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21번 지문 분석 및 문제 풀이
서론
"잡초들의 '호화로운 부동산' 농경지를 재조명하다!"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21번 지문은 농경지 관리와 비료 및 관개의 발전이 가져온 의도치 않은 결과를 비유적으로 설명합니다. 지문에서는 현대 농업의 기술적 발전이 농작물뿐만 아니라 잡초들에게도 매력적인 환경, 즉 "luxury real estate"를 제공하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이번 분석에서는 비유적 표현 "luxury real estate"가 의미하는 바를 이해하기 위해, 단어, 문장 구조, 그리고 전체 맥락을 면밀히 살펴보겠습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비교적 상세한 어법 해설 내용이 전체적인 글을 이해하시는데 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함축적인 의미를 추론하는 것은 함축적 의미를 포함하는 부분을 먼저 읽고 그 부분의 지문과의 연관성을 찾아야 합니다. 대부분 비유적 표현으로 되어 있어 이해하기는 다소 어렵더라도 먼저 함축적 의미부를 반드시 읽고 시작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독해하는 방향을 선택하는 것도 하나의 Key가 될 수 있습니다. 독해하는 방향을 - 예를 들어, “위에서 아래로”, “아래에서 위로” - 선택하는 것도 하나의 Key가 될 수 있습니다.
중요: 이 콘텐츠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된 문장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한국어와 영어 표현을 병행하여 설명합니다. 구글 자동완성 기능으로 영문이 한글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원문 확인을 클릭하여 영어 분석 내용을 확인하세요.
원문 및 문제
21. 밑줄 친 luxury real estate가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The soil of a farm field is forced to be the perfect environment for monoculture growth. This is achieved by adding nutrients in the form of fertilizer and water by way of irrigation. During the last fifty years, engineers and crop scientists have helped farmers become much more efficient at supplying exactly the right amount of both. World usage of fertilizer has tripled since 1969, and the global capacity for irrigation has almost doubled; we are feeding and watering our fields more than ever, and our crops are loving it. Unfortunately, these luxurious conditions have also excited the attention of certain agricultural undesirables. Because farm fields are loaded with nutrients and water relative to the natural land that surrounds them, they are desired as luxury real estate by every random weed in the area.
* monoculture: 단일 작물 재배 ** irrigation: (논, 밭에) 물을 댐; 관개
① a farm where a scientist’s aid is highly required
② a field abundant with necessities for plants
③ a district accessible only for the rich
④ a place that is conserved for ecology
⑤ a region with higher economic value
문장별 분석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21번 지문에 대한 문장별 주요 단어 정리,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어법 설명을 제공합니다.
문장 1
The soil of a farm field is forced to be the perfect environment for monoculture growth.
주요 단어 정리
- soil: 토양, 흙 (동의어: dirt, earth)
- farm field: 농경지
- force: 강제하다, 강제로[억지로] 하게 만들다 (동의어: compel, enforce / 반의어: allow, permit)
- monoculture growth: 단일 작물 재배 (동의어: single crop cultivation)
- perfect environment: 완벽한 환경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e soil/ of a farm field>/
- <토양은/ 농경지의>/
- is forced/ <to be the perfect environment/ for monoculture growth>.
- 강제로 만들어집니다/ <완벽한 환경이 되도록/ 단일 작물 재배를 위한>.
어법 설명
- 수동태 [be + 과거분사] “is foced”
- "is forced"는 수동태로, "억지로 만들어지다(강제되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5형식 문형의 수동태
- "people force/ <the soil/ of a farm field>/ <to be the perfect environment/ for monoculture growth>"의 문장에서 목적어인, “<the soil/ of a farm field>”가 주어로 변경된 수동태에서 일반적 행위자인, “by people“이 생략된 구문으로, to 부정사만을 놓고 보면, ”to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중 목적“으로 ”~하도록/~하기 위해서“로 해석됩니다.
- 함축적 의미 추론 문제 해결 Tip
- 문장 1의 핵심 내용은 “농경지의 토양 = 작물 재배를 위해 완벽한 환경”입니다. 다음으로 함축적 의미를 담고 있는 문장을 먼저 읽고 그 부분의 지문과의 연관성을 찾아야 합니다. "Because farm fields are loaded with nutrients and water relative to the natural land that surrounds them, they are desired as luxury real estate by every random weed in the area"로 문장1과의 직접적인 연관이 있습니다. 다시 말해, 그만큼 영양분과 물이 풍부해서 잡초에 의해서 “호화로운 부동산”으로 갈망되는 대상이 된다는 말이기 때문입니다. 이를 염두에 두고 보기를 확인하면, “② a field abundant with necessities for plants(식물을 위한 필수품이 풍부한 들판)”뿐입니다. 따라서, 정답을 ②번으로 선택하고 시간을 줄이기 위해 다음 문제로 넘어갑니다.
문장 2
This is achieved by adding nutrients in the form of fertilizer and water by way of irrigation.
