioning/ authority>“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5형식 기본 문형 "makes + 목적어(questioning authority) + 목적격 보어(형용사; so hard)"
  • 목적격 보어인 형용사가 부사처럼 해석되어 단골 출제되는 유형입니다.

문장 2

The (a) difficulties start in childhood, when parents — the first and most powerful authority figures — show children “the way things are.”

주요 단어 정리

  • difficulty: 어려움 (동의어: hardship, obstacle / 반의어: ease, simplicity)
  • in childhood: 어린 시절에
  • authority figures: 권위자 (동의어: influential figures, leaders)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a) difficulties start/
  • (a) 어려움은 시작됩니다/
  • [in childhood,/ when [parents/ — the first and most powerful authority figures—]/ show/ children/ [“the way/ (how) things are.”]]
  • [어린 시절에,/ [부모들이/ — 최초이자 가장 강력한 권위자들인 —]/ 보여주는 때인/ 아이들에게/ [“방식을/ (어떻게) 사물들이 존재하는지”의]].

어법 설명

  • 관계부사[=전치사 + 목적격 관계대명사] + 완전한 문장
  • "childhood,/ when [parents/ — the first and most powerful authority figures—]show/ children/ [“the way/ (how) things are.”]"에서 “when”과 “(how)”는 각각의 선행사, childhood”와 “the way”를 수식하는 “관계부사”로, ”최초이자 가장 강력한 권위자들인 부모들이 아이들에게 “사물이 존재하는 방식”을 가르쳐주는 어린 시절에”의 의미를 전달. [관계부사(=“전치사+목적격 관계대명사”)”+“완전한 문장”]의 관계도 기억하십시오. “the way how~“의 선행사인 ”the way“나 관계부사 ”how“ 둘 중 하나는 반드시 생략해야 함도 기억하십시오.
  • 관계절 내의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관계절 내의 주어는 “parents”로 복수이고, 동사도 “show”로 복수.
  • 어휘 사용의 적절성 판단 (a)
  • "difficulties"**는 "질문을 어렵게 만드는 요소"를 의미하며, 문맥상 적절합니다.

문장 3

This is a necessary element of learning language and socialization, and certainly most things learned in early childhood are (b) noncontroversial:

주요 단어 정리

  • necessary: 필요한 (동의어: essential, required / 반의어: unnecessary, optional)
  • element: 요소
  • of ~ing: ~하는 것의, ~하기 위한
  • learn: 학습하다
  • language: 언어
  • socialization: 사회화
  • noncontroversial: 논란의 여지가 없는 (동의어: agreeable, undisputed / 반의어: controversial, disputed)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is [a necessary element/ [of learning/ <language and socialization>]],/
  • 이것은/ [필요한 요소입니다/ [언어 학습의/ 그리고/ 사회화의]],/
  • and/ certainly/
  • 그리고/ 확실히/
  • <most things/ (which or that were) learned/ in early childhood>/ are (b) noncontroversial.
  • → <대부분의 것들은/ 학습된/ 어린 시절에>/ 논란의 여지가 없습니다:
어법 설명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of learning/ <language and socialization>]“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여기서는 ”of learning“의 의미를 ”배우기 위한“으로 의역할 수도 있습니다.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두 번째 주어는 ”most things”“로 복수, 따라서 동사도, 복수인, ”are“.
  • “~된/~되는/~되어진”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most things(which or that were) learnedin early childhood>“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된/~되는/~되어진“의 의미를 전달. 선행사, "most thing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인 "(which or that were)"가 생략된 구조와 동일.
  • 어휘 사용의 적절성 판단 (b)
  • "noncontroversial"은 “A부터 Z까지의 알파벳과 같은 논란의 여지가 없는 기본 지식”을 설명하며, 문맥상 적절합니다.

문장 4

Children, however, will spontaneously question things that are quite obvious to adults and even to older kids.