주요 단어 정리
- achieve: 이루다, 달성하다 (동의어: accomplish, attain / 반의어: fail, abandon)
- nutrients: 영양분
- fertilizer: 비료 (동의어: manure)
- irrigation: 관개, 물을 대는 것 (동의어: watering, artificial application of water)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This is achieved/ <by adding/ nutrients>/
- 이것은 달성됩니다/ <추가하는 것에 의하여(추가함으로써) 영양분을>/
- [in the form/ <of fertilizer and water>]/ <by way/ of irrigation>.
- [형태로/ <비료와 물의>]/ <방법에 의해/ 관개라는(관개를 통해)>.
- 수동태 [be + 과거분사] ”is achieved“
- "is achieved"는 수동태로, "달성되다"의 의미를 전달합니다.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by adding/ nutrients>“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여기서는, ”주가하는 것“의 의미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문장 3
During the last fifty years, engineers and crop scientists have helped farmers become much more efficient at supplying exactly the right amount of both.
주요 단어 정리
- engineer: 기술자 (동의어: technician, specialist)
- crop scientist: 작물 과학자
- efficient: 효율적인 (동의어: productive, effective / 반의어: wasteful, ineffective)
- supply: 공급하다 (동의어: provide, distribute / 반의어: deplete, withdraw)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During the last fifty years,/
- 지난 50년 동안,/
- engineers and crop scientists/ have helped/ farmers/ [become much more efficient/ [at supplying/ exactly/ <the right amount/ of both>]].
- 기술자들과 작물 과학자들이/ 도와 왔습니다/ 농부들을/ [훨씬 더 효율적이 되도록/ [공급하는 것에서(공급하는데 있어서)/ 정확하게/ <적당한 양을/ 둘 다의(비료와 물의)>]]].
어법 설명
- 현재완료 시제 [have + 과거분사]: ”have helped“
- "have helped"는 현재완료 시제로, 과거부터 현재까지 지속된 행동, 즉, 계속적 용법으로, ”도와 왔다“의 의미를 전달.
- 5형식 문형 "사역동사(help) + 목적어(farmers) + 목적격 보어(동사원형)"
- 지각동사 “make / have / let / help”은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가 능동 관계일 때, “동사원형”을 목적격 보어로 취합니다. 또, help“는 ”to 부정사“도 목적격 보어로 취할 수 있습니다. 시험은 주로 목적격 보어를 “동사원형”이 아닌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 어법의 적합성을 묻는 문제로 출제되는 경향입니다.
- 비교급 강조 부사: “much / even / far / still / a lot”
- 비교급을 강조하는 부사로 다른 부사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하는 것”의 의미를 전달하는 “동사+ing[동명사]”
- "supplying/ [exactly/ <the right amount/ of both>]“에서 사용된 용법. 문맥에 따라 ”~하는 것 / ~하기 / ~했던 것 / ~하기 위한“의 의미를 전달. 여기서는, ”정확하게 둘 다의(비료와 물의) 적당한 양을 공급하는 것“을 의미.
- 어법보다는 의미
- 동사+ing는 문맥에 따라 '현재분사', '분사구문', 및 '동명사'로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를 어법적으로 구분 하기보다, ”동사+ing“가 문장 내에서 ”~하고 있는/~하는“, ”~하면서“, ”~하는 것/~하기/~했던 것/~하기 위한“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고 기억하는 것이 훨씬 유익합니다.
문장 4
World usage of fertilizer has tripled since 1969, and the global capacity for irrigation has almost doubled; we are feeding and watering our fields more than ever, and our crops are loving it.
주요 단어 정리
- usage: 사용 (동의어: use, consumption / 반의어: avoidance, disuse)
- triple: 세 배가 되다
- capacity: 용량, 능력
- double: 두 배가 되다
- feed: 먹이를[비료를] 주다
- water: 물을 주다
- more than ever: 그 어느 때보다
- love: 좋아하다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World usage/ of fertilizer>/ has tripled/ since 1969,/
- <세계의 사용량이/ 비료의>/ 세 배가 되었습니다/ 1969년 이래로,/
- and/
- 그리고/
- <the global capacity/ for irrigation>/ has almost doubled/
- <전 세계 능력이/ 관개에 대한(관개 능력이)>/ 거의 두 배가 되었습니다;
- ;/ we are feeding and watering/ our fields/ more than ever,/
- 우리는 먹이를(비료를) 주고 물을 주고 있습니다/ 우리 농경지에/ 그 어느 때보다,/
- and/
- 그리고/
- our crops are loving/ it.
- 우리의 작물들은 좋아하고 있습니다/ 그것을.
어법 설명
-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
- 이 문장의 첫 번째 주어는 ”World usage”로 단수, 따라서 동사구도 ”has tripled“로 단수. 두 번째 주어는, ”the global capacity”로 단수, 따라서 동사구도, ”has almost doubled“로 단수.
- 현재완료 시제 [have + 과거분사]: ”has tripled“ & ”has almost doubled““
-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변화의 결과를 나타내어 각각 ”세 배가 되었다“ ”거의 두 배가 되었다“의 의미.
문장 5
Unfortunately, these luxurious conditions have also excited the attention of certain agricultural undesirables.
주요 단어 정리
- luxurious: 호화로운, 풍족한 (동의어: abundant, splendid / 반의어: poor, scanty)
- excite: 자극하다, 흥미를 끌다 (동의어: stimulate, attract / 반의어: deter, suppress)
- undesirable: 바람직하지 않은 것 (동의어: pest, nuisance / 반의어: benefit, asset)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Unfortunately,/
- 불행히도,/
- these luxurious conditions/ have also excited/ <the attention/ of certain agricultural undesirables>.
- 이 호화로운 조건들이/ 또한 끌어 왔습니다/ <관심을/ 특정 농업적 바람직하지 않은 것들의(잡초들의)>.
어법 설명
- 현재완료 시제 [have + 과거분사]: ”have excited“
- "have excited"는 과거부터 지금까지의 상태의 계속을 나타내어 ”(관심을) 끌어 왔습니다“의 의미를 전달.
- 직관적인 표현의 필요성
- 물론, 문맥적으로 ”certain agricultural undesirables“의 의미가 파악되지만, 이 글이 설명문인 것을 감안한다면, 비유적 표현보다는 ”certain harmful weeds“같은 직관적인 표현이 더 낫다고 생각함.
문장 6
Because farm fields are loaded with nutrients and water relative to the natural land that surrounds them, they are desired as luxury real estate by every random weed in the area.
주요 단어 정리
- load with~: ~로 가득 채우다 (동의어: fill with, saturate / 반의어: empty, deplete)
- relative to~: ~에 비해, ~에 비례하여 (동의어: compared to, in relation to)
- luxury real estate: 고급 부동산
- desire: 원하다, 갈망하다
- random weed: 아무 잡초
청크 분석 및 의미 해석
- [Because farm fields are loaded/ <with nutrients and water>/ [relative to the natural land/ that surrounds/ them]],/
- [왜냐하면 농경지가 가득 차 있기 때문에/ <영양분들과 물로>/ [자연 토지에 비해/ 둘러싸고 있는/ 그것들을(농경지들을)]],/
- they are desired/ as luxury real estate/ <by every random weed/ in the area>.
- 그것들은(뇽경지들은) 갈망됩니다/ 고급 부동산으로써/ <모든 아무 잡초에 의해/ 그 지역 내의.>
어법 설명
- 이유의 부사절 “because + 주어 + 동사”
- “(왜냐하면)~하기 때문에”의 의미를 전달.
- 수동태[be + pp] “are loaded” & “are desired”
- 각각 "채워지다"와 “갈망되다”의 의미로 수동태.
- 주격 관계대명사 “that”
- “the natural land/ that surrounds/ them”에서 “that”은 선행사, “the natural land”를 수식하여, “그것들을(농경지들을) 둘러싸고 있는/ 자연 토지”의 의미를 전달.
- 비유적 표현 [luxury real estate]
- "luxury real estate"는 농업적으로 잡초들에게 매력적인 환경을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
분석 내용이 유익했다면,
문제 풀이와 정답
핵심 주장
- "luxury real estate"는 비유적으로, 잡초들에게 영양분과 물이 풍부한 농경지를 의미합니다.
정답 선택
- ① a farm where a scientist’s aid is highly required
- → 과학자와 관련된 내용은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 ② a field abundant with necessities for plants
- → 비유적 표현의 의미와 정확히 일치합니다.
- ③ a district accessible only for the rich
- 경제적 접근성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 ④ a place that is conserved for ecology
- → 환경 보존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 ⑤ a region with higher economic value
- → 경제적 가치를 언급했지만, 잡초와의 관계를 잘 반영하지 않습니다.
정답 제시
- 따라서, “② a field abundant with necessities for plants.”가 가장 적절합니다.
결론
"농업적 번영, 잡초들에게도 적용된다!"
2024년 6월 고1 모의고사 21번 지문은 현대 농업 기술의 발전이 단지 작물의 성장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농경지가 잡초들에게도 매력적인 환경이 되었음을 설명합니다. "luxury real estate"라는 비유는 영양분과 물이 풍부한 농경지를 잡초의 관점에서 묘사한 것입니다. 이러한 비유는 독자들에게 농경지 관리와 잡초 문제의 중요성을 상기시키며, 비료와 관개의 사용이 가져오는 장단점을 균형 잡힌 시각으로 바라보게 합니다."농업적 진보는 양날의 검"이라는 교훈을 기억하며 지속 가능한 농업 관리의 필요성을 되새겨야 할 것입니다.
문장별 분석에 포함된 주요 단어 정리, 의미의 덩어리이자 문법적 연결 고리인 청크를 기반으로 한 청크 분석 및 영어와 한국어의 어순적 차이 및 수식 구조의 차이를 기반한 의미 해석, 상세한 어법(문법) 및 유형별 문제 풀이를 위한 Tip이 오류를 포함해 지문을 200%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다른 모의고사 지문 확인 원한다면,
Comments
Post a Comment