주요 단어 정리

  • spontaneously: 자발적으로 (동의어: naturally, voluntarily / 반의어: forcefully, involuntarily)
  • obvious: 명백한 (동의어: clear, apparent / 반의어: obscure, ambiguous)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Children,/ however,/ will spontaneously question/
  • 아이들은,/ 그러나,/ 자발적으로 질문합니다/
  • [things/ that are quite obvious/ [<to adults>/ and/ <even/ to older kids>]].
  • [사물들에 대해/ 꽤나 명백한/ [<어른들에게>/ 그리고/ <심지어/ 더 나이 든 아이들에게조차도>]].

어법 설명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things/ that are quite obvious/ [<to adults>/ and/ <even/ to older kids>]”에서 “that”은 선행사, “things”를 수식하여, “어른들과 심지어 더 나이 든 아이들에게조차도 꽤나 명백한 사물들(에 대해)”의 의미를 전달.

문장 5

Answers such as “because it just is” or “because I say so” tell children that they must unquestioningly (c) accept what authorities say “just because,” and children who persist in their questioning are likely to find themselves dismissed or yelled at for “bothering” adults with “meaningless” or “unimportant” questions.

주요 단어 정리

  • unquestioningly: 의심 없이 (동의어: blindly, obediently / 반의어: skeptically, doubtfully)
  • accept: 받아들이다 (동의어: agree, acknowledge / 반의어: reject, deny)
  • persist: 지속하다 (동의어: continue, persevere / 반의어: quit, stop)
  • persist in~: ~을 지속하다
  • be likely to 부정사: ~할 가능성이 높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nswers/ [such as because it just is”/ or/ “because I say so”]]/ tell/ children/
  • [답변들은/ [“왜냐하면 그게 그냥 그런 거야”/ 또는/ “왜냐하면 내가 그렇게 말했으니까”와 같은]]/ 말해줍니다/ 아이들에게/
  • [that they must unquestioningly (c) accept/ [what authorities say]/ “just because”],/
  • [그들이 의심 없이 (c)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을/ [권위자들이 말하는 것을]/ “그냥 ~ 때문에(그냥 그렇게)”라는 것을],/
  • and/
  • 그리고/
  • [children/ who persist/ in their questioning]/ are likely to find/ [themselves/ (who or that are) dismissed or yelled at]/
  • [아이들은/ 지속하는 그들이 질문하는 것을]]/ 발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스스로를/ 무시받거나 또는 고함 소리를 듣게 되는]/
  • [for “bothering/” adults/ <with “meaningless” or “unimportant” questions>].
  • [“귀찮게 했기” 때문에/ 어른들을/ <“의미 없거나” “중요하지 않은” 질문들로>].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첫 번째 주어는Answers(답변들; 복수)”, 따라서, 동사도 “tell(복수)”. 두 번째 주어는children(아이들; 복수)”, 따라서, 동사도are(복수)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tell/ children/ [that~]"에서 "that"은 동사, "tell"의 직접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하는 것”
  • [what authorities say]”에서 “사용된 문법으로, ”권위자들이 말하는 것“의 의미.
  • “~된/~되는/~되어진”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ed[과거분사]”
  • "[themselves(who or that are) dismissed or yelled at]“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된/~되는/~되어진“의 의미를 전달. ”무시받거나 고함 소리를 듣게 되는 스스로를“의 의미. 선행사인 "themselves"를 수식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 동사"인 "who or that are"가 생략된 구조와 동일.
  • 어휘 사용의 적절성 판단 (c)
  • "accept"는 아이들이 권위자들의 말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의미로 적절합니다.

문장 6

But these questions are in fact perfectly (d) unreasonable.

주요 단어 정리

  • unreasonable: 불합리한 (동의어: illogical, irrational / 반의어: reasonable, rational)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ut/ these questions are/ in fact/ perfectly (d) unreasonable.
  • 하지만/ 이러한 질문들은/ 사실상/ 완전히 (d) 불합리합니다.

어법 설명

  • 어휘 사용의 적절성 판단 (d)
  • "unreasonable"는 문맥상 부적절합니다. 아이들의 질문은 합리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reasonable(합리적인)”로 수정해야 합니다.

문장 7

Why is the sky blue? Many adults do not themselves know the answer.

주요 단어 정리

  • know the answer: 답을 알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hy/ is the sky blue?
  • 왜/ 하늘은 파란가요?
  • Many adults do not themselves know/ the answer.
  • 많은 수의 어른들 자신도 모릅니다/ 그 답을.

어법 설명

  • 어법적으로 특별히 주목할 사항은 없습니다.

문장 8

And who says the sky’s color needs to be called “blue,” anyway?

주요 단어 정리

  • need to 부정사: ~해야 한다, ~할 필요가 있다
  • call~: ~라고 부르다
  • anyway: 어쨌든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And/ who says/ [(that) the sky’s color needs to be called/ “blue,”/ anyway]?
  • 그리고/ 누가 말하나요/ [하늘의 색이/ 불려야 한다고/ “파랑”이라고/ 어쨌든]?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의 생략
  • "who says/ [(that)~]"에서 "that"은 동사, "say"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수동태[be + pp ] “be called”
  • "불리다"의 의미로 수동태.

문장 9

How do we know that what one person calls “blue” is the same color that another calls “blue”?

주요 단어 정리

  • know: 알다 (동의어: understand, comprehend / 반의어: ignore, misunderstand)
  • call~: ~라고 부르다 (동의어: name, refer to as)
  • same: 동일한 (동의어: identical, alike / 반의어: different, distinc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How/ do we know/
  • 어떻게/ 우리가 아나요/
  • [that [what one person calls/ “blue”]/ is/ [the same color/ that another (person) calls/ “blue”]]?
  • [[한 사람이 부르는 것이/ “파랑”이라고]/ [동일한 색인지를/ 다른 사람이 부르는/ “파랑”이라고]]?

어법 설명

  • 목적절[명사절]의 접속사 that
  • "know[that ~]"에서 "that"은 동사, "know"의 목적어인 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라는 것을/~라고“의 의미로 해석됩니다. 명사절의 접속사, ”if[whether]“, 또는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과의 차이를 묻는 문제로 종종 출제됩니다.
  •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what~” “~하는 것”
  • → “[what one person calls/ “blue”]”에서 “사용된 문법으로, ”한 사림이 “판란색”이라고 부르는 것“의 의미.
  • 목적절[명사절] 내의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 ”that 절의 주어는, ”what~(~하는 것): 단수“, 따라서, 동사도, ”is(단수)
  •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
  • [the same color/ that another (person) calls/ “blue”]에서 선행사, "that"은 “the same color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다른 사람이"파란색"이라고 부르는 동일한 색깔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문장 10

The scientific answers come from physics, but those are not the answers that children are seeking.

주요 단어 정리

  • scientific: 과학적인 (동의어: systematic, empirical / 반의어: unscientific, anecdotal)
  • come from~: ~에서 나오다
  • physics: 물리학
  • seek: 추구하다, 찾다 (동의어: search for, pursue / 반의어: ignore, overlook)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scientific answers come/ from physics,/
  • 과학적 답변들은 나옵니다/ 물리학에서,/
  • but/
  • 하지만/
  • those are not [the answers/ that children are seeking].
  • 그 답변들은 [그 답변들이 아닙니다/ 아이들이 찾고 있는].

어법 설명

  •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
  • “[the answers/ that children are seeking]”에서 “선행사, “the answers”를 수식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아이들이 찾고 있는 답변들”의 의미를 전달.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앞에 전치사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언제나 생략이 가능합니다.

문장 11

They are trying to understand the world, and no matter how (e) irritating the repeated questions may become to stressed and time-pressed parents, it is important to take them seriously to encourage kids to question authority to think for themselves.

주요 단어 정리

  • understand: 이해하다 (동의어: comprehend, grasp / 반의어: misunderstand, confuse)
  • irritating: 짜증나게 하는 (동의어: annoying, vexing / 반의어: soothing, calming)
  • stressed: 스트레스를 받은 (동의어: anxious, pressured / 반의어: relaxed, calm)
  • time-pressed: 시간이 부족한
  • encourage: 격려하다 (동의어: motivate, inspire / 반의어: discourage, deter)
  • think for oneself: 스스로 생각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y are trying/ <to understand/ the world>,/
  • 그들은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해하기 위해서/ 세상을>,/
  • and/
  • 그리고/
  • [no matter how (e) irritating/ the repeated questions may become/ <to stressed and time-pressed parents>],/
  • [아무리 (e) 짜증스럽게/ 그 반복되는 질문들이 될지라도/ <스트레스를 받고 시간이 부족한 부모들에게>],/
  • it is important/ <to take/ them/ seriously>/ [to encourage/ kids/ <to question/ authority>]/ <to think/ for themselves>.
  • 그것은 중요합니다/ <받아들이는 것은/ 그것들을/ 진지하게>/ [격려하기 위해서/ 아이들을/ <질문하도록/ 권위에 대해>]/ <생각하도록/ 스스로>.

어법 설명

  •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목적] “~하기 위해서 / ~하도록”
  • <to understand/ the world>”, “[to encourage/ kids/ <to question/ authority>]”, 및 “<to thinkfor themselves>”,의 3곳에서 사용된 용법.
  • 양보의 부사절 "no matter how + 형용사"
  • no matter how irritating ~”에서 “아무리 -하게 ~하더라도”라는 양보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It(가주어) ~ to 부정사(진주어) 용법
  • it is important/ <to take/ them/ seriously>”에서 ”It“는 가주어, ”to take”은 진주어로 사용된 구문입니다. 한국어에는 없는 용법으로 어법에서는 it를 해석하지 말라고 말하지만, 용법의 이해를 위해 오히려 해석하기를 권합니다.
  • 5형식 문형 "to encourage + 목적어(kids) + 목적격 보어(to 부정사)"
  • 동사 “encourage”는 to 부정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대표적인 동사입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to 부정사가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형용사 irritating의 적절성 판단 (e)
  • → "irritating"은 문맥상 적합합니다. 반복적인 질문이 부모들에게 스트레스를 줄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 다른 모의고사 문제 확인하기

문제 풀이와 정답

41번 문제 풀이 및 정답 제시

  • 제목의 핵심은 아이들의 질문이 세상을 이해하려는 시도이며, 이를 격려해야 한다는 메시지입니다.
  • 정답: ① Things Plain to You Aren’t to Children: Let Them Question

42번 문제 풀이 및 정답 제시

  • (d) "unreasonable"은 문맥상 적절하지 않으며, "reasonable(합리적인)"으로 수정해야 아이들의 질문의 본질을 정확히 전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④번.

결론

"아이들의 질문을 통해 세상 이해를 돕고 사고력을 키우다"

2024년 9월 고2 모의고사 41번 & 42번 문제는 아이들의 질문 행동이 권위에 대한 도전이 아니라 세상을 이해하려는 합리적인 시도임을 보여줍니다.

41번 문제에서는 아이들의 질문 행동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격려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아 제목을 선택해야 하며, 42번 문제에서는 단어 "unreasonable"이 문맥상 부적절함을 이해하고 "reasonable"로 수정해야 합니다.

이 문제를 통해 학생들은 아이들의 행동에 숨겨진 심리적 의미를 발견하며, 텍스트 속 논리적 흐름을 기반으로 추론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비교적 상세한 어법 해설 내용이 전체적인 글을 이해하시는데 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 고2 영어 모의고사 분석 모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4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7번 지문 분석 및 해설

2025년 3월 고2 모의고사 32번 지문 분석 및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